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아 동요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레이저 적층 제조 기술을 이용한 상악 무치악 환자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 수복 증례 (Implant-supported prosthetic rehabilitation for the edentulous maxilla using the 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A case report)

  • 김희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6권2호
    • /
    • pp.173-178
    • /
    • 2018
  •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방식 시스템은 기공 오차 및 주조 결함 없이 제작 비용 및 제조 시간 단축을 장점으로 전악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 제작에 유용하다. 본 증례에서는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방식과 치과용 캐드캠으로 제작된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사용하여 무치악 상악에서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치과 보철물의 성공적인 결과를 보고하고 임상적 의의를 평가하였다. 51세의 건강한 중년 여성이 상악 전 치아의 동요도를 주소로 서울대학교 치과병원에 내원하였다. 모든 상악 치아 발치 후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기술 및 캐드캠 단일구조 지르코니아 크라운을 사용하여 코발트-크롬 프레임을 포함하는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치과 보철물을 제작하였다. 최종 수복물 장착 6개월 후, 기계적 및 생물학적 합병증은 발견되지 않았고 보철물은 기능 및 심미적으로 만족스러운 결과를 보였다. 직접식 금속 레이저 소결 시스템을 이용하여 추가적인 기공 작업 없이 임플란트 지지 고정성 보철물을 제작하여 제조 시간을 단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확도와 적합성을 얻었다.

치조골 골절을 동반한 유치열기 외상에 의한 영구절치의 치근 형성 이상 (ROOT MALFORMATION OF PERMANENT INCISORS BY ALVEOLAR BONE FRACTURE)

  • 지은혜;최형준;최병재;손흥규;김승혜;송제선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90-295
    • /
    • 2011
  • 치아형성 과정 중 치배 주위의 물리적 작용이나 대사 환경의 변화로 치아 발생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유치열기에 가해진 외상은 계승 영구치의 발생에 장애를 초래시킬 수 있는 가장 대표적인 물리적 요인으로 이로 인한 합병증으로 계승 영구치의 법랑질 변색 및 저형성증이 가장 흔히 발생하고 드물게 매복, 이소 맹출, 치근 형성 정지 및 치근 만곡 등이 나타난다. 본 증례에서는 만 6세 5개월의 여자 어린이 환자가 안면부 외상을 주소로 내원하여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정출성 탈구, 상악 우측 유측절치의 함입성 탈구, 상악 좌측 유측절치의 구개측 측방 탈구로 진단되었고, 상악 치은부의 열상과 상악 전치부의 치조골 골절이 관찰되었다. 내원 당일 치과 응급실에서 동요도가 심한 상악 좌우 유중절치의 발치 후 치은 봉합술을 시행하였다. 24개월 정기 검진 중 방사선 사진 상에서 상악 좌,우측 측절치의 백악 법랑 경계(Cemento enamel junction, CEJ) 근방에 치근 만곡이 관찰되었고 상악 중절치 치근의 치관부 1/3부위에서 치근 형성이 정지되고 있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치조골 골절이 어린이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외상의 유형은 아니나 본 증례에서와 같이 치근 발육이상 등 여러 합병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외상을 입은 환아에서 치조골 골절 여부에 대한 면밀한 검사 및 주기적인 검진은 예후 예측 및 향후 치료에 있어서 중요할 것이다.

만성 치주염 환자에서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를 이용한 전악 수복: 증례 보고 (Full mouth rehabilitation with a few remaining teeth and implants for a patient with chronic periodontitis: a case report)

  • 신은정;방몽숙;양홍서;박상원;임현필;윤귀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1권3호
    • /
    • pp.253-261
    • /
    • 2015
  • 만성 치주염 환자 치료시 잔존치 발치 여부를 결정할 때 신중을 기해야 한다. 고정성 또는 가철성 국소의치 치료시 치주조건이 불량한 치아를 지대치로 사용하면 과부하로 조기실패가 우려되어 발치를 고려하지만,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의 경우 잔존치로 전달되는 기능하중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잔존치를 유지시키는 경우가 많다. 잔존치를 이용한 전악수복시 proprioceptive response를 보존할 수 있어 악간관계와 교합평면 결정시 도움이 될 뿐 아니라 환자의 보철물에 대한 적응이 쉽다. 본 증례의 환자는 치주질환에 의해 다수치 상실 및 대합치의 정출을 보였다. 동요도가 심해 예후가 좋지 않은 치아를 발거하고 소수 잔존치와 임플란트로 전악수복하여 적절한 기능적, 심미적 결과를 얻었다.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성장예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DIBULAR GROWTH PREDICTION AND SIZE OF THE FRONTAL SINUS)

  • 경승현;유영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473-479
    • /
    • 1997
  • 성장기 환자의 치료 계획 수립시 치아 이동만으로 치료를 할 것인지, 악 정형 치료를 동반할 것인지, 아니면 성장후 수술을 할 것인지를 결정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며 특히, 악골의 성장을 예측하는 과정을 치료계획 수립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다. 전두동은 조기에 성장이 완료되고 하악골은 20세까지 성장을 지속한다는 점에 착안하여, 측모 두부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와 하악골 크기간에 상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228명을 골격선 제I급, 제II급, 제III급 부정교합의 3군으로 분류하고 하악골의 장경과 악골의 전후방 관계를 나타내는 3가지 지수(ANB, APDI, Wits)를 측정하여, 서로간의 상관성을 검토한 결과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전두동의 크기와 ANB(-0.3633), APDI(0.296), Wits(-0.2380), 하악골 장경(0.2704)은 높은 상관성을 (p<0.001) 보였다. 2. 골격성 제III급 부정교합군에서, 측모두부 방사선 사진상에 나타나는 전두동의 크기가 골격성 제 I 급 부정교합군이나 II 급 부정교합군보다 크게 나타났다.

  • PDF

총상으로 인한 악안면 결손을 가진 환자에 대한 가철성 보철물 수복증례 (Removable prosthetic rehabilitation in patient with maxillofacial defects caused by gunshot: A case report)

  • 이동규;강정경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2호
    • /
    • pp.198-204
    • /
    • 2017
  • 악안면부의 결손은 선천적으로 결손을 가지고 있거나 외상이나 수술적인 절제 등에 의한 후천적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구강 내 결손을 가진 환자 중 상악의 결손과 연관되어 있는 경우가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보철적 치료의 필요성이 높다. 하악의 부분적 결손을 가질 경우 기능적 회복에 상당한 한계점을 보이나 양측 턱관절이 정상적으로 남아 있을 경우 국소의치를 이용한 악안면 보철물을 제작함으로써 양호한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증례의 환자는 58세 남자 환자로서 안면부 총상으로 인한 구개부 및 좌측 하악 구치부 결손을 가진 분으로 obturator와 하악 RPD 재제작을 위해 내원하였다. 환자의 상악 결손 범위는 Aramany 분류법 Class IV에 해당되는 상태이며, 하악은 Cantor와 Curtis 분류법 Type V resection 상태이다. 상, 하악의 우측 구치부가 잔존하였으나, 수술 후 악골 변형으로 인해 서로 교합되지 않았으며 치주상태 불량으로 인한 동요도도 존재하는 상태였다. Obturator의 유지를 위해 잔존 지대치를 최대한 활용하였고 안정적인 교합이 형성되도록 치아를 배열하였다. 하악 RPD는 하악 절제술로 변형된 연조직에 적합하도록 제한된 범위를 피개하는 RPD를 제작하였다. 이에 환자분의 저작, 연하, 발음 기능이 많이 개선되었으며 만족할 만한 결과를 보여주어 본 증례를 발표하는 바이다.

변형 Widman 판막술 후 치아 동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Tooth Mobility after Modified Widman Flap)

  • 김수용;정진형;임성빈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33권1호
    • /
    • pp.103-111
    • /
    • 2003
  • Tooth mobility is an important part of a periodontal examination and represents a function of the persisting height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width of the periodontal liga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hanges of the tooth mobility over 4 week-period following surgical therapy on the periodontal disease. Thirty five patients presenting with moderate periodontal pockets were selected and tooth mobility was measured at weekly intervals using Periotest (Siemens Co., Germany) beginning at the pre-operation examination and ending four weeks following the modified Widman Flap. All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one-way ANOVA test. The results were obtained as follows; 1. All teeth exhibited the greatest change in mobility at 1 week post-op, mobility generally decreasing with time. 2. Comparison of the weekly tooth mobility data regarding the 1st premola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between weeks 1 (9.94) and 4 (6.14) (p<0.05). 3. Comparison of the weekly tooth mobility data regarding the 1st molar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intervals between pre-op (6.49) and week 1 (11.22), pre-op and week 2 (9.37), weeks 1 and 3 (7.65), weeks 1 and 4 (5.62), and weeks 2 and 4 (p<0.05). 4. Comparison of the weekly tooth mobility data regarding the 2nd premolar and 2nd mola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op (6.91, 8.60) and week 1 (11.02, 12.62), weeks 1 and 3 (8.00, 8.05), weeks 3 ad 4 (6.22, 6.71), and weeks 2 (9.34, 11.01) and 4 (p<0.05).

전치부 치아동요에 관한 방사선학적 및 임상적 연구 (A RADIOGRAPHICAL AND CLINICAL STUDY OF ANTERIOR TOOTH MOBILITY)

  • 이광호;김병옥;한경윤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5권2호
    • /
    • pp.290-300
    • /
    • 1995
  • Tooth mobility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linical parameters in examination, diagnosis, prognosis and treatment planning procedure. In order to determine the differences of tooth mobility according to radiographical bone level, clinical root length, clinical crown/root ratio, and bleeding on probing, 90 male adults with periodontal disease and 10 male adults with periodontal health($25{\sim}45$ years old) were selected through clinical examinations including occlusal relationship, probing depth, attachment level, and bleeding on probing. On the mandibular anterior teeth, standard periapical radiographs were taken, and tooth mobility was measured by Periotest(Siemens Co., Germany). The radiographic bone level of individual tooth was evaluated as coronal 1/3, middle 1/3, and apical 1/3 to anatomical root length, and clinical crown length from incisal edge to bone level and clinical root length from bone level to root apex were measured with Boley gauge, and subsquently clinical crown/root ratio was calculated. The difference of tooth mobility(Periotest value) according to radiographical bone level, clinical root length, clinical crown/root ratio, and bleeding on probing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unpaired Student t-test. Tooth mo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bleeding group than non-bleeding group on probing in the teeth radiographic bone level of middle 1/3, with clinical root length longer than 6mm, and with clinical crown/root ratio over 0.3(p<0.01).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in tooth mobility between bleeding group and non-bleeding group on probing in the teeth with radiographic bone level of apical 1/3, with short clinical root length less than 5mm, and with clinical crown/root ratio under 0.2(p>0.05). The results note that the tooth mobility depends on clinical root length, clinical crown/root ratio and gingival inflammation, and in the teeth with relatively good alveolar bone support gingival inflamma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ooth mobility.

  • PDF

치아우식증(齒牙齲蝕症)의 환자(患者)의 우식이환부(齲蝕罹患部) 치태(齒苔)로 부터 Streptococcus mutans의 분리(分離)와 혈청형(血淸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THE ISOLATION AND SEROTYPING OF STREPTOCOCCUS MUTANS FROM DENTAL PLAQUE OF CARIOUS LESION)

  • 이채동;최호영;박상진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8권1호
    • /
    • pp.31-44
    • /
    • 1982
  • Streptococcus mutans strains were isolated from dental plaques of carious lesions of 53 patients on mitis-salivarius-bacitracin (MSB) and mitis-salivarius(MS) medium as a supplement. The epidemiological investigation was carried out to determine the biotypes and serotypes of S. mutans isolates. For the serotyping, autoclaved extract antigens from the isolates and serotype-specific antisera against seven known serotypes of S. mutans were prepared. The serotypes of the isolates were demonstrated in immunodiffusion test. In addtition, the prevalence of ${\beta}$-hemolysis on 5% sheep blood agar plate in restricted anaerobic condition and yellow pigment production on 5% sucrose agar plate in less anaerobic condition among the isolate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Forty-eight S. mutans strains were isolated from dental plaque samples of 33 patients (62.3%) among 53 patients. 2. Of the isolates, some strains were not grown on MSB medium. 3. Serotype c S. mutans was found in 60.6%, serotype d was found in 30.3% of the patients who were known to harbor S. mutans. 4. Of. the isolates, serotype c isolates were most prevalent (43.8%), serotype d isolates were 25.0%, and serotype b, e, f and g isolates were also found but in lower frequencies. Serotype a S. mutans were not detected. 5. The correlation between serotype and biotype of the isolates was found in 78.6% of the typing cases. 6. Strains revealed ${\beta}$-hemolysis were in 52.1% of the isolates, strains produced yellow pigment were in 47.9% of the isolates, and with one exception, all the strains were belong to serotype c, e and f. 7. The majority of the isolates which revealed ${\beta}$-hemolysis appeared to be yellow pigmented, these isolates were belong to serotype c, e and f.

  • PDF

변형 Widman판막과 비변위 판막술 후 치아 동요도 변화에 관한 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Teeth Mobility between Modified Widman Flap and Undisplaced Flap)

  • 김선경;임성빈;정진형
    • Journal of Periodontal and Implant Science
    • /
    • 제27권1호
    • /
    • pp.179-189
    • /
    • 1997
  • Teeth mobility is an important part of a periodontal examination, because it represents a function of the persisting height of the alveolar bone and the width of the periodontal liga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clinical difference in teeth mobility after treatment with the modified Widman flap and the undisplaced flap in humans. Twenty males with moderate periodontal disease were selected. The severity of periodontal disease was evaluated with sulcular bleeding index, pocket depth and attachment level and tooth mobility was measured with Periotest(Siemens Co., Germany) at the initial examination, 1, 2, 4, 6, 8 and 12 weeks following the modified Widman flap and the undisplaced flap operation using the split-mouth technique. The relation of mobility to clinical parameters was statistically analyzed by multiple regression and the change of teeth mobility according to healing process by independent t-test using SPSS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re was a strong relationship between the Periotest value(PTV) and attachment level. 2. The change of teeth mobility in both flap procedures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1 week post-op. and was decreased to preoperative level at 4 weeks post-op, in modified Widman flap and at 6 weeks post-op. in undisplaced flap. 3. The change of teeth mobility in premolar teeth group in undisplaced flap compared to modified Widman flap was generally increased but these chang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nges of teeth mobility in molar teeth group in undisplaced fla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at 2 weeks post-op.. 4. The change of teeth mobility following undisplaced flap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at of modified Widman flap at 2 weeks post-op.

  • PDF

골전도를 통한 생체신호가 이식형 마이크로폰에 미치는 영향 및 고찰 (Study and Effects of Bone Conducted Signal on the Implantable Microphone)

  • 우승탁;정의성;김명남;조진호
    •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
    • 제4권1호
    • /
    • pp.29-34
    • /
    • 2010
  • 완전 이식형 보청기는 기존 보청기가 가지고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완전이식형 보청기에 사용되는 이식형 마이크로폰은 일반적으로 측두부의 피부아래 이식된다. 그런데 이식된 마이크로폰의 특성은 음식을 먹거나 치아의 마찰, 생체동잡음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식된 마이크로폰에 골전도를 통해 전달된 생체잡음신호가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람의 측두부 및 피부의 특성이 유사한 물리모델을 제작하여, 이식된 마이크로폰의 감도측정실험을 수행하였다. 1 kHz의 순음신호를 이식된 마이크로폰에 인가하고, 동시에 여러 주파수대의 정현파진동을 인공뼈에 인가하여 측정되었다. 그 결과 마이크로폰의 출력은 골전도를 통한 신호의 영향을 받아 왜곡될 수 있으며, 그 영향은 주파수대역에 따라 달라짐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