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매전문병원

검색결과 29건 처리시간 0.027초

지역사회 경증치매환자를 대상으로 한 전산화 인지재활 치료(COMCOG) 효과 (Effects of a Computer-based Cognitive Rehabilitation Therapy on Mild Dementia Patients in a Community)

  • 정원미;황윤정;윤종철
    • 한국노년학
    • /
    • 제30권1호
    • /
    • pp.127-140
    • /
    • 2010
  • 본 연구는 시-지각 이론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가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 치매환자를 위한 독립적인 지역사회에서의 적응을 위한 인지재활치료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기 위함이다. 연구방법은 2009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용인시 치매예방관리센터에 내원한 경증 치매환자 14명을 대상으로 5주 동안 주 2회, 총 10회 가정 방문하여 전산화인지재활치료를 실시하였다. 전산화인지재활치료는 시-지각이론의 틀에 근거하여 실시하였다. 알쯔하이머치매군과 비알쯔하이머치매군을 대상으로 치료 전후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기능과 작업수행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유사 실험연구로써 단일군 전후실험설계를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전산화인재활치료 실시 전에 비하여 실시 후에 경증치매환자의 일상생활수행능력, 인지수준판별검사 등의 인지기능과 작업수행 만족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둘째, 비알쯔하이머치매군에 비하여 알쯔하이머치매에서 인지기능의 변화에 유의한 효과가 있었다(p<.05). 따라서 시-지각 이론의 틀에 근거한 전산화 인지재활치료는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수행능력 향상에 효과적으로 보인다. 또한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독립성의 증가로 인하여 작업수행에 대한 만족감도 증가에도 효과적이었다. 앞으로 지역사회에 거주하는 경증치매환자의 기능향상을 위한 보다 다양한 인지재활 프로그램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일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 영향요인 (Factors Affecting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with Mild Dementia Living in Some Rural Community in Korea)

  • 김민경;김현리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3호
    • /
    • pp.180-190
    • /
    • 2018
  • 본 연구는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고, 이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주관적 건강인식, 동반질환, 의존성, 수면, 우울 등 대상자의 삶의 질에 관련된 요인들을 살펴본 상관연구로써,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여러 대안들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 연구의 수행에 동의한 충청북도 ${\bigcirc}{\bigcirc}$군 보건소에 등록된 65세 이상의 경증 치매노인으로, 대상자로부터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 수집을 하였다. 본 연구결과 농촌지역 경증 치매노인의 주관적 건강인식과 의존성, 수면, 우울이 삶의 질과 상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고, 우울은 삶의 질의 변인으로써 54%를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삶의 질에 유의한 예측변수는 우울이었다. 위의 결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우울의 원인을 파악하고, 그에 따른 지원정책을 분류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둘째, 대상자의 우울이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때, 치매노인들의 정신적 건강상태에 따른 의료적 환경과 접근에 있어서 보다 더 용이한 환경이 되도록 보건소와 병원, 노인전문요양시설간의 지역사회내의 연계체계 구축을 통해 통합적 정신건강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특히 지역 간 보건의료자원의 불균형이 심한 농촌지역의 특성을 고려하여 보건소를 기점으로 보건지소나 보건진료소와 같은 공공보건의료체계를 포괄적이고 효율적으로 보강할 것을 제언한다. 셋째, 본 연구는 일개 농촌지역에 국한되어 선정 기준에 맞는 대상자들만 연구에 포함시켰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우리나라 전체 경증 치매노인에게 일반화시키는데 제한적이므로 연구지역을 확대할 것을 제언한다. 또한 경증치매 노인을 위해 개발되는 간결한 검증된 도구의 사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넷째, 경증 치매노인이 평균적으로 어느 정도의 우울을 동반하는지에 대한 후속 연구를 통해 치매정도를 고려한 인지향상 프로그램 외에 우울의 정도에 따른 개별화된 예방 중재 프로그램이 개발되어 장기적인 효과를 확인할 것을 제언한다.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의 작업치료: 2007-2018년 (Occupational Therapy in Long-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Using Text Mining)

  • 조민석;백순형;박엄지;박수희
    • 고령자・치매작업치료학회지
    • /
    • 제12권2호
    • /
    • pp.67-74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텍스트 마이닝이라는 빅데이터 분석 기법 중 하나를 활용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작업치료의 역할을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신문기사 분석을 위해 2007~208년까지 기간 설정 후 "노인장기요양보험+작업치료"를 주제어로 수집하였다. Textom이라는 웹 크롤링(Web Crawling)을 활용해 국내 검색엔진 네이버에서 <네이버뉴스>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였다. 수집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작업치료 검색에서 510편의 뉴스 데이터의 기사제목과 원문을 수집한 후 연도별 기사 빈도, 핵심어분석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연도별 기사 발행 빈도를 살펴보면 2015년과 2017년 발행한 기사 수가 70편(13.7%)으로 가장 많았고, 핵심어 분석 상위 10개의 용어는 '치매'(344)가 가장 많았으며, 작업과 핵심어의 관례를 알아보면, 치매, 치료, 병원, 건강, 서비스, 재활, 시설, 제도, 등급, 어르신, 전문, 급여, 공단, 국민이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해 11년간의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언론 보도 동향을 토대로 관련 핵심 키워드에서 치매와 재활에 대해 사회적 요구와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보다 객관적으로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 연구에서는 연도에 따른 다양한 분석방법을 통해 연구방법론을 보완하여야 할 것이다.

알츠하이머 치매와 미세뇌혈관병리: 혈액뇌장벽 투과도 영상 (Alzheimer Dementia and Microvascular Pathology: Blood-Brain Barrier Permeability Imaging)

  • 문원진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1권3호
    • /
    • pp.488-500
    • /
    • 2020
  • 최근의 연구들은 알츠하이머병의 병리가 단순히 아밀로이드와 타우단백질의 축적만이 아닌, 혈액뇌장벽(blood brain barrier; 이하 BBB) 이상과 같은 미세혈관병리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BBB 투과도 변화는 아밀로이드 및 타우 단백질 축적뿐 아니라 신경염증과 신경 퇴행성변화를 일으킴으로써 결국 임상 치매를 야기한다. 최근에는 알츠하이머 및 관련 질환의 BBB 이상을 보기 위한 MR 영상의 이용이 증가하고 있다. 이 종설에서는 알츠하이머병에서 BBB와 관련된 병리를 소개하고, BBB 투과도 변화에 대한 MR 영상 연구들을 소개할 것이다. 또한 BBB 투과도 측정을 위한 MR 방법론 개요와 문제점들을 제시할 것이다.

뇌 자기공명영상 뇌용적 분석 소프트웨어의 임상적 적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과 권고안 (Expert Opinions and Recommendations for the Clinical Use of Quantitative Analysis Software for MRI-Based Brain Volumetry)

  • 이지영;박지은;정미선;오세원;문원진;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 및 산하 퇴행성신경질환연구회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5호
    • /
    • pp.1124-1139
    • /
    • 2021
  • 치매를 비롯한 퇴행성 신경 질환의 초기 진단에 자기공명영상을 이용한 뇌 위축 평가와 정량적 용적 분석이 중요하다. 뇌 위축의 시각적 평가는 주관적으로 평가자에 따라 다른 결과를 보여주기 때문에, 객관적인 결과를 제공하면서 임상 적용도 가능한 소프트웨어의 수요와 개발이 늘어나고 있다. 이러한 임상용 소프트웨어의 실제 임상 적용은 영상 검사의 표준화가 선행되어야 하고, 개발된 소프트웨어의 검증이 반드시 필요하다. 따라서 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는 뇌용적 분석 임상용 소프트웨어의 임상적 활용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기 위해 전문위원회를 구성하고 현재까지 발표된 연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정량화 분석을 위한 영상 검사의 표준화 및 소프트웨어의 임상 적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을 제시하기 위하여 공동 작업을 수행하였다. 본 종설에서는 뇌 자기공명영상의 정량화 분석의 필요성 및 배경, 정량화 분석을 위한 임상용 소프트웨어의 소개 및 기존의 표준품(reference standard)과의 진단능 비교, 영상 획득의 표준화, 분석 및 평가의 표준화, 소프트웨어의 임상 적용에 대한 전문가 의견, 제한점 및 대처 방법 등 대한신경두경부영상의학회의 전문가 권고안을 소개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 조사 : 보건소 근무 작업치료사를 중심으로 (Job Characteristics and Status of Community Occupational Therapist : Focus on OTs in Public Health Centers)

  • 민경철;김은희;우희순
    • 대한지역사회작업치료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7-52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를 파악하여, 2020년 현재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에 관한 기초자료로서 활용하고자 시행하였다. 연구방법 : 전국 보건소에 근무하는 작업치료사를 대상으로 이메일을 통해 설문지를 배포하여 응답을 수렴하였다. 수집된 응답지 77부를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을 적용하였다. 결과 : 설문응답자는 여자(77.9%), 20-30대(96.1%)가 많았고, 주로 치매 관련 팀(72.7%)에서 근무하였으며 방문, 건강, 재활 관련 다양한 팀에 소속되어 있었다. 보건소 경력은 1-2년(67.5%), 계약형태는 시간선택제 공무원(61%)이 가장 많았고, 업무 강도는 보통-매우 높음(94.8%)이, 만족도는 보통-매우 만족(85.7%)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업무 고충은 예산 행정 업무(26.7%), 업무 외 고충은 계약에 따른 불평등(27.2%)이 가장 높았다. 주로 참여하는 업무는 치매 쉼터, 방문 작업치료, 그룹 작업치료이었으며, 난이도는 예산 행정, 치매 쉼터, 방문 작업치료가 높았다. 주요 치료 목표는 인지능력 향상, 가족 지지가 많았고, 빈도는 인지능력 향상, 가족 지지, 평가가 높았다. 보건소 작업치료 대상은 치매, 일반 노인, 성인 뇌병변 순이었으며, 일반인, 정신과 질환, 아동 관련 대상도 포함되어있었다. 주로 평가를 진행하는 직군은 간호사(35.7%), 작업치료사(33.7%)였으며, MMSE-DS, SGDS, SMCQ를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업무 특성 및 실태를 확인하였다. 치매 관련 사업 등 일부분에 집중되어 있는 작업치료 업무를 넘어선 전문적인 분야 개발 및 참여가 필요하며, 추후 커뮤니티 케어로 확장되고 있는 지역사회 재활의 흐름에 발맞춘 지역사회 작업치료사의 전문적인 역할 정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따른 치매노인의 뇌파 변화가 우울감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Brain waves according to participation in Therapeutic recreation programs on the Depression, Sleep Disturbance and Quality of Life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 이문숙;조병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8호
    • /
    • pp.5096-5110
    • /
    • 2015
  • 본 연구는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치매노인의 뇌파 변화가 우울감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 소재 치매요양센터 및 시립노인전문병원에 입원 중인 65세 이상의 남 녀 노인 중 3개월간 규칙적인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가한 집단을 실험집단으로 그리고 특정한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참가하지 않은 집단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참가 사전과 사후의 뇌파 변화와 우울감, 수면장애 및 삶의 질 수준을 측정하였다. 실험집단과 참가하지 않는 통제집단에 각각 20명씩 전체 40명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나, 프로그램 참여 후 탈락되는 대상으로 인해 실험집단 14명, 통제집단 18명으로 최종 분석 대상이 되었다. 자료 분석의 주된 통계적 방법은 SPSS Version 17.0과 AMOS 7.0을 이용하여 공변량분석(ANCOVA)과 구조방정식모형분석(Analysi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이용하여 인과관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방법을 통하여 도출한 결과는 첫째,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참가는 노인의 뇌파, 우울감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둘째, 치료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 참가에 따른 뇌파의 변화는 우울감 및 수면장애와 삶의 질 간에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기요양시설 및 요양병원 입소 치매대상자의 억제대 적용 관련 요인 (Factors related to Use of Physical Restraint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Settings)

  • 이해정;박명화;이성화;이미현;고영혜;김춘길;김정선;김경숙;이영휘;임영미;송준아;박영선;윤종철;김기웅;홍(손)귀령
    • 노인간호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25-134
    • /
    • 2019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factors related to use of restraints for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settings. Methods: This study analyzed secondary data from the Nationwide Survey on Dementia Care in Korea (NaSDeCK). Demographic characteristics, diseas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with χ2 test, t-test, ANOVA, and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mong participants, 8.2% experienced use of restraints. 'Strap' (78.3%) was the most commonly used restraint and 'Behavioral problem' (51.3%) was a major reason for the restraint. Persons who have low levels of daily activity and cognition deficits, higher levels of dependence, histories of falls within the past 3 months, and living in long-term hospitals have greater probability of restraint experience. Conclusion: Developing interventions for older adults who have a high risk of being restrained is essential to minimize unnecessary restraint use among older adults with dementia in long-term care settings. Further study exploring the interacting roles of organizational and staff factors related to use of physical restraints would provide more comprehensive perspectives in understanding this phenomenon.

한국 치매 환자의 건강보험 의·한의 진료 비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dical Expenses of Modern and Korean Medicine for Dementia Patients Under National Health Care)

  • 이정배;강형원;김재욱;김가혜;김남권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31-38
    • /
    • 2019
  • Objectives: To identify the cost effectiveness of early dementia diagnosis using the 2014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National Patients Sample (HIRA-NPS). Methods: The medical costs of dementia between Western medical care and Korean medical care were compared through the reimbursement and non-reimbursement item code for dementia examination. In addition, the medical expenses of patients with dementia and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respect to Western and Korean medical care. Results: There were 87,434 claims, of which 16,101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dementia and 38,680,789,560 won was found to be the medical expenses. 12,881 patients (80.0%) with dementia, 3,144 patients (19.5%)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76 patients (0.5%) progressing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The proportion of medical expenses was 97.6% for dementia patients, 2.3% for mild cognitive impairment, and 1% for patients progressing from mild cognitive impairment to dementia. 86,070 claims (98.4%) were from Western medical care, with16,824 patients (98.2%), and the medical expenses was 38,546,895,400 won (99.7%). 1,361 claims (1.6%) were from Korean medical care, with 303 patients (1.8%), and the medical expenses was 133,894,160 won (0.3%). Conclusion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medical costs of dementia patients and the diagnosis of both Korean and Western medical c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research data for investigating cost effectiveness of developing early diagnosis of dement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