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친수지역

Search Result 133,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The study on introduction of the canal wa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지속가능한 개발을 위한 주운시설 도입에 관한 연구 (인천 청라지구를 중심으로))

  • Jeon, Jei-Bok;Kwon, Myeong-Sin;Kim, Ji-Ho;Oh, Kyu-Ch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8.05a
    • /
    • pp.1462-146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청라지구 경제자유구역 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지구내 하천 및 공원에 최적의 주운시설을 도입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유역의 일반현황 및 국내외 사례조사를 통해 현재까지 진행된 주운관련 사례를 분석하여 적용가능성을 검토하였으며 이수, 치수, 환경 측면에서 주운시설 도입을 위한 종합적인 검토를 수행하였다. 물수지분석, 담수량 및 손실량 파악, 물갈이율 조사 등을 통해 필요수량을 파악하였으며, 산정된 필요수량 확보를 위해 하수처리장 고도처리수, 상수원수, 상수도, 유역관리 등의 다각도의 수량확보 방안을 검토하여 적용가능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하천수질현황, 국내외 수질기준, 생태계 친수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여 목표수질을 설정하였으며, 유역, 하천, 호수공원 및 내부수로 등에 적용가능한 수질보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인근하천, 중앙호수 공원, 내부수로를 동시에 고려하여 유역통합관리 차원의 치수안전성 확보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주운시설 도입에 따른 추가적인 치수안전성 확보방안을 검토하였다. 특히 간척지라는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여 항구적인 치수 및 이수 대책의 필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지속 가능한 개발을 위해 최첨단 유지관리 시스템의 도입 및 안전시설 확보를 통해 재해로 부터 안전한 주운계획을 제시하였다. 향후 청라지구-서해-굴포천 방수로-한강을 잇는 해상과 연계된 주운 개발을 통한 광역운하망 구축 방안을 제고하였다. 향후 주운시설의 도입에 따라 도시의 어매니티 증진과 친수도시 구현, 물순환 확보와 치수에 안전한 방재도시 수립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며 이를 통해 지속가능한 신도시 개발의 초석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A Study on Ocean Cultural Space developed on the Jejudo Manned Lighthouse (제주도 유인등대를 활용한 해양문화공간에 관한 연구)

  • Ahn, Woong-Hee;Kim, Hyoung-Jun;Han, Cha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29 no.1
    • /
    • pp.21-29
    • /
    • 2005
  • The year 2003 is the centennial of the birth of the modern lighthouse in Korea. The lighthouse was originally surrounded by a beautiful nature and it contains the romantic sensitivity which relates with the ocean. And in some case it is a environment-friendly architectural facility which uses a alternative energy like a solar cell. Now the properly developed manned lighthouse is not only functioning as a traditional aids to navigation for the vessel, but also it becomes the new facility and space for all civilians who might visit and experience. Jeju regional maritime affairs & fisheries office has developed the manned lighthouses properly to ocean cultural space for the past several years. As a result of that, the recognition regarded on ocean culture was raised and the regional tourism was vitalized. For this situation we intended to reveal in this study that all the issues which relate to the proper use of the manned lighthouse in the Jejudo, since the project of water-familiar space started by MOMAF.

  • PDF

Reasonable Developments of Hinterland Waterfront in Busan New Port (신항 항만배후단지 워터프론트의 합리적 개발방안)

  • Kim, Jeong-Su;Shin, Ge-Seon
    • Journal of Korea Port Economic Association
    • /
    • v.23 no.4
    • /
    • pp.244-265
    • /
    • 2007
  • This study suggested the following several possible ways to develop Busan New Port as a comprehensive port area which comprises logistics functions, water front(for relaxation and leisure of citizens) and living zone (for dealing with daily works and chores): First, install extra facilities(e.g. plaza or landscape architecture facilities) for environmental cleanup of fishery port in the vicinity of logistic and housing complex. Second, develop water front for better benefits of users. Third, build a water land in leisure facilities for foreign tourists. Fourth, build a landmark in Port Hinterland. Finally, develop appropriate esthetic area for Port Logistics Hinterland.

  • PDF

Simulation of Flow field and Water exchange Change on the Redevelopment of Busan North Port (부산북항 재개발에 따른 유동장 및 해수교환 변화 모의)

  • Gum, Dong-Ho;Kim, Kang-Min;Lee, Joong-Woo;Jun, Sung-Hw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Institute of Navigation and Port Research Conference
    • /
    • v.1
    • /
    • pp.425-431
    • /
    • 2006
  • In connection with redevelopment of Busan North Port, there has been lots of studies and efforts for the development of superannuated North general piers into a center of marine tourism and waterfront for the citizens of Busan. Recently it has moved to the stage of execution, after several trials to find concrete solutions. On the other hand, the change of flow field and tidal exchange cuased by redevelopment is one of the important investigation subjects. This study deals with the change of flow field and water exchange after redevelopment using numerical simulation technique, based on the general data which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s a result of simulation, the speed of tidal currents are tended to decrease near the North and inner-port and increase at the main waterway. Furthermore, the tidal exchange had a tendency to be small both before and after redevelopment by about 77% in a quasi steady state, which is about 15 days after.

  • PDF

Development of Korean Environmental Windows using Entropy (엔트로피를 이용한 한국형 환경창 개발)

  • Jeong, Anchul;Oh, Sungryul;Kim, Seoungwon;Kim, Minseok;Jun, Kwansu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108-108
    • /
    • 2015
  • 준설이란, 물리적으로 수저의 퇴적물을 제거함으로써 하도관리에서 가장 확실하게 퇴적물을 제거하고 통수 단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주로 해안이나 항만에서 주를 이루어져 왔으며, 하천에서는 주로 골재채취를 목적으로 하는 소규모 준설사업이 대부분이었다. 그러나 4대강 살리기 사업으로 인해서 건설된 다기능보는 수위 및 유량을 조절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흐름 및 유사의 연속성을 차단하여 유사퇴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졌음으로 이를 위한 대책으로 유지준설이 이루어져야 한다. 준설은 대규모의 사업비가 투입되는 건설공사이면서, 수저의 퇴적물을 물리적으로 제거함에 따라 고탁도를 발생시키고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준설선진국인 미국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한 일환으로 환경창(EWs; Environmental Windows)을 개발하여 미국 준설사업의 약 80%에 적용하여 관리하고 있다. 환경창이란, 준설 및 준설토 처분에 관한 작업이 이루어질수 있는 기간을 의미하여, 결정적으로 사회 환경적으로 준설에 따른 영향의 강도가 상대적으로 작은 기간을 선정하여 준설을 허용하는 기간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환경창를 국내에 적용하기 위하여 어류, 조류, 친수시설 이용빈도, 홍수기를 이용하였다. 연구대상지역은 낙동강 유역의 금호강 합류점이며, 홍수기에는 준설하지 않는 것을 대전제로 하였다. 어류는 대표어종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그 외 조류는 법적보호종인 흑두루미, 친수시설 이용빈도는 4대강 방문객 통계자료를 사용하였다. 엔트로피 가중치 산정방법을 통하여 각 속성별 가중치를 산정하여 최종적으로 한국형 환경창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한국형 환경창은 기존의 환경창과 비교하였을 때, 영향의 정도를 수치로 표현하여 의사결정권자가 간편하게 환경창을 결정할 수 있도록 의사결정지원을 한다는 장점이 있다.

  • PDF

Development of Water Policy Indicators : Water Use Indicators (이수분야 수자원 정책지표의 개발)

  • Choi, Dong-Jin;Park, Doo-Ho;Park, Seong-Je;Lee, Joo-Hyeon;Lee, Hy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71-375
    • /
    • 2009
  • 국내에서는 수자원 관리 지표에 관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지표를 통하여 정책목표를 설정하고 정책의 성과를 평가하는 데까지 이르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이수분야 수자원 정책을 종합적이고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국가단위, 유역단위, 지역단위에서 적용하기 위한 것이다. 이수 분야의 핵심지표를 선정하기 위해서 이수분야의 정책목표를 기준으로 4가지로 구분하고, 이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평가할 수 있는 지표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이수분야의 4가지 영역은 안정성, 효율성, 형평성과 지속가능성으로 구분하였다. 안정성은 강수, 기후변화, 인구, 경제, 사회 등 장래 환경이 불확실한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물 부족에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이 확보되는 것을 말한다. 효율성은 물의 사용량과 누수율을 줄이고, 생산성과 재이용률을 제고하며, 물관리의 건전한 재정을 확보하기 위해서 비용회수체계를 개선하는 것 등을 포함한다. 형평성은 도시와 농촌, 지역간 물이용의 격차, 요금의 격차, 지역간 물자급률의 격차 등을 개선하여 사회적 약자나 소외계층의 물이용 능력을 높이는 것을 주요한 내용으로 한다. 지속가능성은 하천환경의 기능을 훼손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자원을 이용하고, 환경 개선, 생태계 보존, 친수활동 등에 대한 물수요에 대응하는 것이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이수분야의 지표는 가뭄시 물부족량, 물부족 지역 비율, 국가 물자급률, 하천취수율, 환경용량 확보율, 물이용 공평성, 물재정 건전성 등 7개였다. 각 지표별로 지표의 정의와 산정방법 등을 제시하고, 지표를 통하여 이수분야의 수자원 정책을 평가하였다. 평가는 먼저, 국가간 비교를 하였고, 다음으로 국내의 유역간 비교, 지역간 비교의 순으로 진행하였다. 평가 결과 우리나라의 국가 물자급률과 취수율이 보통수준 이하로 매우 취약하고, 물이용의 공평성과 물관리 재정 건전성은 보통보다는 높은 수준으로 평가되었다. 평가 결과를 통해서 중장기 수자원 관리 정책의 목표를 정량적으로 제시하고, 분야별 정책 추진방향을 제안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Irrigation Reservoir to prevent Drying Stream (건천화방지를 위한 농업용수 개발방안)

  • Choi, Nag-Weon;Choi, Hyun-Il;No, Hwang-Won;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390-394
    • /
    • 2009
  • 우리나라의 강우특성 및 지형여건상 최근 농촌지역 하천의 건천화가 급속히 진행되어 전통적인 농촌지역 하천의 기능이 줄어들고 있다. 하지만 건천화 원인에 대한 과학적인 분석은 극히 저조하다. 농촌지역 소하천의 건천화 원인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각각의 원인에 따라 방지 대책이 달라야 할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일률적인 방지책을 시행하고 있어 그 효율성이 불확실한 상태이다. 농촌지역 소하천 건천화 원인으로 추정되고 있는 기존 저수지 유지수량 미확보, 유휴지 난개발, 지하수 과다사용, 무분별한 하천개수, 하천 퇴사 등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확한 원인분석 없기 때문에 개략적인 방지 대책이 시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중소하천의 생태환경 건전성을 위해서 농업저수지를 비롯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용수 공급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적정한 농업용수의 하천유지유량 공급방안 정립이 필요하다. 또한 농촌 소하천 유역에서 상류에 위치한 농업용 저수지는 우선적으로 농업용수를 공급함에 따라 소하천들은 수문순환 과정이 인위적으로 단절되어 심각하게 건천화되어 가고 있으며, 이러한 이유로 안정적인 하천유지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농촌 소하천의 건천화에 따른 하천수의 부족은 용수확보의 불가능, 수질오염의 심화 등의 문제를 초래함으로써 경제적인 측면에서 많은 손실을 가져오고 있으며 하천이 갖추어야할 친수공간으로서의 기능도 수행하지 못하기 때문에 많은 주민들이 여가 활용과 휴식공간으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현재 농업용저수지의 시설규모를 확장하여 추가적으로 하천유지용수를 확보함으로써 하천의 건천화를 예방하고 향후 확장 가능한 농업용수 전용저수지의 설계방향을 제시코자 한다. 기존저수지의 지역적 요소 및 환경적 요소를 감안하여 저수지 증고에 의한 재개발 방향을 검토 분석하여 물부족에 의한 하천 건천화를 예방하고 추가 용수량의 확보를 할 수 있도록 노력을 해야겠다.

  • PDF

Convergence Approach of the Marine Tourism Policy (해양관광 정책의 융복합적 접근에 관한 연구)

  • Lee, Jung-Chul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 /
    • v.15 no.2
    • /
    • pp.233-23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necessity of policy approach in terms of complex combination of tourists and fishing village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policies related to the marine tourism industry were investigated and the law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the coastal area and fishing port area were investigated. As a convergence approach to marine tourism policy, First, the development of marine tourism resources should be based on the increase of hydrophilic activi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four seasons. In particular, the need to dig through support of projects such as the successful model that made aquarium associations etc. that are currently in progress, such as "fishing village experience".

Analysis of Physical Habitat Variation of Zacco platypus by Installing Small Dam in the Stream (하도내 보 설치에 의한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 분석)

  • Oh, Kuk-Ryul;Jeong, Sang-Man;Lee, Joo-H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491-495
    • /
    • 2009
  • 최근 하천의 환경 생태적인 기능의 중요성이 부각됨에 따라 하도 내 설치되어있는 보와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은 하천의 환경과 생태계를 해치는 대표적인 수공구조물로 인식되어 가고 있다. 하지만 일부의 경우에는 보상류에 특수한 정수형 생태계가 나타나 생태적 가치를 증가시키는 경우도 있고, 수변공간 조성에 따른 친수성 증대의 효과도 있다. 따라서 보가 하천 상 하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고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행정중심복합도시 예정지역내에 위치한 제천유역 하류부에 보와 같은 하천횡단구조물이 존재하지 않는 구간을 선정하였고, 가상적으로 대상구간 중간에 보 설정 후 높이에 변화를 주었으며, 그에 따른 보의 상 하류 구간에서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를 2차원 물리서식처 모의 모형인 River2D를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보의 상 하류 구간에서 피라미의 물리서식처 변화를 모의하였으며, 피라미의 물리서식처를 고려한 최적의 보 높이를 산정할 수 있었다.

  • PDF

Analysis on Wave Pressure Reduction due to a Slit Capping (슬릿상부공에 의한 파력 감소 분석)

  • Shin, Dong-Min;Ha, Tae-Min;Cho, Yong-Sik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10.02a
    • /
    • pp.108.2-108.2
    • /
    • 2010
  • 최근 지역어민 또는 관광객들이 친수공간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경사식 상부공의 시공이 많아지고 있다. 경사식 상부공은 수평파력을 저감하는 동시에 사면벽에 작용하는 파력을 제체의 안정에 이용할 수 있다. 그러나 직립식 상부공과 비교하여 전달파고가 커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상부공에 슬릿을 주어 슬릿 유무에 따른 파력 감소에 대한 수치모의를 실시하였다. 수치모의에는 범용성이 높은 단면 2차원 해석모델인 수치파동수로(CADMAS-SURF)를 사용하였고, 입사파랑으로는 규칙파를 조파하였으며, 전면불투과벽, 슬릿부, 유수실 바닥, 유수실 후벽에서 파력을 측정하였다. 수치모의 결과 상부공에 슬릿이 있는 경우 뚜렷한 파력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파력감소 효과로 인하여 케이슨의 중량을 줄일 수 있어 공사비 절감 효과도 기대할 수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