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수안정화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8초

수침목재의 PEG, 락티톨, 슈크로오스 처리에 의한 치수안정화 효과 (Dimensional Stability of Waterlogged Archaeological Wood in PEG, Lactitol and Sucrose Treatment)

  • 이효선;강애경;박상진
    • 보존과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28-32
    • /
    • 1999
  • 비교적 치수안정화 처리가 어려운 참나무과 고목재를 선택하여 락티톨, PEG (Mw, 4000), 슈크로오스를 이용하여 치수안정화효과에 대한 비교실험을 하였다. 시료 제작은 접선단면 판재 형태의 유물에서 굽음, 뒤틀림 등의 변형이 발생할 우려가 특히 크므로 접선단면이 넓게 나오도록 제작하였다. 보존처리약제의 처리농도는 10, 30, 50, $70\%$로 상승시켰고 각 농도단계별로 3일간, 7일간씩 처리하여 중량증가율을 측정하였다. 처리가 종료된 후의 시험편의 치수안정화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지표로써 횡단면수축율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슈크로오스를 함침처리한 시험편은 중량 증가율이 가장 높았으며, 횡단면수축율도 3일, 7일 처리에서 각각 $7\%,\;4\%$로 가장 높은 치수안정화효과를 나타내었다.

  • PDF

재활용 PEG를 이용한 수침 고버드나무의 치수안정화 연구 (A Study on the Dimensional Stability of Archaeological Waterlogged Salix koreensis Andersson Treated with Recycled PEG)

  • 양석진;이수;김종화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35-641
    • /
    • 2014
  • 수침고목재는 보존을 위해 치수안정화의 공정이 필요하다. PEG는 목재의 치수안정화에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다. PEG 40% 함침 후 동결건조 하는 방법은 간단하고 일반적인 방법중 하나이다. 그러나 PEG처리 후 폐액은 목재로부터 침출된 유기물에 의해서 검게 변하고 악취가 발생하기 때문에 재활용되지 못하고 폐기되었다. 폐액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에 의해 폐액의 검은색은 제거 가능하다. PEG는 보존처리 전, 후와 과산화수소의 산화작용 후에도 그 물성이 변하지 않아 재활용이 가능하다. 과산화수소에 의해 재활용된 PEG를 이용하여 수침고목재의 치수안정화에 대한 실험을 실시하였다. 치수안정화에 사용된 용액의 PEG와 재활용 PEG의 비율을 10:0, 7:3, 5:5, 3:7, 0:10 (pure PEG : 재활용 PEG)으로 하였다. 그리고 수침고목재를 용액의 농도 10, 20, 30, 40%로 각각 5일간 함침하였다. 모든 시험편은 25%의 중량 증가율을 보였으며, SEM을 이용하여 목재 내부 세포를 관찰한 결과 PEG의 함침은 매우 잘된 것으로 판단된다. 치수변화율은 4%이하로 모든 시료 동일하게 안정된 수치를 나타내어 재활용 PEG를 사용하여 보존처리하는 것은 새 PEG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PEG처리 수침고목재의 조습건조 (Humidity-Controlled Drying of PEG-Treated Waterlogged Woods)

  • 이광희;김수철;박원규
    • 보존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91-100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열화된 소나무류를 대상으로 PEG 처리 후 조습건조시 적정 PEG농도, 습도 및 시간을 조사하고자 하였고, 조습건조과정 중 치수안정화 효과를 진공동결건조 및 자연건조한 것과 비교하였다. 조습건조에서 PEG의 농도가 높을수록 건조시간이 단축되었으며 치수안정성이 우수하였다. 저농도(40%, 50%) PEG 함침 후 조습건조는 치수안정화 효과가 적었고 목재표면 및 내부에 갈라짐이 발생하였으며 PEG의 분포가 불균일하였다. 고농도(60%, 70%) PEG 함침 후 조습건조를 하였을 때 목재의 표면은 흑화현상으로 인해 색은 어두워졌으나, 저농도(40%) PEG 함침 후 진공동결건조한 것과 비교하여 거의 동일한 치수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대형발굴수침고목재의 보존처리시 진공동결건조가 불가능할 경우 고농도 PEG(70%) 함침 후 조습건조하는 방법이 가능하고, 이때 건조습도와 건조시간을 충분히 고려해서 건조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잣나무 열압밀화재의 열처리를 통한 치수안정화 (Dimensional Stabilization through Heat Treatment of Thermally Compressed Wood of Korean Pine)

  • Lee, Jeong Min;Lee, Won Hee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6권5호
    • /
    • pp.471-485
    • /
    • 2018
  • 잣나무 열압밀화재의 완전한 치수안정화를 위해 열압밀화 후 열처리를 하였다. 열처리가 된 열압밀화재의 치수안정성 평가를 위해 흡수시험을 실시하였다. 0.43의 비중인 목재를 두께 압축률 50%로 열압밀화를 실시하여 0.79의 비중을 가진 고비중재를 얻었다. 열압밀화 후 열처리를 통하여 열처리 온도와 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흡수성과 팽윤성이 감소하였다. 두께 회복률의 경우는 $120^{\circ}C$, $140^{\circ}C$, $160^{\circ}C$ 모두 24시간동안 열처리를 진행하였을 때, 1% 미만의 두께 회복도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열압밀화재의 치수안정화는 후 열처리 공정을 통하여 매우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는 방법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폴리에틸렌글리콜(PEG) 처리에 의한 일본잎갈나무의 치수안정화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Japanese Larch by Poly(ethylene glycol) Treatment)

  • 정재열;한규성
    • 임산에너지
    • /
    • 제20권2호
    • /
    • pp.41-45
    • /
    • 2001
  • 본 연구는 목재에 폴리에틸렌글리콜(PEG)을 주입하였을 때 얻어지는 치수안정화 효과를 구명 하고자 수행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수종은 일본잎갈나무(낙엽송, Larix kaempferi)이었고, 분자량이 각각 1000, 1500, 4000, 6000인 PEG를 각각 30%, 40%, 50% 수용액으로 하여 함침 처리에 사용하였다. 치수안정성은 항팽윤율을 측정하여 평가하였다. PEG 주입에 따른 중량중가율은 PEG 처리 농도 40%가 가장 높은 값을 보였고, PEG 분자량 1500 처리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다. 또한, 평균 분자량 1500이상이 되면, 분자량이 커질수록 중량증가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PEG 처리재의 항팽윤율(ASE)은 PEG #1000 또는 PEG #1500 처리시 접선, 방사방향 모두 가장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PEG 분자량이 증가하면, ASE 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Polyethylen Glycol을 이용한 수침침엽수재의 안정화

  • Hoffmann Per
    • 보존과학연구
    • /
    • 통권11호
    • /
    • pp.221-233
    • /
    • 1990
  • 4종의 상태가 좋은 그리고 2종의 열화된 수침 침엽수재(Pinus massoniana,Pinus.densiflora, Cunninghamia lanceolata, Crypto meria japonica)를 PEG400과PEG4,000용액으로 처리하였다. 모든 종이 안정화처리에 똑같게 반응을 보였다. 전체적으로 건전재나 약간 열화된 수침재는 PEG400 20%용액으로 처리한 결과 치수안정화가 달성되었다. PEG4,000의 50%용액으로 처리한 목재의 건조에 대한 수축은 심하게 열화된 목재에 대해 열화되지 않은 목재에서는 1/2에서 1/3정도 감소하였다. 엄격한 상관관계가 최적안정화를 위해 PEG와 목재의 밀도간에 존재한다. 최적으로 처리된 목재는 86%상대습도 이하에서는 축축하게 되지 않는다. PEG400과 PEG4,000으로 처리한 2단부함침이 황해에서 구조된 중국 정크선의 목재를 안정화시키는데 대해 추천된다.

  • PDF

폴리에틸렌글리콜(PEG) 함침처리한 완도선 목재의 표면 안정화를 위한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PC) 처리효과 (Effect of Hydroxypropyl Cellulose Treatment for Surface Stabilization of Waterlogged Wood of Wan-do Shipwreck Impregnated with Polyethylene Glycol)

  • 김응호;한규성
    • 보존과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5-165
    • /
    • 2016
  • 수침고목재인 목재유물의 보존처리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PEG 함침 후 진공동결건조 방법의 단점인 표면 결함에 대한 안정화처리를 위해 HPC를 도포하였다. HPC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외관 및 실체현미경 관찰, 색차, 중량변화율, 치수변화율을 측정하고,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목재시료의 표면에 HPC가 얇은 층을 형성하였고, 가도관의 관공과 균열의 틈 사이를 메우고 있었다. HPC 1,000,000을 처리한 시료의 부후되지 않은 표면에서 나타난 백화현상을 제외하고 다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열화시킨 시료는 수분 흡착에 의한 색변화가 나타났다. 시료 표면의 얇은 HPC 층은 열화 후에도 유지되고 있었으며, 수분 흡착에 의한 중량변화와 치수변화는 HPC에 의해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액체 암모니아 처리 면직물의 물성 및 염색성

  • 이창수;임용진;전성기;이청;김태경
    • 한국염색가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염색가공학회 2003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7-143
    • /
    • 2003
  • 수산화나트륨을 이용한 면의 머서화 가공은 광택, 염색성의 향상, 치수안정화, 흡습성의 증가, 강력의 향상 등의 장점에 의해 면의 가공에 있어 일반적 공정이 되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행해져온 상온에서의 수산화나트륨에 의한 머서화는 점도가 높아 섬유내부까지는 침투가 어려워 직물의 표면만이 강하게 머서화되어 태가 딱딱해진다는 결점이 있다. 이에 비해 고온에서 머서화를 할 경우 섬유의 내부까지 알칼리의 침투가 용이해지고 균일한 처리가 가능하다. (중략)

  • PDF

Polyethylene Glycol의 분자량(分子量)이 목재(木材)의 치수 안정화(安定化)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s of Molecular Weight of Polyethylene Glycol on the Dimensional Stabilization of Wood)

  • 전철;오정수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71권1호
    • /
    • pp.14-21
    • /
    • 1985
  • 본(本) 연구(硏究)는 목재(木材) 고유(固有)의 특성(特性)인 흡습성(吸濕性) 및 수축(收縮), 팽창(膨脹)의 이방성(異方性)에 의한 목재(木材) 자체(自體) 및 목제품(木製品)의 가치(價値) 저하(低下)를 방지(防止)하고 목재(木材)의 천연적(天然的)인 아름다운 무늬를 살려 더욱 목재(木材)의 효용가치(効用價値) 높이 기 위하여 비교적(比較的) 가격(價格)이 싸고 독성(毒性)이 없을 뿐만 아니라 주입처리(注入處理)가 용역(容易)한 PEG를 이용(利用)한 목재(木材)의 치수 안정화(安定化) 기술(技術)을 개발(開發)하기 위한 일환(一環)으로 PEG 분자량별(分子量別)(200, 400, 600, 1000, 1500, 2000, 4000, 6000) 및 수종별(樹種別)(Pinus densiflora S. et Z., Larix leptolepis Gordon., Cryptomeria japonica D. Don., Cornus controversa Hemsl., Quercus variabilis Blume., Prunus sargentii Rehder.)로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과(効果)를 조사(調査)하였던 바, 다음과 같이 요약(要約)될 수 있었다. 1) PEG 주입율(注入率)은 분자량(分子量) 400일 때 137.22%(Pinus densiflora)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그 이후(以後)는 비교적(比較的) 완만(緩慢)하게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보여 주었으며 비중(比重)이 낮을수록 PEG 주입량(注入量)도 증가(增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 부피 팽윤율(澎潤率)은 비중(比重)에 의한 영향(影響)을 별로 받지 않았으며 굴참나무가 분자량(分子量) 400~2,000에 이르기까지 12~18%의 범위(範圍)내에 분포(分布)한 것을 제외(除外)하고는 대부분(大部分) 분자량(分子量) 600일 때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일반적(一般的)으로 활엽수재(濶葉樹材)가 침엽수재(針葉樹材)보다 높은 부피 팽윤율(澎潤率)을 보여 주었다. 3) 부피 팽윤(澎潤) 감소율(減少率)은 수종(樹種)에 따라 약간의 예외(例外)는 있었으나 대부분이 PEG 분자량(分子量) 400에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고 삼나무의 경우 95.09%로서 최대치(最大値)를 나타내었으며, 산벚나무를 제외(除外)하고는 모두 80% 이상(以上)을 나타내었지만 분자량(分子量) 1,000 이상(以上)에서는 팽윤(膨潤) 감소율(減少率)이 70% 이하(以下)로 떨어졌다. 4)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율(效率)은 비중(比重)이 큰 활엽수재(濶葉樹材)가 침엽수재(針葉樹材)보다 월등하게 높았으며 전건비중(全乾比重)이 0.89인 굴참나무는 전(全) 분자량(分子量) 범위(範圍)에 걸쳐 부피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이 1.6 이상(以上)이었는데, 일반적(一般的)으로 분자량(分子量)이 작을수록 우수(優秀)하였으나 분자량(分子量) 4,000 이상(以上)에서는 별로 차이(差異)를 나타내지 않았다. 5) 이상(以上)과 같은 결과(結果)를 종합(綜合) 분석(分析)한 바 PEG 처리(處理)에 의한 치수 안정화(安定化)는 활엽수재(濶葉樹材)의 경우, 특(特)히 효율적(效率的)이며 비록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이 분자량(分子量) 400에서 가장 높은 수치(數値)를 나타내었지만 PEG 주입율(注入率), 부피 팽윤율(澎潤率),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 및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율(效率)을 감안할 때 분자량(分子量) 200~1,500 사이의 것을 적절(適切)한 비(比)로 혼합(混合) 사용(使用)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思料)되며, 실용화(實用化)를 위해서는 각 분자량(分子量)의 PEG 혼합비율(混合比率)에 따른 부피 팽윤율(澎潤率), 팽윤감소율(澎潤減少率) 및 치수 안정화(安定化) 효율(效率)에 대한 보다 집중적(集中的)인 연구(硏究)가 요구(要求)된다.

  • PDF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의 수리학적 모니터링 (The Hydraulical Monitoring of Osancheon River Environment Improvement Works)

  • 김서준;김지혜;홍상진;윤병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09년도 학술발표회 초록집
    • /
    • pp.1875-1878
    • /
    • 2009
  • 최근 하천의 치수, 이수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자연 친화적인 하천을 조성하려는 노력들을 많이 하고 있다. 하지만 복원사업을 위한 설계 및 평가 기준이 명확히 정립되지 못하여 치수안전성 및 하도안정성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복원 기법에 대한 복원 전, 중, 후의 모니터링을 통하여 복원 후의 하천 변화를 예측하고, 실제 사업 시행 후 장기간의 모니터링을 통해서 적용 기법이 안정화 되어가는지에 대한 평가가 반드시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01년에 시작하여 2006년 12월에 복원 사업이 완료된 오산천 하천환경 정비사업에 대한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복원 후에 대한 하천 변화를 살펴보았다. 오산천의 경우 정비사업에 따른 공사 전, 중, 후에 대한 모니터링이 과거에 수행되었지만 단기간의 모니터링이었기 때문에 하천의 안정화 과정을 확인하기에는 많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과거 모니터링 자료를 기초로 하여 하천복원의 목적에 부합하도록 하천이 적응관리 되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하였다. 수리학 적 모니터링은 과거 수리 수문 자료를 바탕으로 호안 변화에 따른 하상 및 하도 변화와 하천 구조물의 영향분석에 초점을 맞추어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검토된 사항을 바탕으로 향후 하천의 수리학적 모니터링을 위한 지표 마련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