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보철물

검색결과 814건 처리시간 0.034초

금속도재관으로 수복된 Abfraction lesion이 있는 치아에 가해지는 교합력의 응력 분포 분석 (Analysis of stress distribution of tooth restored with metal-ceramic crown covering abfraction lesion according to its finish line location under occlusal load)

  • 김지환;윤철욱;김태현;김한성;우대곤;이근우;심준성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2권4호
    • /
    • pp.305-311
    • /
    • 2014
  • 목적: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된 Abfraction 병소가 있는 치아를 금속도재관으로 수복 할 경우, 변연의 위치에 따라 예후가 다양해질 수 있다. 수복물의 장기적 성공을 검증하기 위해서는 응력분포의 분석이 필요하지만 금속도재관이 abfraction 병소의 적응증인 경우 금속도재관이 응력 분포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는 연구는 아직 없다. 본 연구의 목적은 abfraction 병소가 있는 치아를 수복하는 금속도재관이 바람직한 응력 분포를 나타낼 수 있는 조건을 알아 보고자 함이다. 재료 및 방법: 치아, 주위 조직과 금속 도재관의 외형을 반영한 2차원 유한 요소모델을 제작하고 144 N의 편심 교합력 하에서의 응력분포를 유한요소 분석법으로 분석하였다. 금속 도재관의 변연 위치를 쐐기모양의 결손부의 하연에(Group 0), 그리고 결손부의 하연보다 1 mm 하방(Group 1)과 2mm 하방(Group2)에 위치시켰다. 결과: Group 0에서 von Mises stress는 금속 도재관의 변연과 결손부의 첨부에 집중 되었고 협측 변연의 응력은 설측 부위로 분포되었다. Group 1과 Group 2에서의 응력분포양상은 비슷하게 나타났다. 응력은 결손부의 첨부에 집중되지만 협측과 설측의 응력띠는 서로 분리된 양상으로 나타났다. 결론: 금속도재관의 변연을 Abfraction 병소의 하연에 설정할 경우, 금속도재관은 Abfraction 병소의 첨부에 응력을 집중시킨다.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 색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shade of between maxillary and mandibular anterior teeth in the Korean)

  • 김태진;권긍록;김형섭;우이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43-350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를 상하악 치아 순면의 정중부의 색조를 분광측색장치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CIE $L^{*}a^{*}b^{*}$ 색체계로 비교분석을 하여, 실제 한국인의 상하악 전치부간의 색조차이에 관하여 알아보고 자 하였다. 연구대상 및 방법: 수복물이 없으며 치주적으로 건강한 정상적인 치관부의 형태의 상하악 12전치를 가진 20대, 30대, 40대, 50대 이상 10명씩 남녀 각 40명씩 총80명을 대상으로 색조 측정을 시행하였다. 연구재료: $SpectroShade^{TM}$ MICRO (MHT S.p.A., Italy) 디지털 색조 분석 기구로서 대상 치아의 디지털 영상을 채득하여 이를 기계 내에 포함된 색조 분석시스템을 통해 shade map의 형태로 입력 분석하여 주는 장치이다. 결론: 1. 전치부 상, 하악 치아간 색조차이는 중절치, 측절치, 견치 모두에서 ${\Delta}E^{*}$가 보다 큰 것으로 나타났다. 2. 상, 하악 견치 간 색조차이는 중절치, 측절치 간의 색조차이보다 더 두드러지고 중절치간 측절치간 색조차이 정도는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3. 남녀 성별에 따른 상, 하악 치아 간의 색조차이는 그 정도가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4. 각 연령대에 따른 상, 하악 치아간 색조차이의 정도는 연령대와 상관없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시 상아질 봉쇄와 지연 상아질 봉쇄에 따른 상아질 접착의 미세인장 결합강도 비교 (The comparison of microtensile bond strength with immediate and delayed dentin sealing)

  • 이흥배;한종현;심준성;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72-380
    • /
    • 2008
  •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즉시 상아질 봉쇄 (immediate dentin sealing; IDS)을 시행한 경우와 지연 상아질 봉쇄 (delayed dentin sealing ; DDS)를 시행한 경우를 비교하고, 지연 상아질 봉쇄 시 상아질 접착제를 먼저 중합한 경우와 복합레진과 함께 중합한 경우에 있어서 상아질과 복합레진의 결합강도를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사람의 건전한 대구치 20개의 치관부를 삭제하여 상아질 표면을 노출시켰다. 상아질 접착 후 바로 복합레진을 축조하는 과정에서 군을 4 가지로 나누었다. 대조군은 주수 하에 model trimmer를 이용하여 치관부 삭제 후 바로 2-step etch-and-rinse dentin bonding agent (ONE-STEP, Bisco, USA)를 이용하여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복합레진 (RENEW, Bisco, USA)을 수복하였다. 실험군 A는 치아 삭제 후, Fermit을 이용한 임시수복 상태로 5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임시수복 제거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별도의 중합없이 레진을 축조하고 함께 중합하였다. 실험군 B는 치아 삭제 후, 상아질 접착제 도포 및 중합하고 임시수복을 시행하여 5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임시수복 제거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별도의 중합없이 레진을 축조하고 함께 중합하였다. 실험군 C는 치아 삭제 후, 임시수복 상태로 5일간 생리식염수에 보관하였다. 임시수복 제거 후,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 및 중합하고, 레진을 축조 및 중합하였다. 각 치아를 단면적 1 $mm^2$, 길이 10-12 mm의 막대형 시편으로 절단하여,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결합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증은 Scheffe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본 실험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아 삭제 후 별도의 상아질 접착 시행 없이 임시수복하고, 레진 축조 전 상아질 접착을 도포 후 별도의 중합과정 없이 레진과 함께 중합할 경우, 상아질과의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유의하게 낮은 값을 보였다 (P < .01). 2. 치아 삭제 및 임시 수복 기간 후, 상아질 접착제를 먼저 중합하고 복합 레진을 수복하는 경우와 치아 삭제 후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수복물 장착 시 상아질 접착을 재시행하는 경우 간의 상아질에 대한 결합강도의 차이는 없었다 (P > .05).

전부 도재관의 변연 및 내면 간극에 대한 micro CT와 절단 시편 측정법의 비교 (Comparison of micro CT and cross-section technique for evaluation of marginal and internal fit of lithium disilicate crowns)

  • 고인석;김정미;조혜원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3호
    • /
    • pp.226-233
    • /
    • 2016
  • 목적: 본 연구는 수복물의 적합도를 계측하는 두 가지 측정방법을 평가하기 위해 CAD-CAM (computer aided design-computer aided manufacturing)과 열가압 소성법으로 전부 도재관을 제작하고 micro CT와 cross-section technique으로 전부 도재관의 적합도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하악 제 1대구치 레진 치아를 전부 도재관을 위한 지대치를 형성하고 PMMA (polymethylmethacrylate) 레진 블록을 가공하여 10개의 시편을 복제하였다. 복제한 레진 다이의 인상을 채득하고 모형을 제작하여 5개는 열가압 소성법으로 IPS e.max Press (Ivoclar Vivadent, Schaan, Liechtenstein)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다른 5개의 시편은 CAD-CAM 가공법(Ceramil motion 2, Amann Girrbach, Koblach, Austria)을 이용하여 IPS e.max CAD 도재관을 제작하였다. 각 레진 다이에 전부 도재관을 인산아연 시멘트(Fleck's zinc cement, Keystone industries, Gibbstown, NJ, USA)로 손가락 압력에 의해 합착하였다. 변연 및 내면 적합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합착된 시편 10개를 먼저 micro CT로 촬영하여 협-설 시상면의 영상정보를 획득하였다. 그 후 절단 시편을 만들어 주사전자현미경으로 micro CT와 동일한 지점의 간극을 측정하였다. SPSS 2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측정 지점에서 제작 방식별, 측정 방식별로 Mann-Whitney 검정 방법을 통해 유의차 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으로 측정한 변연 및 내면 적합도는 유사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두 가지 제작법의 도재관은 변연 및 내면 적합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CAD-CAM과 열가압소성으로 제작한 전부 도재관은 적합도에 차이를 보이고 있지 않으며, Micro CT와 주사전자현미경을 이용한 측정 방식 모두 임상적으로 이용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수종의 post와 IPS-Empress Ingot 두께가 전부 도재 수복물 최종색조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EVERAL POSTS AND IPS-EMPRESS INGOT THICKNESS ON THE FINAL SHADE OF ALL-CERAMIC CROWNS)

  • 복원미;최근배;박찬운;안승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5호
    • /
    • pp.514-523
    • /
    • 2004
  • Statement of problem: All-ceramic restorations have been advocated for superior esthetics. Various post and core systems have been used to improve the strength of damaged teeth, but it is unclear whether they affect the final shade of finished all-ceramic restorations. Purpose: The influence of different types of post and core systems on light transmission through all-ceramic crowns was assessed by spectrophotometric analysis. Also the masking effect of different thickness of ceramic ingot was evaluated. Material and Methods : Forty-five sample disks (15mm in diameter) at several thickness(1.0, 1.5, 2.0mm) and value(shade 100, 200, 300) were made in heat pressed ceramic(IPS-Empress). Background specimens simulating gold-alloy cast posts(Type III casting gold alloy), metal posts(Ni-Cr casting alloy) and ceramic posts(CosmoPost) were fabrica-ted. Resin composite(Z250, A3 shade) was used as a tooth substrate reference. For each combination, the change in color was measured with a spectrophotometer. Readings were performed for 2 conditions (1) ability of ceramic to mask the core in relation to its thickness(1.0, 1.5, or 2.0mm) ; (2) influence of post and core types on the final color of the ceramic. Data were recorded according to the CIE $L^*a^*b^*$ systems and color difference($\Delta$E) was calculated. Results: 100 shade ingot: when ceramic thickness was 1.0mm, $\Delta$E value for ceramic post larger than 1 but $\Delta$E value for metal and gold post was larger than 2. For ceramic thickness of 1.5mm, only $\Delta$E value for metal was larger than 2, and the other samples' $\Delta$E value was smaller than 2. For ceramic thickness of 2.0mm, $\Delta$E values for all specimens was smaller than 2. 200 shade ingot: when ceramic thickness was 1.0mm, $\Delta$E value for ceramic post was smaller than 1 but $\Delta$E value for metal and gold post was larger than 2. For ceramic thickness of 1.5 mm, only the $\Delta$E value for metal was larger than 2, and the other samples' $\Delta$E value was smaller than 2. For ceramic thickness of 2.0mm, $\Delta$E values for all specimens was smaller than 1. 300 shade ingot: when ceramic thickness was 1.0mm, only $\Delta$E value for metal was larger than 2 and the other samples' $\Delta$E value was smaller than 2. For ceramic thickness of 1.5mm, $\Delta$E values for all specimens was smaller than 1. For ceramic thickness of 2.0mm, $\Delta$E values for all specimens was smaller than 1. Conclusion: The final esthetic result of the IPS-Empress glass-ceramic restoration was not affected by the presence of different core materials when the thickness was more than 2.0 mm. When ceramic thickness decreases to 1.5mm, it is advised to take the substrate aspects into consideration. If the ceramic thickness is less than 1.0mm, using the tooth color matched substrate is strongly recommended.

CAD/CAM 세라믹 인레이에 대한 3종의 레진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of the three different kinds of resin cement on CAD/CAM ceramic inlay)

  • 백철우;박철우;박준섭;류재준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20-26
    • /
    • 2013
  •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최근 심미수복에 주로 사용되는 CAD/CAM 세라믹 인레이와 각종 레진 시멘트간의 결합강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기둥 모양의 세라믹 블록(높이: 5 mm, 직경: 3 mm)을 Cerec3로 제작하고, 총 90개의 우식이 없는 대구치의 상아질 표면에 세 종류의 레진 시멘트(Unicem$^{(R)}$, Biscem$^{(R)}$, Variolink II$^{(R)}$)를 사용하여 각각 제조업체의 지시에 따라 접착했다. 90개의 시편을 레진 시멘트의 종류에 따라 3개의 군으로 나누고, 각 군의 절반은 $5-55^{\circ}C$, 5,000 cycle 조건 하에서 thermocycling을 시행하였고, 다른 절반은 시행하지 않았다. 모든 시편은 결합강도를 측정하기 전에 $37^{\circ}C$ 생리 식염수에 24시간 동안 보관되었다. 전단결합강도는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0.5 mm/min의 cross head speed로 측정하였다. 결과 값은 t-test 및 one-way ANOVA를 사용하여 통계 분석하였다. 결과: Unicem$^{(R)}$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thermocycling 후에 약간 감소했으나 3 개의 군 중 가장 높은 결합 강도를 보였다. Unicem$^{(R)}$ 및 Valiolink II$^{(R)}$ 군의 전단결합강도가 thermocycling에 영향을 받았지만 Biscem$^{(R)}$은 영향을 받지 않았다(P<.05). Thermocyling 전에는 3개의 군 간의 결합강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 thermocyling 후에는 Unicem$^{(R)}$과 Valiolink II$^{(R)}$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결론:CAD/CAM 세라믹 인레이 수복물을 치아에 접착할 때, etch-and-rinse 레진 시멘트인 Valiolink II$^{(R)}$ 대신self-adhesive 레진 시멘트인 Unicem$^{(R)}$과 Biscem$^{(R)}$을 사용해도 임상적으로 유용하다.

착색지르코니아 코어와 전장 도재 사이의 전단결합강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hear bond strengths of veneering ceramics to the colored zirconia core)

  • 강선녀;조욱;전영찬;정창모;윤미정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7권3호
    • /
    • pp.312-319
    • /
    • 2009
  • 연구목적: 지르코니아-도재 수복물에 있어 상부도재와 코어 사이의 결합 실패가 종종 보고되어 왔으며 특히 착색지르코니아 코어는 기존의 백색 지르코니아보다 상부 도재와의 결합력이 약하다고 보고된 바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착색 지르코니아 코어 위의 상부도재를 적층식과 열가압식으로 제작하여 그 전단결합강도를 알아보고, 이를 전통적인 금속-도재간 결합강도와 비교하여 그 임상적 안정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금속도재군 (MC)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전통적인 금속도재군 (MC)과 지르코니아 코어를 사용한 두가지 군 (ZB, ZP)에 대하여 각 시스템별로 10개씩, 총 30개의 시편을 제작했다. CAD/CAM을 이용해 직경 12 mm, 높이 2.8 mm의 원판형 지르코니아 코어 (Katana zirconia)를 제작하고, 그 상부에 직경 2.8 mm, 높이 3 mm의 도재를 축성했다. ZB군은 CZR을 이용하여 적층법으로 상부도재를 제작했으며 ZP군은 NobelRondo Press ingot를 열가압하여 제작했다. Shear bond test machine (R&B Inc. Daejeon, Korea)을 이용하여 분당 0.50 mm의 속도로 파절이 일어날 때까지 전단력을 가하여 최대적용력 (N)을 측정하여 전단결합강도를 계산하고,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에서 검정하였다. 파절양상을 알아보기 위하여 전자주사현미경을 통해 파절단면을 관찰했다. 결과: 평균 전단강도 (SD)는 MC 대조군 29.14 (2.26); ZB 29.48 (2.30); ZP 29.51 (2.32) 이었다. 실험군과 대조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모든 실험군에서 접착성 실패와 응집성 실패가 혼재된 양상을 보였으며, 응집성 실패가 우세했다. 결론: 1. 착색지르코니아 코어와 상부도재들 간의 전단결합강도는 금속 도재간 전단결합강도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2. 착색지르코니아 코어의 상부도재를 제작하는 방식에 있어 적층법과 열가압법 간의 전단결합강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 > .05). 3. 파절양상은 응집성 파절이 우세한 가운데 접착성 파절과 응집성 파절이 혼재되어 나타났다.

상아질의 봉쇄 시기와 표면처리 방법이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air abrasion and different dentin sealing techniques on microtensile bond strength to dentin)

  • 강동호;한종현;박정원;김선재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8권1호
    • /
    • pp.8-15
    • /
    • 2010
  • 연구 목적: 본 연구에서는 자가부식 접착제를 이용한 즉시 상아질 봉쇄 (immediate dentin sealing; IDS)와 지연 상아질 봉쇄 (delayed dentin sealing; DDS)에서 상아질 접착제의 결합강도를 비교하고 즉시 상아질 봉쇄에서 접착제 표면의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air abrasion이 상아질에 대한 미세 인장 결합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에 대해 평가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1개월 이내에 발거된 사람의 건전한 대구치 30개를 6개의 군으로 분리하였고 상아질 접착제로는 자가부식 접착제 Clearfil SE bond (Kuraray, Okayama, Japan)를 사용하였다. 군분류는 치관부를 삭제하여 상아질을 노출시킨 후 즉시 접착제를 도포하고 복합레진 Filtek Z250 (3M ESPE, St Paul, MN, USA)을 충전한 군을 대조군 (Control), 노출된 상아질에 즉시 상아질 접착제를 도포하고 2주 후 재차 접착제를 도포해 복합레진과 같이 광중합하는 즉시 상아질 봉쇄군 (IDS), 상아질 노출 후 상아질 접착을 즉시 시행하지 않고 2주 후 상아질 접착과 복합레진의 충전을 시행하는 지연 상아질 봉쇄군 (DDS)으로 분류하였다. 그후Control군에 air abrasion을 시행한 군을 C-A, IDS군에 air abrasion을 시행한 군을 IDS-A군, DDS군에 air abrasion을 시행한 군을DDS-A군으로 세분화하였다. Control군과 C-A을 제외한 모든 군은 2주간 Fermit을 이용한 임시수복기간을 두었으며 대조군과 실험군 모두 미세인장 결합강도 실험 전 24시간동안 증류수에 보관 후 미세인장 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된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one-way ANOVA를 이용하여 비교 분석하였으며 유의차가 있는 경우 Scheffe test를 이용한 사후검증을 시행하였다. 결과: 1.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를 치아 삭제 직후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2주간 임시수복 기간을 거친 후 접착제를 재도포하고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과 치아삭제 후 2주간의 임시수복기간을 거친 후 상아질 접착을 시행하고 복합레진을 수복한 군 사이에 상아질-레진 간 미세인장 결합강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5). 2. 자가부식 상아질 접착제인 Clearfil SE bond를 상아질 접착 시행 전 $50{\mu}m$ 크기의 aluminum oxide particle로 air abrasion 처리하는 것은 상아질-레진 간 미세인장 결합강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았다 (P>.05).

시편 제작 방법이 지르코니아 코어와 비니어링 세라믹의 미세 인장결합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pecimen preparation method on the microtensile bond strength of veneering ceramic to zirconia)

  • 김기연;여인성;김성훈;한중석;이재봉;양재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114-119
    • /
    • 2011
  • 연구 목적: 미세 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 제작 시 발생하는 스트레스가 결합강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통 모양의 지르코니아 블럭을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디스크 형태로 자른 후 소결하였다. 소결된 지르코니아 디스크에 소성시 수축을 고려한 적당한 크기의 틀을 제작하여 LAVA ceram (3M ESPE, Seefeld, Germany) 도재를 축성한 후 소성하였다. 먼저 그룹 1은 디스크 모양의 시편을 충분히 물을 뿌려가며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하여 $1{\times}1{\times}7\;mm^3$의 막대기 모양으로 저속에서 절단하였다 (n = 15). 그룹 2는 같은 방법으로 $1.2{\times}1.2{\times}7\;mm^3$로 자른 후 두꺼운 다이아몬드 디스크를 이용해 $1{\times}1{\times}7\;mm^3$로 트리밍하였다 (n = 15). 그 후 특별히 제작된 지그에 각각의 시편을 core-veneer의 접착면이 오염되지 않도록 조심히 접착한 후 미세 인장결합강도 측정기 (Instron 8848, $Instron^{(R)}$ Co., Norwood, USA)를 이용하여 미세 인장결합강도를 측정하였다. 측정이 끝난 시편은 파절면을 stereomicroscope (MZ6, Leica Microsystems GmbH, Wetzlar, Germany) 로 30배 확대 관찰하여 파절의 종류를 구분하였다. 결과: 지르코니아 코어와 비니어링 세라믹 간의 평균 미세 인장결합강도는 절단만 시행한 그룹은 $28.8{\pm}7.0\;MPa$, 절단 후 트리밍을 한 그룹은 $11.0{\pm}33\;MPa$로 절단후 트리밍을 한 시편이 유의성 있게 결합강도가 낮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P=.00). 결론: 미세 인장결합강도 측정을 위한 시편 제작 시 가능한 한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고 미세 시편을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경사지게 식립된 임플랜트 모형에서 지대주를 인상용 코핑으로 이용한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 비교 연구 (Comparative accuracy of new implant impression technique using abutments as impression copings with an angulated implant model)

  • 이혁재;김창회;임영준;김명주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01-208
    • /
    • 2008
  • 연구목적: 시멘트 유지형 지대주를 인상용 코핑으로 이용하고 레진이나 금속 구조물에 접착하여 스플린팅하는 새로운 인상법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목적은 첫 번째, 3개의 임플랜트가 $15^{\circ}$ 경사지게 식립된 모형에서 closed tray 인상법과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의 정확성을 비교하는 것이고 두 번째,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을 앞의 두 가지 인상법과 비교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3개의 임플랜트 아날로그가 선상으로 배열되고 가운데 아날로그는 모형에 수직이고 양쪽 끝 아날로그는 이것에 앞뒤로 $15^{\circ}$ 경사지게 배열된 주모형과 주모형에 잘 적합되는 기준구조물을 제작하였다. closed tray 인상법,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 지대주-레진구조물 접착 인상법, 지대주-금속구조물 접착 인상법, 각 10개씩 40번의 인상을 채득하여 복제모형을 제작하였다. 이미지 처리할 수 있는 광학 현미경을 이용하여 기준구조물과 복제모형내의 아날로그와의 수직간격을 측정하여 인상의 정확성을 평가하였다. 통계처리는 one-way ANOVA와 사후 검정으로 Tukey test를 5% 유의수준으로 시행하였다. 결과: closed tray 인상법;74.3 (${\pm}33.4$)${\mu}m$의 간격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과 다른 두 가지 새로운 인상법보다 간격의 크기가 통계적 유의성 있게 컸다(P<.05). 지대주-금속구조물 접착 인상법;42.5 (${\pm}11.9$)${\mu}m$은 다른 인상법들 보다 간격의 크기가 통계적 유의성 있게 작았다(P<.05). 지대주-레진구조물 접착 인상법;51.0 (${\pm}14.1$)${\mu}m$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50.3 (${\pm}16.9$)${\mu}m$과 통계적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5). 결론: 이 연구의 한계 내에서,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은 closed tray 인상법보다 우수한 정확성을 나타내었고, 지대주를 금속구조물에 접착하는 새로운 인상법의 정확성은 레진 스플린팅한 open tray 인상법보다 우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