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경인지역 대학생의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 (Perceptions on Environment and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of College Students in Seoul and Incheon Area)

  • 성민정;최효선;장경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317-324
    • /
    • 2008
  • 본 연구는 경인지역 대학생을 대상으로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정도를 알아보고,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평가하여 일반사항, 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이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자가 지식을 묻는 문항에 친환경농산물에 대해 '매우 잘 알고 있다'와 '잘 알고 있다'로 응답한 비율이 52.9%이었으며, 친환경농산물인증마크를 올바르게 선택한 학생은 50.9%이었다. 나머지 40.1%의 학생들이 오답으로 선택한 것 중 농산물품질인증마크가 65.8%로 가장 많았으며, 친환경농산물의 인증을 정부와 민간기관에서 병행하고 있는 것에 대해 87.0%가 모른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5점 척도로 조사한 요인별 결과, 친환경농산물의 이미지에 대한 5문항의 평균 점수는 $3.84{\pm}0.68$로 높게 나타났으며, 5문항 중 '친환경 농산물은 건강에 좋은 것이다'라는 문항이 $3.95{\pm}0.84$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었고 '품질인증마크가 붙은 친환경농산물은 믿을 수 있다'의 평균 점수는 $3.70{\pm}0.92$로 가장 낮았다. 셋째, 환경에 대한 태도 3문항의 평균 점수는 $3.51{\pm}0.73$이었고, 3문항 중 '환경은 후세들을 위하여 최대한 보전하는 것이 원칙이다'라는 문항이 $4.16{\pm}0.90$으로 가장 높은 점수를 나타내어 이러한 환경보전 의식과 후세들을 생각하는 마음이 친환경농산물의 소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사료된다. 넷째, 농약에 대한 태도 2문항의 평균 점수는 $3.58{\pm}0.87$로 농약의 과다 사용과 잔류에 대한 불안감이 높았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중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자가 지식 정도는 친환경농산물의 이미지, 환경에 대한 태도, 농약에 대한 태도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었다. 다섯째, 친환경농산물의 소비 증진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는 '가격인하'에 대한 의견이 48.3%로 가장 많았고, '믿을 수 있는 생산자와 제조회사의 확립' 21.2%,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홍보강화' 15.0%, '구매 장소의 다양화' 11.9%, '친환경농산물의 품질 향상' 8.3%, ‘품질인증 표시제도의 강화' 4.4% 순이었다. 이상에서 조사된 바에 의하면 대학생들은 친환경농산물을 환경과 건강에 좋은 농산물로 인식하고 있었으나 친환경농산물과 관련된 지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과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좋은 인식은 구매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올바른 지식은 구매 시 단순히 '가격'을 기준으로 판단하지 않게 해 줄 것이고, 끊임없는 유통 구조의 개선과 친환경농산물을 찾는 소비자의 증가는 친환경농산물의 '가격 인하'로까지 이어질 것이다. 소비자로서 바람직한 가치관을 가지고 올바르게 식품을 선택할 수 있도록 대중매체는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를 수행하여야 하며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식품 선택 및 소비자 교육을 실시하여 올바른 정보를 제공해 주어야 할 것이다.

수도권지역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 인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among Dietitians in the Capital Area)

  • 안선정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44-156
    • /
    • 2014
  • 영양사를 대상으로 학교급식에서 친환경 농산물 사용 확대를 위한 방안 기초자료 제시와 급식의 질과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연구 조사하였다. 친환경 우수 농산물 인증에 관한 인지도와 친환경 우수 농산물에 관한 인식간의 요인분석과 Correlation(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양사들은 친환경 농산물 인증에 관한 인지도가 그다지 높지 않았으며, 또한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인식과 위험인식은 그다지 높지 않았으나,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지식이 높았으며, 연령과 영양사 경력, 급식인원, 식품비 대비 농산물비로는 별다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양사의 친환경 농산물 인증에 관한 인지도가 높을수록 친환경 농산물에 관한 인지 및 지식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친환경농산물 인식은 친환경 우수 농축산물 인증에 관한 인지도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급식의 책임자인 영양사들의 친환경 농산물에 대한 인식을 향상시켜 학교 급식의 질적인 생산성 향상과 급식만족도를 높이도록 하며 학교급식에서의 친환경 농산물 이용도 증가에 따른 영양사뿐만 아니라 학부모의 인식개선도 필요하므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친환경농산물 구매지출에 대한 소비자지식과 소비자태도 영향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 to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 허은정;김지웅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83-896
    • /
    • 2010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s of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Using data collected from 486 Ulsan housewives, results showed each score of consumer knowledge on and attitude to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the middle level, and that mean monthly expenditure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91,193 won.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mputed and indicated that higher spending on environmentally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related to high levels of consumer knowledge, positive attitudes to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higher levels of household income, being a housewife in terms of occupation position, and post-graduate education levels. Furthermore, results also implied that consumer knowledge and attitudes to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ere of greater influences than the demographic variables in their influence over spending on environment-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소비자의 식품안전에 대한 태도와 친환경농산물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onsumer's Attitude for Food Safety and Purchas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 김성숙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5권6호
    • /
    • pp.15-32
    • /
    • 2007
  • This study is to assess the level or consumer's attitude or food safety and their effects on the purchase or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For these purposes, the survey was implemented to 550 adults who resided in Seoul and metropolitan area. As a results, a lot of respondents perceived the five food hazards, pesticides, food additives, BSE, chemical materials, GMOs as the severest food risks. Results revealed that women, the most educated, married, and the older respondents were more likely to be negative about food safely. And Also, consumer's knowledg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as lower than the median. The respondents who have bought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ere 80.5% of the entire respondents. Also, the educated and the consumers who had the knowledge of the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started to purchase them. The consumers who had higher income, perceived the food hazards(BSE), assessed agricultural products safety negatively, had willingness to pay them and more knowledge of environment 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were likely to purchase them usually.

아토피친화학교와 일반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생들의 친환경농산물에 대한 지식도와 식생활 지침 실천도 비교 (Comparis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topy-friendly and general schools for their knowledge about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es and practice levels for dietary guidelines)

  • 이상미;김회경
    • 한국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733-742
    • /
    • 2014
  • Atopic dermatitis is a chronic relapsing inflammatory skin disease. In the past years, numbers of children with atopic dermatitis has increased all over the world.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wareness of students in atopy-friendly elementary schools about environmentally-friendly grown agricultural products and their practice levels for dietary guidelines. This study was condu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on 116 students from three atopy-friendly schools in Jin-an, Jeong-eup, and Gwang-ju and 124 students from general elementary schoo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numbers of children who suffer from atopic dermatitis between atopy-friendly schools and general school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more students in atopy-friendly school, compared to general school, restricted foods. Since different school feeding services have been provided, students in atopy-friendly schools generally get more information about the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al products through nutrition education. However, most results did not show differences in knowledge levels and practice levels for dietary guidelines for children between students in atopy-friendly schools and general schools about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es. However, students in atopy-friendly schools less frequently eat cookies, soda drinks, or fast foods. In conclusion, appropriate program for nutrition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atopic dermatitis.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 식생활교육에 대한 가정과 교사의 교육 요구도 분석 (An Educational Needs Analysis of Home Economics Teachers for Food Literacy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Home Economics)

  • 송윤미;이경원
    • 한국가정과교육학회지
    • /
    • 제35권2호
    • /
    • pp.41-59
    • /
    • 2023
  • 본 연구는 가정과 교사의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 요구도 분석하여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중등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192명의 가정과 교사를 대상으로 푸드리터러시 교육의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에 대한 중요도와 현재 실행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교육 요구도 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푸드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내용 영역과 내용 요소의 우선순위를 파악하였다. 가정과 교사는 제시된 38개 내용 요소 중 34개 내용 요소에 대하여 중요도에 비하여 현재 실행도를 유의적으로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Borich의 교육 요구도 공식과 The Locus for Focus Model을 활용하여 교육 요구도가 '매우 높은' 5가지 내용 요소('식량 주권/식량 안보', '식품 관련 쓰레기 저감화',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재활용', '식품 관련 쓰레기와 분리수거', '원산지 정보')를 도출하였으며, 다음으로 요구도가 '높은' 4가지 내용 요소('유전자 변형 식품', '윤리적 소비', '식품 첨가물', '친환경 농산물')를 확인하였다. 요구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나타난 내용 요소는 '생산' 영역과 '폐기' 영역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생산'과 '폐기' 영역에 대한 교육 요구도 역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향후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을 위해 식품의 생산과 폐기를 강조하여 다루는 것이 필요하며, 이 외에도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세부 내용 및 콘텐츠 개발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영양 및 식품에 대한 지식 습득과 개인 차원의 식품 소비 단계를 중심으로 구성된 기존의 식생활교육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학생들이 식품의 생산에서부터 폐기까지의 전 과정을 학습할 수 있는 새로운 가정과 식생활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시사점을 제안할 수 있다. 또한 중등 가정과 푸드리터러시 함양을 위한 식생활교육의 기초 연구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