• Title/Summary/Keyword: 침실 내 환경

Search Result 14, Processing Time 0.017 seconds

Comparison of Five Pollutant Levels between Inside and Outside Homes (主要 汚染物質에 대한 家庭에서의 室內外 濃度比較)

  • 金潤信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Atmospheric Environment
    • /
    • v.3 no.2
    • /
    • pp.27-32
    • /
    • 1987
  • As part of an air pollution epidemiological study of asthmatics residing in the Houston area, an air monitoring system provided data on the indoor and outdoor measurements of major pollutant gases sampled at selected residences during May ~ October 1981. Continuously monitored pollutant gases included sulfur dioxide ($SO_2$), nitrogen dioxide($NO_2$), nitric oxide(NO), carbon monoxide(CO), and ozone($O_3$). Outdoor levels for each pollutant were compared with their indoor levels(bedroom, kitchen, living room). Mean concentrations of each pollutant in the kitchen, and living room exceeded the mean levels outside except for ozone, while average bedroom levels for all gases except for $O_3$ and $NO_2$ were found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outside levels. Indoor/ outdoor ratios for $SO_2$, NO, and CO were 1.8 ~ 2.7 times the outdoor levels, but indoor/ outdoor ratios for $NO_2$ and $O_3$ were 0.99 and 0.06, respectively. The impact of several important household characteristics (type of cooking fuel and cigarette smoking) on the indoor levels for these gases is evaluated.

  • PDF

Thermal Environment and Bedclimate on Ondol during Sleeping in Each Season (온돌에서 수면시의 계절별 침실내 온열환경과 침상기후)

  • 이순원;권수애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lothing and Textiles
    • /
    • v.21 no.7
    • /
    • pp.1162-1172
    • /
    • 1997
  • The actual thermal environment and bedclimate on Ondol were investigated by the regions and housing styles in each season. The subject were sixty healthy men and women, 30 of them live in apartment, and 30 of them live in detached house. 20 of them live in Wonju, 20 of them live in Cheongju and 20 of them live in Pu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subject slept in this conditions; 23.1$\pm$2.4$^{\circ}C$ and 38$\pm$8.8% RH in spring, 27.1$\pm$1.5$^{\circ}C$ and 68$\pm$6.4% RH in summer, 27.1$\pm$1.7$^{\circ}C$ and 47$\pm$11.1% RH in autumm, and 24.9$\pm$3.3$^{\circ}C$ and 41$\pm$10.7% R.H in winter The temperatures of the floors were 38.6$\pm$5.$0^{\circ}C$ in the spring, 26.7$\pm$1.9$^{\circ}C$ in the summer, 29.4$\pm$4.7$^{\circ}C$ in the autumm, and 30.0$\pm$5.8$^{\circ}C$ in the winter. 2) Each thickness of the quilts was thinner in the summer than in any other season, but the differences in the thickness of each mattress was not significant by the seasons. 3) The differences of the bedclimate and the clothing microclimate were significant by the regions and housing in each seasons. The inside of temperature and humidity of sleepwrar were highest in summer. The bedclimate showed high correlation with the clothing microclimate. 4) The differences in the sensation which the subjects felt about temperature and comfort of the bedroom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 by the seasons, regions, or housing styles. But the subjects felt more humid in the summer and spring than in the autumm and winter.

  • PDF

A Study on the Color and Lighting in the Assisted Living Facilities for the Elderly - Focused on the facilities in Korea and the United States - (노인주거복지시설의 색채와 조명에 관한 연구 - 한국과 미국의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 Chun, Jin-Hee;Dolores A. Ginthner
    •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Journal
    • /
    • v.13 no.2
    • /
    • pp.120-132
    • /
    • 2004
  • 고령사회 2001의 발표에 의하면, 노년인구의 증가는 전 세계적으로 21세기까지 지속될 전망이며,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어서 이에 대한 심각한 사회문제가 예상되고, 이들을 위한 특수주거시설에 대한 환경개선이 요망된다. 본 연구는 노인주거복지시설에서 색채와 조명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기 위한 것으로, 색채와 조명환경을 정량적, 정성적으로 비교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03년 2월부터 8월까지 우리나라와 미국의 양로시설 20사례에 대한 현장방문조사가 수행되었고, 모든 시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로비, 복도, 식당, 침실 등 4개 영역이 집중적으로 조사되었다. 1) 색상분포도 조사 결과, 한국시설은 미국 시설과 달리 주조색으로 한색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보조색, 강조색의 활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 색상$\cdot$명도의 간격별 조화 정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를 통해 한국시설은 명도대비보다는 색상대비가, 유사조화보다는 대비조화가 두드러졌는데 기능적 측면에서는 이상적이나 친근한 분위기를 만들기에는 한계가 있다. 3) 미도(Aesthetic Measure) 측정 결과, 한국과 미국 시설 모두 평균 이상을 보였는데, 특히 한국시설은 색상 대비 이외에 유사색 조화와 같은 질서요소를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 4) 한국시설은 미국에 비해 조명 환경이 매우 열악하였는데, 자연채광의 유입은 어느정도 만족스러우나 이를 양질의 조명으로 만들기 방안이 요구된다. 5) 조명방식, 광원유형 등 인공조명에 대한 분석 결과, 한국시설은 매우 단순하며 경제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는데 광원의 선택, 배치, 설치 등 기술적인 보완이 요구된다. 6) 한국시설들의 시설별, 영역별 평균조도는 매우 낮은데, 활동시간대의 권장조도 유지는 물론, 영역 간의 조도 차이를 줄이는 방안이 요구된다.신만의 고유한 해결책으로 발전시키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본 논문의 목적은 서울을 사례분석 중 하나로 사용하여 인테리어 디자인 분야의 경계를 대도시로 확장하는 동시에 새로운 적용영역의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있다 하겠다.[C/N]의 값을 나타내었다.다.다.화 기술, 구동방법등에 대한 기술개요와 국내외 기술동향에 대하여 소개하고자 한다.었다.다._{2}$가 0.25[wt%] 첨가된 시편의 20[.deg.C]에서의 유전상수는 16,700으로 최대값을 유전손실을 1.28[%]로 최소값을 나타내었다. 또한 모든 시편은 온도 및 주파수에 따라 유전상수가 완만하게 변화하는 유전이완 특성을 나타내었다.다.수적인 물의 양에 따른 DIAION WA30의 라세미화 효율에 관하여 실험한 결과, 물의 양이 증가할수록 그 효율은 감소하였다. DIAION WA30을 라세미화 촉매로 사용하여 아이소옥탄 내에서 라세믹 나프록센 2,2,2-트리플로로에틸 씨오에스터의 효소적 DKR 반응을 수행해 보았다. 그 결과 DIAION WA30을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반응 전환율과 생성물의 광학 순도는 급격히 향상되었다. 전통적 광학분할 반응의 최대 50%라는 전환율의 제한이 본 연구에서 찾은 DIAION WA30을 첨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극복되었다. 또한 고체 염기촉매인 DIAION WA30의 사용은 라세미화 촉매의 회수 및 재사용이 가능하게 해준다.해준다.다. TN5 세포주를 0.2 L 규모 (1 L spinner flask)oJl에서 세포간의 응집현상 없이 부유배양에 적응,배양시킨 후 세포성장 시기에 따른 발현을 조사한 결과 1 MOI의 감염조건 하에서는 $0.6\times10^6$cell/mL의 early exponential시기의 세포밀도에서 72시간 배양하였을 대 최대 발현양을 나타내었다. 나타내었다.

Affected Model of Indoor Radon Concentrations Based on Lifestyle, Greenery Ratio, and Radon Levels in Groundwater (생활 습관, 주거지 주변 녹지 비율 및 지하수 내 라돈 농도 따른 실내 라돈 농도 영향 모델)

  • Lee, Hyun Young;Park, Ji Hyun;Lee, Cheol-Min;Kang, Dae Ryong
    • Journal of health informatics and statistics
    • /
    • v.42 no.4
    • /
    • pp.309-316
    • /
    • 2017
  • Objectives: Radon and its progeny pose environmental risks as a carcinogen, especially to the lungs. Investigating factors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and models thereof are needed to prevent exposure to radon and to reduce indoor radon concentr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 and to construct a comprehensive model thereof. Method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obtain data on residential environments, including building materials and life style. Decision tree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applied to predict residences at risk for higher radon concentrations and to develop the comprehensive model. Results: Greenery ratio, impermeable layer ratio, residence at ground level, daily ventilation, long-term heating, crack around the measuring device, and bedroom were significantly shown to be predictive factors of higher indoor radon concentrations. Daily ventilation reduced the probability of homes hav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geq}200Bq/m^3$ by 11.6%. Meanwhile, a greenery ratio ${\geq}65%$ without daily ventilation increased this probability by 15.3% compared to daily ventilation. The constructed model indicated greenery ratio and ventilation rate directly affecting indoor radon concentrations. Conclusions: Our model highlights the combined influences of geographical properties, groundwater, and lifestyle factors of an individual resident on indoor radon concentrations in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