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 건축교육프로그램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18초

건축물에서의 친환경개념에 대한 건축공학전공 대학생의 태도 (The Attitude of Construction Students toward Sustainability in the Built Environment)

  • 안용한;권혁수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3호
    • /
    • pp.70-77
    • /
    • 2008
  • 이 연구는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대학생의 친숙함과 흥미의 정도, 태도, 그리고 친환경 개념에 대한 학생들의 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요인들을 조사하고 있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이 연구는 저자들에 의해 개발된 설문 조사 방법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미국 버지니아주 버지니아 공대의 건축공학과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한 기술/상관 연구이다. SPSS를 이용한 기술통계와 다중회귀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은 대체로 친환경 건축에 대한 높은 친밀감과 흥미를 가지고 있다. 둘째,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전공 학생들의 태도는 친환경 건축 수업, 친환경 관련 수업과 연구를 담당하는 교수진, 친환경적인 학생들의 학습환경 또는 시설들, 그리고 친환경 건설 관련 학교 행사와 실천과 같은 요인들에 기반해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친환경 개념에 대한 건축공학 학생들의 태도는 특히, 건축공학 프로그램에서 친환경 건축관련 수업을 제공함으로 향상될 수 있다.

미국의 친환경 건축 육성시스템 (Cultivation System of Green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e USA)

  • 이아영
    • KIEAE Journal
    • /
    • 제8권3호
    • /
    • pp.3-11
    • /
    • 2008
  • As arising concerns on environment, the social and institutional effor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green building in Korea. Even though the progress until now could not be underestimated, the education and information system of green architecture needs to be reconsidered. The system and the program of USGBC to cultivate green design and construction in the USA could be a good case to be explored. The results of exploration of USGBC programs are followed. First, USGBC is industry-led and consensus driven coalition and has diverse membership including building owners, architects, engineers, general contractors, government agencies and nonprofits. Second, various education programs are developed and provided not only for building industry practitioners but also for general people. Third, LEED Accredited Professionals who have detailed knowledge of LEED project certification requirements and processes are produced to make rating system go on smoothly and spread out. Forth, there are international conference and expo called "Greenbuild" and chapter events to interchange of information on green building industry. Lastly, there are incentives which are earning continuing education credits for other organizations such as AIA for attending a LEED workshop and earning a project one point towards LEED Certification. In view of above results, USGBC and its education program can be a good reference for developing ours on green building in Korea.

도시 주거 취약층을 위한 친환경 조립형 흙블록 건축재 개발 - 인도네시아 주민 공동체의 참여적 접근 사례 - (Eco-Friendly Interlocking Stabilized Soil Blocks for Urban Housing-Vulnerable Communities : A Community-Participatory Approach in Indonesia)

  • 박재현;자스리 물리아;파자르 세티아완
    • 적정기술학회지
    • /
    • 제6권2호
    • /
    • pp.115-125
    • /
    • 2020
  • 개발도상국에서 슬럼의 팽창은 만성적인 주거 문제로 남아 있다. 이러한 주거 문제를 해결하는 데 있어서 정부의 역량이 부족하므로 주거 취약층의 자조적인 접근은 아주 오래전부터 불가피하면서도 그 중요성이 꾸준히 증가하였다. 하지만 비용 대비 양질의 확보와 기후변화 완화 및 적응을 위한 노력은 주거 취약층의 자조 주택 접근에서 해결해야만 하는 대표적인 과제이다. 이 연구는 인도네시아 주거 취약층을 대상으로 비용 절감과 기후변화 대응을 고려한 건축재로써 주변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 토속적인 재료와 공법을 활용한 친환경 조립형 흙블록의 제작 개발과 교육훈련을 목적으로 한 건축 실험에 바탕을 두고 있다. 현지의 건축 NGO와의 협업을 통해서, 도시 개발로 강제이주를 당한 40가구의 공동체가 직접 친환경 흙블록의 제작 개발과 교육훈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공동제작 워크숍 형태이다. 흙 성질 조사분석, 배합 설계, 압축 강도 시험, 경제성 분석 등의 과정을 통해서, 이 연구는 조립형 흙블록이 기존의 벽돌이나 시멘트 블록의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조명하고 있다. 향후 본격적으로 자조 주택 건축재로 적용되는 경우, 가구나 공동체 규모에서 건축재 생산 및 시공 시에 발생하는 온실가스를 줄이는 환경적 효과가 예상되며, 건축 비용 및 물류 비용이 절감되고 커뮤니티 비즈니스화하는 경우에 부가 소득이 창출되는 사회경제적 효과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접근을 통해서 주거 취약층의 자조 주택 건립을 촉진하고 정부 주거개선 프로그램과의 연계를 통해서 인도네시아의 주거 문제 해결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목재의 가치증진을 위한 목재문화에 대한 인식 및 선호도 조사: I.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 (Investigation on the Awareness and Preference for Wood Culture to Promote the Value of Wood: I. Awareness of Wood and Cultural Experience)

  • HAN, Yeonjung;LEE, Sang-Min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9권6호
    • /
    • pp.616-642
    • /
    • 2021
  • 일반인의 목재에 대한 인식개선은 목재이용 확대를 통한 목재문화 정착이라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필수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목재문화 활성화를 위한 전략마련을 위한 기초연구로 일반인의 목재문화 체험현황과 요구사항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항목은 목재문화 인식, 목재문화 이용현황,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 목재문화의 하위분야 인식, 목재문화 자원에 대한 인식, 목재이용 트렌드, 목재관련 생활환경 등 7가지로 분류하였으며, 조사결과를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 유형별 목재문화자원에 대한 인식, 생활환경과 목재이용 트렌드, 목재문화에 대한 선호와 요구의 4가지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4가지로 구분된 항목 중 일반인의 목재와 문화체험에 대한 인식을 분석하였다. 일반인은 목재와 목재문화에 대하여 재료, 문화유산, 친환경 등의 이미지를 갖고 있으나 2가지를 크게 구분하지는 않았다. 목재이용은 인간의 신체와 정신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고 있으나 목재의 활용이 산림을 파괴하는 것이라는 인식을 응답자의 45%가 갖고 있었다. 또한 목재와 관련된 직업은 기술자 또는 기능인이라는 인식을 갖고 있으며, 목재교육전문가와 같은 교육자로서의 인지도는 상대적으로 낮게 조사되었다. 목재문화와 관련된 주요사업에 대한 인지도는 응답자의 50%에 미치지 못하였다. 응답자의 30%가 목공체험을 포함한 목재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있었으며 대부분 수공구를 이용한 경험이 있었다. 목재문화프로그램을 통해 제작하고 싶은 것은 가구류, 소품류, 건축물 등이 있었다. 목재문화체험장에 대하여 알고 있는지에 대해 응답자의 23%가 인지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이들 중 방문경험이 있는 경우는 약 50%이었다. 목재교육 전문가에게 요구되는 역량으로는 목공기술에 대한 응답률이 73%로 제일 높게 측정되었다. 일반인의 목재에 대한 인식을 개선하기 위하여 현대인은 체험에서 교육적 요소보다 오락적 요소를 중요하게 생각한다는 점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다 많은 일반인에게 목재문화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하여 오락적 요소를 포함한 다양한 콘텐츠의 개발과 이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