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 보철물 디자인

검색결과 44건 처리시간 0.023초

다수의 임플란트발거로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이 실패한 환자에서의 잔존 임플란트를 이용한 부분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증례 (Case report: Application of 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due to Multiple Dental Implant Loss of the Fixed Implant Supported Prosthesis)

  • 강정경;남기훈
    • 대한심미치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4-40
    • /
    • 2014
  • 부분 무치악을 수복하는 데 있어서 선택할 수 있는 치료의 옵션으로는 전통적인 국소의치와 임플란트 지지-고정성 보철물 등이 있다. 하지만, 환자의 전신적 또는 구강의 상태(수술적인 술식이 제한되는 전신병력, 지지조직의 부족 그리고 골유착에 실패한 임플란트)와 치료비용에 대한 허용 정도에 따라 모든 옵션이 항상 가능한 것은 아니다. 가철성 국소의치는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물에 비해 구강위생 관리 및 상,하악 악간관계의 부조화를 수정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기존 악궁 형태에서는 제한되는 국소의치 디자인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임플란트지지형 RPD(Implant 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가 새로운 방안으로 대두되고 있다. ISRPD는 전략적 위치에 임플란트를 식립하여 역학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전악의 임플란트지지형 고정성 보철이 제한되는 환자에서 보다 경제적이고 현실적인 보철적 해결책이 될 수 있다. 따라서, RPD를 이용한 보철계획 수립시 전략적 위치에서의 임플란트의 사용은 고전적인 가철성 국소 의치에서보다 유지력과 안정성을 증진시키고 구강위생관리 또한 용이하여 환자의 적응도를 높이는 방안으로 고려될 수 있다. 본 증례는 상악 양측 구치부의 임플란트 고정성 보철,하악의 bar-type overdenture를 사용중이던 59세 남성환자에서 상악 #15i임플란트의 abutment screw fracture와 임플란트의 골유착 실패로 인한 다수 임플란트를 발거 후 남은 #15i,24i,25,26,i의 잔존 임플란트와 #23 자연치를 활용해 상악에 ISRPD를 적용한 경우이다. #23 surveyed crown, #24i=25i=26i surveyed bridge 및 #15i에 gold coping을 제작하여 국소의치의 지지와 유지,안정을 도모하였다.최종 보철물을 장착하고 2년간 주기적인 follow up 통해 예후를 관찰중이며 지대치로 사용한 임플란트에서 screw loosening이나 파절, 골흡수 등의 증상은 현재까지 관찰되지 않았다.

상악 중절치 삭제 시 수복 디자인과 변연부 위치에 따른 부피 변화 (Volume difference in upper central incisor preparation according to the changes of restorative design and marginal location)

  • 김종현;박영범;김성태;이근우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52-160
    • /
    • 2011
  • 연구 목적: 상악 중절치에 여러 가지 수복물 설계와 변연부 위치를 설정하여 치아 삭제를 하였을 때 나타나는 치아 삭제량의 변화를 평가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6개의 상악 중절치 레진 인공치가 실험에 사용되었다. 수복물의 디자인에 따라 이들은 4개의 군으로 나뉘었다. 그리고 각각의 군은 다시 변연부의 위치에 따라 3개의 세부 군으로 나뉘었다. 삭제되지 않은 치아의 부피가 미세단층촬영을 이용해 측정되었고 같은 방법으로 삭제 후의 치아의 부피가 측정되었다. 이 측정된 영상들을 서로 겹쳐서 비교함으로 삭제 전과 후의 부피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수복물 설계에 따른 삭제 전과 후의 부피 변화량은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 traditional laminate veneer < full laminate veneer < all ceramic crown < metal ceramic crown. One-Way ANOVA와 다중비교 Tukey로 유의수준5%에서 통계 분석한 결과 각각의 군에서는 다음과 같은 순서로 변화량의 차이를 보였다: CEJ 1 mm 상방 < CEJ < CEJ 1 mm 하방 (P<.05). 부피 변화를 백분율로 나타낸 수치를 보면 all ceramic crown과 metal ceramic crown 에서는 31 - 48% 로 나타났고 laminate veneer에서는 14 - 30%로나타났다. Laminate veneer에서 나타난 부피 변화량은 metal ceramic crown의 1/3로 나타났다. The full laminate (CEJ 1 mm 하방)와 all ceramic crown (CEJ 1 mm 상방)는 유사한 부피 변화를 보였다. Metal ceramic crown은 all ceramic crown과 비교하였을 때 13.7% 더 많은 부피 변화를 보였다. 결론: 수복물의 설계와 변연부 위치의 변화에 따라 부피 변화의 차이가 존재한다.

상악 완전 무치악에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milled titanium bar를 이용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 증례 보고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Milled Titanium Bar with $Locator^{(R)}$ Attachment on Fully Edentulous Maxillae : A Case Report)

  • 오상천;한지석;김민정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2호
    • /
    • pp.223-231
    • /
    • 2011
  • 본 증례 보고의 목적은 상악 무치악 환자에서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위한 $Locator^{(R)}$ attachment가 장착된 새로운 milled titanium bar를 소개하고 새로운 대안으로써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함이다. 56세 남자 환자가 상악 고정성 보철물(10-유닛 브릿지)의 동요도를 주소로 본원에 내원하였다. 악관절 및 치과 치료에 영향을 줄만한 특이한 전신병력은 없었다. 방사선 검사 및 임상 검사 결과, 상악의 경우 모든 잔존치아에서 심한 골흡수와 동요도를 보이고 있어 전악 발치를 시행한 후, 임플란트 지지 피개의치를 제작하기로 하였다. 의치의 안정성과 유지력, 저작효율, 청소의 용이성, 심미성과 발음 그리고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Locator^{(R)}$ 어태치먼트를 CAD/CAM으로 제작된 milled titanium bar에 탭핑(tapping)으로 연결시키는 새로운 디자인을 고안하였으며, 1년 이상 경과 후, 기능과 심미적인 면에서 만족할 만한 성과를 얻었기에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Collar design이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Collar design on peri-implant marginal bone tissue)

  • 김지환;정문규;문홍석;한동후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53-64
    • /
    • 2008
  •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임플랜트의 기능적 및 심미적 성공에 큰 장애가 되는 요인이다. Adell은 임플랜트에 지대주 연결 후 첫 1년간 평균적으로 1.5mm의 변연골 소실을 보이고, 이 후에는 매년 0.1mm이하의 변연골 흡수가 있었다고 하였다(Adell et al.,1981). 이러한 변연골 흡수를 막기위한 많은 노력들이 행해져 왔다. 특히 임플랜트 collar의 특징에 따라서 변연골의 흡수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랜트 collar에서의 laser microtexturing(microgroove)이 변연골 흡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4종류의 임플랜트 총 101개를 식립한 환자 53명에서 임플랜트 식립시부터 보철물 장착한 후 평균 6개월 후 정기 검사 시까지의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생물학적 폭경을 충분히 확보한 임플랜트(ITI standard)와 생물학적 폭경이 부족한 임플랜트 (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 Laser-$Lok^{TM}$, Silhouette IC)에서 변연골 흡수의 차이를 비교하였고,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에 대한 laser를 이용한 미세나사산의(Silhouette IC Laser-$Lok^{TM}$) 영향을 알아보았다.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ITI standard와 Silhouette IC Laser-$Lok^{TM}$ 이 ITI esthetic plus 와 Silhouette IC 보다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었고 (p<0.05), ITI standard 와 Silhouette IC Laser-$Lok^{TM}$ 사이에는 변연골의 흡수가 유의차가 없었고(P>0.05), ITI esthetic plus와 Silhouette IC 사이에도 변연골의 흡수가 유의차가 없었다(P>0.05). 2. 사용된 임플랜트 전체에 대한 상하악의 비교에서는 상하악 사이에서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3. 흡수각도에 대한 비교에서도 4종류 임플랜트 그룹 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본 연구에서 제한이 있긴 하지만, 임플랜트 디자인에서 생물학적 폭경이 부족한 경우(ITI esthetic plus, Silhouette IC)에는 생물학적 폭 경 보상을 위한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있었음을 보여주고 있으나, laser를 이용한 microgroove 가 부여된 임플랜트에서는 collar의 거칠기와 laser microtexturing 등의 특징에 의해 임플랜트 주위 변연골의 흡수가 적게 일어난 것이 관찰되었다. 심미적인 요구도가 높은 전치부에서 충분한 생물학적 폭경이 확보된 임플랜트를 식립할 경우 변연골의 흡수에 따른 치은퇴축에 의해 metal collar의 노출이 우려되기에 충분한 생물학적 폭경이 부여되지 않은 임플랜트를 선정하게 되는데 이때 collar에서의 laser microtexturing은 변연골의 유지에 도움이 되었다. 이것은 조직의 단단한 부착으로 인한 안정화로 추정해 볼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더 장기간의 연구와 더 많은 수의 임플랜트를 대상으로 한 연구와 조직학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