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치간거리

검색결과 38건 처리시간 0.018초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자연치 치간거리의 평가 (Evaluation of interdental distance of natural teeth with 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

  • 오상천;공현준;이완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4호
    • /
    • pp.278-283
    • /
    • 2017
  • 목적: 본 연구 목적은 이상적인 임플란트 근원심적 식립 위치 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T)을 사용하여 건강한 자연치열에서 백악-법랑 경계부와 치조골 흡수를 가정한 그 하방 2 mm에서 전치, 소구치, 대구치의 치간거리를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병원에서 cone-beam CT를 촬영한 건강한 치열의 200명 환자를 선정하였다. Cone-beam CT 이미지를 DICOM (digital imaging and communication in medicine) 파일로 전환하여, 3차원 영상으로 재구성하였고, cone-beam CT 이미지를 표준화하기 위하여 head reorientation을 시행한 후, 전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재구성된 파노라마 이미지를 얻었다. 모든 계측은 3명의 치과의사에 의해 최적화된 파노라마 이미지 상에서 시행되었다. 결과: 백악-법랑 경계부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1.84 mm, 소구치 2.07 mm, 대구치 2.08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55 mm, 소구치 2.20 mm, 대구치 2.36 mm였다. 백악-법랑 경계부 하방 2 mm에서 상악 평균 치간거리는 전치 2.19 mm, 소구치 2.51 mm, 대구치 2.60 mm 그리고 하악은 전치 1.86 mm, 소구치 2.53 mm, 대구치 3.01 mm였다. 결론: 자연치열에서 치간거리는 전치부보다는 구치부에서 더 컸으며, 백악-법랑 경계부보다 그 하방 2 mm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전 치열에서 가장 좁은 곳은 하악 전치, 가장 넓은 곳은 하악 대구치였다.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이용한 내수용 승용차 내부 설계 평가 및 개선에 대한 연구

  • 신원경;정성재;박민용
    • 대한인간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인간공학회 1997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12-22
    • /
    • 1997
  • 본 연구는 현재 국내에서 생산되는 주요 승용차의 운전석과 운전석 주변 제어장치간의 규 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맞게 설계되었는지를 분석하고 평가하여 한국인의 신체에 적합한 승용차 내부설계의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최근의 한국인 인체 측정 자료를 이용하여 운전자가 운전석에서 갖추어야 할 편안한 자세를 3차원 인체 모델링 도구인 SAFEWORK을 이용하여 모델링하였다. 이 모델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사람과 환경과의 관계를 고정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와 기능적인 인체 측정 데이터를 동시에 고려하여 삼차원으로 모델링한 다음 현재 국 내에 판매중인 소형, 준중형, 중형승용차 3종류의 규격차를 적용한 시트를 SAFEWORK으로 설계하였다. 한국인 인체 측정 데이터로 만들어진 마네킨을 설계된 각각의 시트에 앉혀 시트의 규격과, 운전석 주변의 제어장치간의 규격에 대한 적합성 여부를 판단한 결과, 운전석에서 accelerator pedal까지의 거리와 volume control 까지의 거리, 운전석의 깊이와 뒷좌석 폭 등 연구대상이 된 3종류의 내수용 승용차의 주요 규격이 한국 성인의 신체에 부적합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에 한국 성인의 인체 측정 데이터에 적합한 시트와 주변 제어장치간의 설계 규격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치간 유두 소실로 인한 언더컷이 인상체의 체적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interproximal undercut o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impression)

  • 이주리;김석규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3권4호
    • /
    • pp.330-336
    • /
    • 2015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치간 유두의 소실로 인해 치아 사이에 언더컷이 존재하는 경우 이것이 인상체의 정확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법: 2종류의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Extrude^{(R)}$ Wash, $Imprint^{TM}$ II Quick Step Light Body)와 한 종류의 알지네이트 인상재(Cavex Impressional)로 상악 주모형의 인상을 채득하여 얻은 실험모형상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주모형과 비교하여 모형의 변형 정도를 측정하였다. 세 종류의 인상재에서 얻은 실험 모형들을 치간 유두가 존재하는 군과 존재하지 않는 군으로 나눠 총 6개의 군을 평가하였으며, 각 군당 6개의 모형을 측정하였다. 삼차원 광학 스캐너로 실험모형을 스캔한 후, 하나의 모형당 6개의 두 점 사이의 거리를 삼차원 디지털 계측 소프트웨어 상에서 측정하였다. 측정 거리의 변화 정도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모형의 변형률을 구하였으며, 이것을 이원분산분석을 이용하여 유의수준 .05에서 분석하였다. 결과: 측정거리 6개 중 3개에서 인상재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반면, 치간 유두의 존재 여부에 따른 차이는 알지네이트 인상재에서 하나의 측정 거리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을 뿐(P=.047), 다른 측정거리들과 인상재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치간 유두의 소실로 인한 언더컷의 존재가 부가중합형 실리콘 인상재와 알지네이트 인상재의 체적 정확도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았다.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 PC-CRASH의 주요 충돌 인자 설정 (Establishment of Important Impact Parameters of Traffic Accident Reconstruction Program "PC-CRASH")

  • 하왕수;한석영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55-164
    • /
    • 2003
  • 현재 국내에서는 교통사고 재현 방법이 노면 흔적물에 의존하여 이루어지고 있고, 노면 흔적물이 없는 경우 교통사고 재현은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외국에서는 충돌모델을 이용한 교통사고 재현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 PC-CRASH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각 사고마다 알맞은 충돌특성 인자 값을 사용자가 직접 입력하여 사용하여야 하나, 이를 활용할 수 있는 활용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에서 실제 발생된 교통사고 사례에 대해 교통사고 재현 프로그램인 PC-CRASH와 충돌에 영향을 미치는 충돌 인자들로 교통사고를 재현하였고, 차량의 최종위치간 거리와 자세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았다. 또한 실제 역 해석을 하기 위해 차량의 최종위치와 자세만으로 각각의 사례에 적절한 인자값을 추정할 수 있는 회귀식을 구성하였고, 통계적으로 신뢰성을 검증하였다. 사고 재현에 필요한 주요 충돌인자들의 초기치 설정시 추정식을 이용할 경우, 사고 재현 프로그램 활용 시, 시간 단축 효과를 프로그램 내부에 있는 유전자 알고리즘의 반복횟수로 추정식의 통계적 검증을 하였다.

한국인 정상교합자의 하악치열궁 형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F MANDIBULAR DENTAL ARCH FORM OF THE KOREAN WITH NORMAL OCCLUSION)

  • 남종현;이기수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535-546
    • /
    • 1996
  • 이 연구는 한국인 하악치열궁 형태를 분류하고, 교두정에서 브라켓 높이의 협면점까지 거리를 계측하여 이상적인 호선 제작에 도움을 얻기위하여 시행되였다. 13세에서 25세사이의 정상적인 교합자 159명의 석고모형을 대상으로 순측 및 협측 교두정을 지나는 하악치열궁선에서 견치간, 제1대구치간 및 제2대구치간 폭경과 이들의 고경을 계측한 다음, 유클리안 거리를 이용한 평균군집분석을 시행하여 치열궁형태를 5가지로 분류하고, 각각의 6차 다항식과 결정계수를 구하였으며, 교두정에서 브라켓 높이의 협면점까지의 거리를 계측하고 비교검토하여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5가지 하악치열궁선을 실제의 크기로 작도하고, 1형, 2형, 3형, 4형 및 5형으로 명명하였다. 2. 각각의 치 열궁선은 하악 제2대구치간 폭경으로 표현되는 6차다항식과 결정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이 식으로 $97\%$이상 설명이 가능하였다. 3. 각 치열궁선의 분포는 5형이 $24.5\%$로 가장 많았으며, 2형과 3형이 각각 $20.8\%$ 1형은 $17.6\%$, 4형은 $16.3\%$의 분포를 보였다. 4. 한국인의 하악치열궁선은 프랑스인에 비하여 폭경이 넓고 고경이 낮은 특성을 보였다. 5. 교두정에서 브라켓높이의 협면점까지의 거리는 절치가 1.0, 견치는 1.9, 제1소구치는 2.6, 제1 및 제2 대구치는 2.7 이였다.

  • PDF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을 이용한 한국인의 본윌 삼각에 대한 평가 (Evaluation of Bonwill triangle using cone beam computerized tomography in Korean)

  • 공현준;오상천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4권2호
    • /
    • pp.97-103
    • /
    • 2018
  •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콘빔형 전산화단층영상(cone-beam computerized tomography)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본윌 삼각을 평가함으로써 그간 서양인을 기준으로 제시된 본윌 삼각 관련 수치와 비교하기 위함이다. 연구 재료 및 방법: 원광대학교 치과대학 대전치과병원에 내원하여 Cone-beam CT를 촬영한 환자 중, 본 연구의 기준에 적합한 한국인 120명(남성 60명, 여성 60명)이 선택되었으며 Invivo 5.1 (Anatomage, San Jose, USA)가 Cone-beam CT scan을 분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축의 방향설정을 시행한 후, 과두간 거리는 각 과두의 중심점을 지정하여 측정하였으며, 과두-절치간 거리는 과두 중심점과 하악 양 중절치 절단연의 접촉점을 지정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23.0 (IBM Inc., Armonk, US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independent t-test를 이용하여 성별에 따른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결과: 한국인의 평균 과두간 거리는 105.9 mm였으며, 남성(108.3 mm)이 여성(103.4 mm)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한국인의 평균 과두-절치간 거리는 105.2 mm였으며, 남성(108.1 mm)이 여성(102.3 mm)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에서 측정된 한국인의 과두간 거리는 105.9 mm로 서양인을 대상으로 제시된 110 mm에 비해 작은 값을 보였으며, 남성이 여성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크게 나타났다. 본 제한된 연구 결과를 근거로 한국인의 보철적 수복 시 과두간 거리를 좀 더 개인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교합기 사용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국유림도(國有林道)의 노선선형(路線線形)과 지형(地形)과의 관계분석(關係分析) (The Analysis of Relationships between Road Alignment and Terrain Conditions for National Forest Road)

  • 차두송;조구현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4권4호
    • /
    • pp.517-524
    • /
    • 1995
  • 본 연구는 5개 영림서(원주, 강릉, 안동, 남원, 공주영림서)의 국유림도(國有林道)를 대상으로 임도노선선형(林道路線線形)의 특성을 파악함과 동시에 노선선형의 평가치간의 관계, 평가치와 지형과의 관계 등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임도우회율(林道迂廻率)은 강릉영림서 및 원주영림서가 직선거리 100m, 200m 및 300m에서 0.3~0.5, 안동, 남원 및 공주영림서는 0.2~0.3으로 나타났다. 2. 평면선형(平面線形)은 강릉과 원주영림서, 남원과 공주영림서 및 안동영림서가 각각 다른 3개 유형으로, 종단선형(縱斷線形)은 전 영림서가 유사한 경향으로 나타났다. 3. 임도노선선형(林道路線線形)의 평가치간의 관계에서 직선거리에 대한 임도우회율 및 평면선형 평가치(곡선장률, 곡선반경의 역수의 합 및 교각의 합)의 상관관계는 낮게, 평면선형(平面線形)의 평가치간의 상관관계는 높게 산출되었다. 4. 임도노선선형(林道路線線形)과 지형(地形)과의 관계에서 경사는 평면선형과, 곡빈도는 임도우회율과 밀접한 관계를 보여 주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