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위생(학)과 신입생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17초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ce Factors of Positive Thinking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 of Freshman Dental Hygiene Students)

  • 민희홍;이혜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4호
    • /
    • pp.124-132
    • /
    • 2020
  • 본 연구는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 학교생활 적응 정도를 파악하고, 그 관련성을 규명하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확인하여 치위생(학)과 신입생들이 학교생활 적응도를 높이는데 도움을 주고자 시도되었다. 자료수집은 2019년 10월 1일부터 10월 21일까지 경기도·충청도·전라도·경상도 지역의 치위생(학)과 신입생 213명을 대상으로 임의추출 하여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은 학업적 자기효능감, 긍정적 사고, 진로체험 경험 순이었고, 가장 영향을 주는 요인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었으며, 설명력은 47.7%이었다. 본 연구는 일부 치위생(학)과 신입생을 대상으로 조사되어 연구를 진행하였기에 결과를 일반화하기는 한계가 있어 후속연구에서는 긍정적 사고와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다양한 변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를 토대로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보완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 가능하다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학교생활 적응과 관련된 요인을 제시함으로써 학교생활 적응 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한 기초자료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긍정심리자본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련성에 대한 융합적 연구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of Positive Psychological Capital on College Life Adaptation in Freshmen of Dental Hygiene Department)

  • 조미숙;박정현;장경애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95-202
    • /
    • 2019
  • 본 연구는 부산, 울산, 대구광역시 지역의 대학교 치위생(학)과에 재학중인 신입생을 대상으로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조사를 실시하였다. 주요변인들의 결과 희망, 복원력, 낙관주의, 자기효능감, 학업적응, 사회적응, 개인정서적응, 대학환경적응의 요인에서 모두 정적 상관을 가지고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긍정심리자본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요인 중 학업적응과 사회적응은 낙관주의(p<0.001)와 자기효능감(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개인정서적응과 대학환경적응은 낙관주의(p<0.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긍정심리자본을 향상시킬 있는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하여 체계적으로 교육현장에 적용해야 할 것이다.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전공만족이 직업의식에 미치는 영향 (Dental hygiene freshmen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and its influenc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 진혜정;김혜영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893-900
    • /
    • 2011
  • Objectives : The study was to examine satisfaction with their major study influences their perception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mong dental hygiene freshmen. Methods : The total of dental hygiene freshmen were conveniently recruited from four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nam-do, Ulsan and Busan city. A questionnaire was us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he perception of occupational consciousness and major study satisfaction.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by using the SPSS 18.0 program. Results : Dental hygiene freshmen who showed a positive their major satisfactory showed higher perception of occupational. The social recognition and position of job-consciousness was lowest at the score 2.55, harmony with a colleague is close to efficiency in duty of job-consciousness was highest at the score 3.54. Conclusions : We need a modifying and complement of the career guidance programs for dental hygiene freshmen.

Cariview test와 전문가 칫솔질 교육이 치위생(학)과 신입생의 PHP index 감소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the cariview test and professional brushing training on the reduction of PHP index of dental hygiene students)

  • 김연화;김유근;유진아;박정은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993-1001
    • /
    • 2017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in oral health promotion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for freshmen students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Methods: To verify its effectiveness, research was conducted on 74 freshmen of the dental hygiene department by the evaluation of DMFT index, PHP index, and Cariview test (2015-2016). Results: The analysis of the test results using Cariview equipment shows a categorization of low risk group consisting of 10 students (13.5%), middle risk group consisting of 47 students (63.5%), and a high risk group consisting of 17 students (22.9%). DT index according to the number of daily tooth brushing by <2 is DT index average score higher and in such a case, statistics are considered meaningful (p<0.01). Oral health state at DMFT index of low risk group according to Cariview risk group for an analysis is lower than both the middle risk group and the high risk group (p<0.001). Conclusions: A review of the effect of the promotion of oral health through oral health education on the behavior change rather than of Cariview test and value of dental plaque through tooth brushing method was conducted.

일부 치위생과 신입생의 학과 선택 동기와 학과 SNS 이용 만족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otivation to Choose a Major and Satisfaction with Social Media Usage in Dental Hygiene Freshman)

  • 장성연;오현경
    • 대한치위생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97-104
    • /
    • 2022
  • Background: Due to the declining number of students preparing for university entrance exams , the quota of universities has been decreasing continuously. This situation became increasingly diverse as new media used online, mobile, and PR tools to continuously invite students. This study is aimed at offering the helpful data to plan an effective PR strategy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jor selection and satisfaction of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usage among freshmen majoring in dental hygiene. Methods: The collected data from the self-reported survey with freshmen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The survey items were motive to select the major, social media platform that subjects used, reasons to use the media, time to visit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platform, and satisfaction level on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platform, using a 5-point Likert Scale. Results: The reasons for choosing a major were given by 32.2% and 15.9% respondents, respectively, as the vision after graduation and practice facilities. 39.9% and 31.4% used Instagram and YouTube for social media platforms, respectively, for using social media platform; 26.9% and 26.3% visited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before and after entering the university, respectively; 46.4% and 24.9% used Instagram and YouTube for department social media; and they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40.9% of them said that information from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was useful. 33.8% of them said the information from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exceeded their expectations. 46.8% of them answered that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made the department's image positive. 33.4% got interested in the major more due to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According to 32.1% of respondents,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was helpful in deciding on a major. With 35.4%, a positive correlation was discovered between the department's practice facilities and satisfaction on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Conclusion: It is thought that the department's social media should try continuously by uploading the contents to meet the users' needs on a regular basis and seeking the plans to be able to collect various opinions using surveys through the related social media so that students can select the major and, moreover, lead the positive direction to adapt the university life under the unfamiliar environment after admission.

치위생과 학생의 정서적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Perception on Major Satisfaction among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유지수;최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07-314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정서적 반응 특성인 치위생과의 학습풍토, 학과 생활 스트레스, 자각한 무기력감을 측정하여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경기, 대전,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1학년과 2학년, 3학년 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과 재학생들은 전공 분야에 대하여 대부분 만족한다(74.0%)고 응답하였다. 1학년 학생들이 타 학년에 비해 만족한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p<.01). 이는 신입생들의 전공 선택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예측할 수 있다. 2. 전공 분야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전공교육내용(34.3%), 동료학생 및 면학 분위기(15.1%), 교수자(11.8%)의 순서로 지역별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3. 정서적 특성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전공 학생들간의 학습풍토, 학과생활 스트레스 자각한 무기력감은 전공만족도에 대하여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습풍토는 일부 요인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교육과정만족도는 전공만족도와 매우 높은 상관(r>.7)을 보였으며, 이는 이후 분석과정에서 제외시켜 다중공선성을 제거하였다. 4. 전공만족도에 대한 정서적 반응 요인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F 검정통계값은 21.786, 유의확률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유의수준 .05에서 상호관계적 학습풍토(t=4.3, p=.000), 자신감결여에 의한 무기력(t=-2.9, p=.004), 체제변화적 학습풍토(t=2.6, p=.009), 통제력 결여에 의한 무기력(t=-2.2, p=.030)의 순으로 전공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전공만족도에 부적상관을 보인 학과생활 스트레스 요인과 자각된 무기력감 사이의 다중요인 간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정준상관분석 결과, 두 요인집단 간 매우 높은 정적인 상관(.783)을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 반응 증상이 높은 학생일수록 높은 무기력 증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6. 스트레스 반응증상 요인 중에서는 우울증상군 반응(표준화정준계수 -.811, 정준부하량은-.983)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며, 자각된 무기력 증상 요인 중에서는 자신감 결여에 따른 무기력 증상(표준화정준계수 -.557, 정준부하량 -.964)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스트레스 반응증상 요인 중에서는 우울 증상군 반응(정준교차부하량 -.769)이 자각된 무기력감과 가장 많은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각된 무기력증상 요인 중에서는 자신감 결여에 따른 무기력감(정준교차부하량 -.755), 부정적 인지에 따른 무기력감(정준교차부하량 -.747)로서 스트레스 반응유형과 각각 순차적으로 많은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정서적 특징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공 학습에 따른 전문성 향상과 더불어 학생들의 생활증진을 위한 주요 요인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