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과교정학회

검색결과 2,948건 처리시간 0.027초

하악후방이동수술후 기도, 혀 및 설골의 위치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AIRWAY, TONGUE, AND HYOID POSIT10N FOLLOWING ORTHOGNATHIC SURGERY)

  • 정동희;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87-498
    • /
    • 1998
  • 이 연구는 하악전돌증의 하악후퇴수술후에 기도의 크기변화, 혀의 공간적 위치 및 형태변화,설골의 위치변화를 계측하여 이들의 순응양상을 관찰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하악전돌증의 하악후퇴수술후 최소 6개월이상의 추적관찰기간중 임상적으로 양호한 수술결과를 보이는 37명을 대상으로 촬영한 수술직전, 수술직후 및 최소 6개월이상의 추적기간경과후에 촬영된 측모 두부 엑스선 규격사진을 연구자료로 하여 계측, 통계처리 및 분석을 통하여 다음의 결론을 얻었다. 1. 비인두부와 후두인두부의 기도크기는 수술에 의한 변화가 없었으나, 구강인두부의 기도크기는 수술직후 경미한 감소를 보였고, 추적조사기간중에 감소상태로 순응하였다. 2. 두개저에 대한 설골의 위치는 수술직후 후하방이동하였고, 추적조사기간동안에 복귀되는 양상을 보였으나, 수술전에 비해 후하방이동된 위치에서 순응하였다. 설골에서 이극까지의 거리는 수술직후 감소하고, 추적조사기간중에도 계속 감소하는 순응양태를 보였다. 3. 두개저에 대한 혀의 위치는 혀의 배면이 수술직후 하방으로 이동하였다가, 추적조사기간중에 상방이동하여 원래의 위치에서 순응하였고, 수술직후 후퇴하여 그 위치에서 순응하였다. 혀의 후상방부는 수술직후 변화 없다가 추적조사기간에 상방으로 이동하여 순응하였고, 수술직후의 추적조사기간에 전후방적변화가 없었다. 설근부는 수술직후 에 후하방으로 이동하여 추적조사기간중 그 위치에서 순응하였다. 4. 혀의 형태변화는 설골에서 설배면까지의 거리가 수술직후 증가하였다가, 추적 조사기간에 감소하였으나, 수술전에 비하여 증가하였고, 설골에서 혀의 후상방부 및 설근부까지의 거리는 수술후 증가되어 추적조사기간중에 유지되었다. 5. 수술에 의한 하악골의 후방이동량은 기도, 혀 및 설골의 위치변화량 및 크기변화량과 전반적으로 상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 PDF

ROC 분석을 이용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수평계측방법간 비교연구 (COMPARATIVE STUDY ON THE HORIZOTAL MEASUREMENTS OF SKELETAL CLASS III MALOCCLUSION USING THE ROC ANALYSIS)

  • 최희영;장영일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53-163
    • /
    • 1995
  • 본 연구는 III급 부정 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수평 부조화의 진단에 이용되는 여러 진단 항목들의 진단학적 효율과 타당성을 ROC analysis로 비교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ROC(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analysis는 연속적으로 변하는 cut-off value에서의 sensitivity와 1-specificity에 의해 그려지는 곡선으로서 진단 방법의 타당성을 결정하고, 여러 진단 방법들을 비교하는 분석법으로 알려져 있다. 부정교합자 496명을 대상으로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과 진단모형을 이용하여, 진단모형 계측을 통해 부정교합군을 분류하였으며, 이중 III급 부정 교합자는 245명이었다. 측모 두부 X-선계측사진에서 16개의 계측항목을 선정하였으며, 이 계측항목들과 III급 부정교합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각도 계측항목에서는 $1^{\circ}$ 간격으로, 선계측항목에서는 1mm의 간격으로 sensitivity와 specificity를 구해 ROC curve를 그렸다. 그리고, 이 계측항목들의 직접적인 비교를 위해 ROC curve 아래의 면적을 계산해냈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III급 부정교합을 판별하는데 있어, "Wits" appraisal이 다른 계측 항목에 비해 더 나은 진단 효율을 보였다. 2. AB plane angle, ANB angle, App-Bpp distance, AF-BF distance, APDI, N perpendicular to A 와 Pog to N perpendicular의 차이, maxillomandibular differential도 높은 진단 가치를 보였다. 3. 하악골의 위치를 평가하는 계측항목은 중정도의 진단 효율을 보였다. 4. 상악골에 대한 계측항목은 III급 부정교합의 판별에 대한 진단 가치가 낮았다.

  • PDF

한국 성인의 두경부자세와 두개안면형태에 관한 두부 X-선 계측학적 연구 (STUDY OF CRANIOCERVICAL POSTURE AND CRANIOFACIAL MORPHOLOGY IN KOREAN YOUNG ADULTS)

  • 박은주;서정훈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9-142
    • /
    • 1995
  • 본 연구는 한국성인의 두경부자세와 두개안면형태를 두개내 및 두개외 기준선에 대하여 알아보고 그 상관성을 평가하여 향후 진단시 보조적 자료로 사용하고자하여 시행되었다. 양호한 안모와 1급 구치관계를 지닌 성인 남, 녀 각 25명씩 총 50명에 대하여 natural head position 측모 두부 X-선 계측사진을 촬영하여 투사도를 그린후 posterior nasal spine을 지나는 true vertical line과 sella를 지나는 true horizontal line을 기준으로하여 자세변수 및 형태변수를 계측, 계산하였다. SPSS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남녀평균, 표준편차를 구하고 student t-test로 유의차를 검정한후 자세변수와 형태변수간의 상관관계를 보았으며, 또한 자세변수를 이용하여 두경부자세의 재현성을 평가하여 다음과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한국성인에서의 두경부자세변수와 두개안면형태변수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2. 한국성인은 OPT/CVT간 각에 있어서 $3.55{\pm}2.58^{\circ}$의 경추 전방만곡을 보였다. 3. 자세변수와 형태변수의 상관관계에서는 두경부자세와 안면의 수직적인 비율, 안면돌출도, 하악골의 회전이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4. 두경부자세와 상하악간 관계, 전후방적 악골비율의 상관관계는 미약하였다. 5. Natural head position에서의 head positioning error는 $1.65^{\circ}$로 SN line의 개인간 변이도 $3.31^{\circ}$ 보다 작았다. 다른 자세변수도 head positioning error가 각 변수들의 개인간 변이도보다 작았다.

  • PDF

상악골 전방 견인이 상악골체의 변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MAXILLARY PROTRACTION ON THE DISPLACEMENT OF THE MAXILLA)

  • 고정석;김종철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43-555
    • /
    • 1995
  • 골격성 부정교합에 대한 악정형 치료시, 바람직한 악정형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악정형 장치의 역학 현상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상악의 저성장에 기인한 골격성 III급 부정교합의 치료를 위한 상악골의 전방견인시 바람직한 견인력 방향과 견인 위치를 알아보기 위해, 성인 두개골을 대상으로 3차원 유한 요소 모델을 제작하여, 제1소구치와 제1대구치에서 각각 교합평면에 평행 또는 $20^{\circ}$ 하방으로 500g의 전방 견인력을 주어 상악골체의 각 부분에서 응력과 변위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모든 경우 상악골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양상을 보였다. 2. 견인력 방향에 따른 상악골의 회전은, $20^{\circ}$ 하방으로 견인하는 경우가 평행하게 견인하는 경우보다 더 적었다. 3. 견인 위치에 따른 상악골의 회전은, 평행하게 견인시에는 견인 위치가 제1대구치일 때가, $20^{\circ}$ 하방으로 견인시에는 제1소구치일 때가 더 적었다. 이상의 결과 견인력 작용선이 상악골체의 저항 중심점에 가장 근접하여 반시계 방향으로의 변위가 가장 적게 일어난 제1소구치에서 $20^{\circ}$ 하방으로 견인한 경우가 바람직한 견인력 방향과 견인 위치로 판단되었다.

  • PDF

한국인 두개안면골 성장변화 (16.5세에서 18.5세까지) (A LONGITUDINAL CEPHALOMETRIC STUDY OF THE CRANIOFACIAL GROWTH CHANCES OF KOREAN AGED FROM 16.5 TO 18.5 YEARS)

  • 성재현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557-566
    • /
    • 1995
  • 정상교합자의 사춘기 이후의 두개안면골 성장변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16세와 18세에 촬영한 연속 두부X선규격사진을 분석하였다. 대상은 남자 19명과 여자 14명이였으며 이들의 평균연령은 16.5세와 18.5세이였다. 관찰기간동안에 남자는 상,하악골, 두개저, 전,후방안면높이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P<0.05), 여자에서는 하악골길이(Ar-Gn, Ar-Go) 그리고 전,후방안면높이에서만 유의한 증가가 있었다(P<0.05). 그러나 이 기간 동안 성장량은 여자에서는 전 계측항목에서 1mm이하 였으며, 남자에서는 전체 하악골길이 (Ar-Gn)는 2mm, 하악체길이 (Go-Me), 하악지길이(Ar-Go), 전,후방안면높이 (Na-Me, S-Go)는 $1mm\~1.54mm$였고, 나머지 항목은 1mm이하의 증가를 보였다. 또한 이 기간 동안에도 남자에서는 하악골평면각(SN/Mp)이 $-0.61^{\circ}$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하악골의 전방으로 닫히는 변화가 있었다(p<0.01). 종합하면 본 연구기간동안에 여자는 비록 일부 항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나 그 양이 미미하여 임상적으로 그 변화를 인지할 수 없을 정도였으나 남자에서는 하악골과 관련된 부위에서 상당량의 증가가 인정되었다.

  • PDF

안면 비대칭의 평가를 위한 기준에 관한 정모 두부 방사선 계측학적 연구 (A FRONTAL CEPHALOMETRIC STUDY ON THE REFERENCE LINES TO ASSESS THE CRANIOMAXILLOFACIAL ASYMMETRY)

  • 백선호;안병근;김선해;손흥범;한호진;강수만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5
    • /
    • 1993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vestigate the midline having the least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and left structures among the lines that had been used in the study of the craniomaxillofacial asymmetry. The sample of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six Korean girls(average 18.9 years old) having normal facial appearance and occlusion. On the frontal cephalometric films of the sample, we divided the whole craniomaxillofacial area into four portions, i.e., cranial, upper facial, lower facial, and dental portion. So, we have found the midlines having the least difference in the whole craniomaxillofacial area itself, and in the each divided four portions, furtherly in the other portions from aimed portion. The findings were as follow: 1. In the whole craniomaxillofacial area, the connecting line between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and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foramen rotundums were suitable for the midline. 2. In the cranial portion, established all six lines were suitable for midlines. In the other portions, the perpendicular bisection line between both condylion, the line passing the contact point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central insisiors among the perpendicular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central incisial tips were suitable midlines fe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cranial portion. 3. In the upper facial portion,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zygions was the most suitable midline. In the other portions, the line between the crista galli and the most superior point of the odontoid process,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gonions,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condylions, and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foramens rotundum were suitable midlines fo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the upper facial portion 4. In the dental portion,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buccal cusps of both maxillary first molars and between right and left mandibular first molars were suitable midlines. In the other portions,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landmarks crossing the lesser wing of the sphenoid bone and orbit,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mental foramens, and the connecting line between crista galli and prosthion were suitable midlines fo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dental portion. 5. In the lower facial portion,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condylions and between right and left gonions were suitable midlines. In the other portions, the line between the crista galli and anterior nasal spine,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 between right and left foramen rotundums, and the perpendicular bisecting lines between right and left buccal cusps of both mandibular first molars and between right and left maxillary first molars were suitable midlines for evaluating the asymmetry of the lower facial portion.

  • PDF

Utility Arch Wire 적용시 상악 중절치 및 측절치의 초기 응력 분포에 관한 3차원 유한요소법적 연구 (A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for initial stress of maxillary incisiors during activation of upper utility arch wire)

  • 이종현;차경석;이진우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11-424
    • /
    • 1999
  • Utility arch wire를 이용한 상악 4절치 압하시 중절치와 측절치의 초기 응력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컴퓨터 단층 촬영된 정상 교합자의 치아 사진으로부터 유한요소 모델을 만든 후 beam요소로 만든 utility arch wire의 구치부에 $45^{\circ}$ tipback을 부여하고 전치부에 $5^{\circ},\;10^{\circ},\;15^{\circ}$ crown lingual torque를 부여하여 activation한 후 치아와 치근막 유한요소 모델에 적용하여 해를 구한 다음 중절치와 측절치의 치경부, 치근 중간부, 치근첨부의 세 부분에서 초기 응력분포를 조사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중절치는 $5^{\circ},\;10^{\circ},\;15^{\circ}$ activation 했을 때 치경부의 원심 구개측과 치근첨의 근심 순측에서는 압축이, 치경부의 근심순측과 치근첨의 원심 구개측에서 약한 인장이 나타나는 양상이 각각의 경우에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주응력의 크기 또한 거의 비슷하였다. 그러나 $10^{\circ}$ activation 했을 때 그 양상이 가장 강하였다. 2. 측절치는 $5^{\circ},\;10^{\circ},\;15^{\circ}$ activation했을 때 치경부의 순측과 치근 첨부의 구개측에서 압축이 치경부의 구개측과 치근첨부의 순측에서 인장이 나타나는 양상이 각각의 경우에 거의 비슷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10^{\circ}$ activation했을 때 그 양상이 가장 강하였다.

  • PDF

Precision-TPA를 이용한 구치부 회전시 근심 및 원심삽입법에 따른 동적인 치아이동 양상에 관한 실험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dynamic teeth movement of 3 types of the insertion method of Precision-TPA for derotating the posterior teeth)

  • 양성재;정성권;노준;전윤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25-433
    • /
    • 1999
  • 회전된 구치를 개선시키기 위해 사용하는 precision-TPA(transpalatal arch)를 삽입 방법들-근심삽입법, 원심삽입법, 확장력을 부여한 근심삽입법(이하 근심확장법) -에 따라 동적인 치아이동의 양상과 치열궁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해 본교실에서 개발, 제작한 Calorific machine을 이용하여 실험한 후 회전된 치아와 고정치간의 이동양상을 계측하여 통계처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구치간 폭경은 근심삽입법에 의해 감소하였고, 원심삽입법과 근심확장법에 의해서는 증가하였다. 2. 원심삽입법에 의해서 치열궁 장경이 가장 증가하였고, 근심확장법, 근심삽입법 순으로 증가하였다. 3. 근심삽입법의 회전중심은 근심소와(mesial pit)와 중심소와(central pit)사이에 위치하였고, 원심삽입법에서는 원심소와(distal pit)와 원심설측교두(distolingual cusp)사이에, 근심확장법은 원심소와(distal pit)에 위치하였다.

  • PDF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에 관한 연구 (SHEAR BOND STRENGTH AND FAILURE PATTERNS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RESIN BASE IN BRACKET BONDING)

  • 김재혁;황현식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659-668
    • /
    • 1998
  • 본 연구는 브라켓 간접부착술식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와 파절양상을 비교함으로써 레진 베이스 두께 증가시 전단결합강도의 저하여부를 평가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소의 하악 절치를 포매하여 만든 레진블럭에 micromanipulator를 사용하여 치면과 브라켓 기저면 사이의 광중합형 접착제가 0.0, 0.5, 1.0, 1.5, 2.0 mm두께가 되도록 각각 브라켓을 부착한 다음 만능물성시험기를 이용하여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하면서 레진 베이스의 두께를 증가시킨 경우와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경우로 나누어 전단결합강도를 측정하고 파절양상을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 경우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브라켓 기저부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가 감소함에 따라 전단결합강도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레진 베이스 두께의 증가와 함께 치면으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를 증가시킨 경우 전단결합강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유의차는 미미하였다. 3. 접착제 잔류지수를 이용하여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파절양상을 비교 관찰한 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실험결과를 볼 때 브라켓 부착시 레진 베이스의 두께에 따른 전단결합강도는 브라켓 기저부로부터 하중 위치까지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반면 레진 베이스 두께의 영향은 크게 받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한국인 7-17세 아동의 두개저, 상악, 하악의 성장에 관한 준종단적 연구 (A Semilongitudinal Study on Cranial Base, Maxillary and Mandibular Growth of Korean Children Aging 7 to 17 Years Old)

  • 손병화;김형순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23-35
    • /
    • 1999
  • 한국인 7세-17세 아동의 두개저, 상악, 하악의 사춘기 성장 양상을 파악해 보고자 남자 251개, 여자 286개의 측모두부계측방사선 사진을 이용, 10개의 계측점과 16개의 계측항목을 설정하고 계측항목에 대한 계측치와 각 연령별 년간 누년차를 산출한 다음 이들간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으며 각 계측항목을 두개저, 상악, 하악의 세군으로 분류하고 또 남녀별로 분류하여 비교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한국인 성장기 아동에 있어서의 성장은 남자 아동에 비해 여자 아동이 빠른 시기에 일어났다. 2. 두개저, 상악골, 하악골 모두 사춘기 성장을 나타내었으나 두개저의 성장은 안면골 성장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았다. 3. 두개저 성장에 있어서 전두개저 길이의 증가에 비해 중두개저 및 후두개저의 길이 증가가 현저했으며 사춘기 성장증가(circumpuberal growth spurt) 양상도 보다 명확했다.4. 상악골의 전하방 이동은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과 상악골 주위 봉합부의 성장에 따른 변위가 종합된 결과로 두개저에 대한 상악골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Ar-ANS와 Ar-Pr이 상악골 자체의 길이 성장을 나타내는 ANS-PNS보다 많은 성장량을 보였다. 5. 하악골은 수평 성장량에 비해 수직 성장이 약간 크게 나타났으나 유의할 수준은 아니다. 6. 상악 치조골과 하악 치조골은 유치 탈락후 영구치 맹출시기에 최대 성장률을 보인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하악 치조골의 수직성장에서는 사춘기 성장증가가 관찰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