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위생대학생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초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융합연구 (Convergence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Students in Dental Hygiene department.)

  • 이재라;김서연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6호
    • /
    • pp.257-263
    • /
    • 2018
  • 치위생학과 학생들의 창의와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한다. 2018년 5월 14일부터 2018년 6월 1일까지 광주광역시에 있는 S 대학교에 재학중인 치위생학과 114명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메타인지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36점이 보통/불만족 3.1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숙달접근목표의 전체 평균은 3.26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38점이 보통/불만족 3.14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5). 자율적 교육풍토의 전체 평균은 3.08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 3.17점이 보통/불만족 2.98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창의 인성의 전체평균은 3.37점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면, 전공 만족도의 만족이 3.47점이 보통/불만족 3.26점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 대학생의 창의 인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로, 메타인지와 숙달접근목표 점수가 높을수록 창의 인성이 높게 나타나 주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일부 보건과 비보건계열 대학생의 구강보건 행태 및 관리수준에 관한 비교조사연구 (A Study on the Oral Health and Oral-Health Care of Som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 이민영;유자혜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141-151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oral health awareness and oral health care of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in an attempt to stress the importance of oral health education and boost the efficiency of oral health care.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63 college students. Out of the selected students, 174 were health-related majors, and 189 weren't.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for the purpose of comparison, and the following findings were given: 1. Concerning daily mean toothbrushing frequency, the largest number of the male students who accounted for 55.2 percent brushed their teeth once a day on average, and the greatest number of the female students who represented 52.9 percent did that twice a day. As for the influence of their major, the largest group of the health-related majors who numbered 89(51.1%) brushed their teeth twice a day,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 health-unrelated majors who numbered 93(49.2%) did that once a day. The gaps between them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2. As to the length of toothbrushing time by gender, it took more than two or three minutes for the largest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respectively numbered 96(76.8%) and 184(77.3%) to do toothbrushing(p<0.01). The greatest groups of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that respectively numbered 72(57.6%) and 183(76.9%) brushed their teeth after meals. 3. In regard to oral hygiene supplies, the largest groups of the health-related and health-unrelated majors that respectively numbered 78(44.8%) and 115(60.8%) had chewing gum and candy with them. As to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99 health-related majors(56.9%) and 133 health-unrelated majors(70.4%) didn't put oral hygiene supplies to use. Thus, the use of oral hygiene supplies was statistically less common among the health-unrelated majors, and the gap between the two was significant(p<0.01). 4. As for health-related concern by gender, the largest group of the male students that numbered 56(44.8%) showed the most interest in preventing dental caries, and the greatest group of the female students that numbered 103(43.3%) were most concerned about tooth whitening. The gap between the male and female stud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05), but the track of their major mad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at. 5. Regarding the experience and awareness of scaling, the largest number of the students never got their teeth scaled regardless of gender and major, and the greatest group didn't care about scaling irrespective of gender and major, either, though they considered it advisable to do.

  • PDF

일부 대학생들의 흡연실태 및 지식도 (The Realities of Smoking among Some College Students and Their Relevant Knowledge)

  • 김진;임선아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83-294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ate of smoking among some college students, the smoking motivation of smoker students, what made them quit smoking and how they got ready for giving up smoking, as smoking had a huge impact on national health and there was a desperate necessity for preventive antismoking education programs to let students keep away from smoking. After a survey was conducted with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from October 1 through November 1, 2006, the responses from 400 students were gathered, and 384 answer sheets were analyzed except 16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By gender, 62.4% of the male students and 28.6% of the female students were smokers, and the state of smoking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their gender(p<0.05). 2. The largest number of the male students, which accounted 44.1%, started smoking in their high school days, and 39.5% of the females did that in middle school. As for a daily mean amount of smoking, 41.8% of the male students, the greatest percentage, smoked 10 to 19 cigarettes a day, and one to nine cigarettes were most common among the females, which represented 57.9 %. But the gap between the two was insignificant(p>0.05). As many as 83.6% of the males and 86.8% of the females had ever attempted to quit it. 3. Concerning awareness of antismoking policies, they felt that a raise in cigarette price would lead to less smoking, and that antismoking advertisement or posters through television or newspaper would deliver the same results as well.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their awareness(p<0.05). 4. Regarding preparation stage for quitting smoking, 31.3% of the male smokers had no intention to give it up, and 23.2% considered it. 36.7%, the largest percentage, got ready to refrain from it. Among the female smokers, 34.2% had no plans to abstain from smoking, and 36.8% took it into consideration. 23.7% got ready to do that. The females who got ready for that were outnumbered the males who did. 5. As to connections between the state of smoking and relevant knowledge, the students didn't have a good knowledge on that, an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between the smokers and nonsmokers in smoking knowledge. 6. As for knowledge about oral diseases, they were highly cognizant of the relationship of smoking to tooth discoloration, nicotine stomatitis and bad breath, but they didn't know well about its relationship to delayed recovery from dental treatment, implant failure and ozena. Their smoking condition mad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ir knowledge(p<0.05). In the future, sustain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channeled into determining how much smoking affects health and concerns oral diseases, and antismoking counseling programs should be prepared to bolster people's awareness of oral health.

  • PDF

동기면담을 적용한 구강 관리 프로그램의 효과 (The Effect of Oral Health Care Program Based on Motivational Interviewing)

  • 한예슬;배현숙;조영식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287-294
    • /
    • 2014
  • 본 연구는 구강 건강 개선을 위해 효과적인 구강 보건 교육방법을 모색하고자 동기면담이라는 새로운 상담기법을 적용한 구강 관리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동기면담의 효과를 검증하고, 구강 관리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대학생 98명을 대상으로 구강 관리 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첫 방문 날짜를 기준으로 실험군 32명과 대조군 66명으로 배정하였으며, 실험군에게는 총 3회의 동기면담을 시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중재 유무에 따라 프로그램 참여 전후의 구강 상태를 비교한 결과 실험군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치주상태를 평가하는 PSR, 치은 지수, 치석 지수, 치면세균막 지수, QLF-D 측정값인 SPS 모두 중재 전보다 중재 후에 측정값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5). 2. 구강 관리 프로그램 시행 기간 총 3회 동안 치면세균막지수값을 측정한 결과 두 집단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으나(p>0.05), 3회의 치면세균막 측정 시점 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집단과 측정 시점간의 교호작용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05). 3. 구강 관리 프로그램 참여 기간 동안 재방문 준수도는 실험군의 방문 준수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재방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한 결과 동기면담을 시행한 집단이 시행하지 않은 집단보다 재방문할 가능성이 23.89배 높았으며, 구강 양치액을 사용하는 사람이 사용하지 않는 사람보다 21.73배, 치주상태 측정값 PSR이 큰사람이 12.19배 재방문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p<0.05).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동기면담의 시행은 구강 상태를 개선하며 그 가운데 치면세균막 감소에 높은 영향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동기면담을 적용한 집단은 치면세균막 지수가 점차 감소하는 반면 중재를 시행하지 않는 집단은 다시 증가하는 양상을 나타내어 동기면담의 시행이 행동 유지에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동기면담 시행 집단이 재방문율이 높고, 재방문 준수에 동기면담의 영향력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므로 동기면담은 구강 관리 프로그램에 적용 가능하며 구강건강개선에 영향력 있는 중재로 이용될 것으로 생각된다.

일개 대학 재학생의 치아우식예방 불소이용법에 관한 경험과 인식 (Experience and Recognition of Fluorides for Caries Prevention: Focusing on One University)

  • 김수련;김수현;김초롱;박지원;황수정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80-588
    • /
    • 2014
  • 본 연구는 편의추출된 K대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치아우식예방 불화물에 관한 인식과 경험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2014년 5월 23일부터 6월 13일까지 대전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45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444부가 회수되었고 응답이 불충분한 20부를 제외한 424부를 본 연구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치위생학과, 치위생학과를 제외한 보건계열, 비보건계열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하였다. 1. 치아우식예방을 위한 불소경험은 불소세치제 사용 치위생학과 68.9%, 보건계열 23.6%, 비보건계열 33.3%, 학교 불소용액양치사업 치위생학과 50.0%, 보건계열 46.3%, 비보건계열 44.1%. 시판 불소함유 구강세정제 사용 치위생학과 84.2%, 보건계열 72.4%, 비보건계열 62.2%, 전문가 불소도포 치위생학과 58.9%, 보건계열 30.9%, 비보건계열 30.6%,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지역거주 치위생학과 13.7%, 보건계열 10.6%, 비보건계열 13.5%로 나타났다. 2. 비치위생학과 학생들은 불화물 사용의 목적 84.6%, 불소함유 구강세정제 63.2%, 불소함유 세치제 61.5%, 전문가 불소도포 56.4%,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43.6% 순으로 인지하고 있었다. 3. 불화물에 대한 인식경로는 치위생학과 학생은 대학 강의가 가장 높았으나, 비치위생학과 학생은 인터넷과 방송, 보건교사 순이었고 대학강의에 관한 응답은 거의 없었으며 치과의료진에 의한 정보전달은 10%을 약간 상회하였다. 4. 불화물 이용 의향은 자녀를 위한 불소도포, 불소용액양치, 수돗물불소농도조정사업, 자신을 위한 불소도포 순으로 나타났으며, 불소이용시 필요정보는 불화물 부작용, 불화물이용 방법, 불화물이용 비용, 불화물 효과 순으로 나타났다. 5. 불화물을 경험한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서 불화물이용 의향이 높았으며, 공중구강보건사업보다는 개인이 선택하여 불화물을 경험한 군이 불화물이용에 더 긍정적이었다. 6. 불화물을 인지하는 군이 그렇지 않은 군에 비해서 불화물 이용의향이 높았으나, 불화불에 대한 부작용 인지여부는 이용의향에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따라서, 치아우식증 예방을 위한 불화물 인지와 경험은 불화물 이용에 영향을 미치므로 대중매체를 통한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치과병의원을 통한 환자 개별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