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량데이터

Search Result 826, Processing Time 0.025 seconds

Shoreline survey and sounding using SHOALS (SHOALS를 이용한 해안선측량 및 수심측량)

  • Jung, Hyun;Choi, Yun-Soo;Yoon, Ha-Su;Lee, Yoo-Ju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8.10a
    • /
    • pp.331-332
    • /
    • 2008
  • 단빔, 멀티빔, 사이드스캔소나 등을 이용하여 해저면의 위치나 형상파악을 하는 방법은 측량시간과 비용이 막대하게 소요되고 해안절벽과 도서지역은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관계로 이러한 측량환경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항공기에 레이저 측량장비를 탑재하여 해저면의 수심을 측량할 수 있는 기술이 확산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실험지역에 대하여 항공레이저 수심측량을 실시하고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안선을 추출하였다. 해저면 지역에 대하여 단빔 수심측량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실험지역 A에서는 표준편차가 ${\pm}1.795m$, 실험지역 B에서는 표준편차가 ${\pm}2.251m$로 제시되었다. 또한 SHOALS 데이터와 7개의 암초에 대하여 9개 지점의 암초 수심측량 값과 비교하였으며, 암초 수심측량 값의 측량밀도가 적어 암초의 형상을 3차원으로 재현함에 있어서 한계가 존재하지만 SHOALS 데이터를 이용하여 암초에 대한 형상을 정확하게 3차원으로 표현할 수 있었다. 육지지역에 대한 SHOALS 데이터 검증을 위하여 라이다 데이터와 비교 한 결과, $0.16m{\pm}0.16m$로 나타났으며, 1/1,000 수치지형도와 비교한 결과, $0.51m{\pm}0.26m$로 SHOALS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국내에서도 SHOALS 데이터를 이용하여 해안선측량 및 수심측량에 적용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였으며, 현행 수심측량으로 어려움이 많은 수심이 낮은 천소지역과 접근이 어려운 절벽지역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제시하였다.

  • PDF

The accuracy analysis and The practical use of the Total Surveying System with PBLIS data (PBLIS 데이터를 이용하여 토탈측량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및 활용)

  • Kim, Kam-Lae;Ra, Yoong-Hwa;Park, Ju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3.04a
    • /
    • pp.531-534
    • /
    • 2003
  • 본 연구는 지적도면전산화사업으로 수치화된 데이터를 PBLIS에 이용하여 지적업무를 수행하고 있으며, 이 데이터를 토탈측량시스템(Pen컴퓨터)에 활용함으로서 도해지적에서 발생되는 제도오차, 축척오차 및 지적도면의 신축오차 등의 기술적인 오차와 측량을 할 때마다 측량사에 따른 개인오차를 제거하여 정확도를 향상시키고, 인접 필지의 반복적인 실형 측량을 배제함으로서 현장에서 소요되는 시간이 절약하게 될 것이다.

  • PDF

A New Technology of TIN for Port and Harbor (항만 공사에도 TIN시대 개막)

  • 김동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Coastal and Ocean Engineers Conference
    • /
    • 1995.10a
    • /
    • pp.31-31
    • /
    • 1995
  • TIN은 Triangulated Irregular Network의 약자로 불규칙한 대소삼각형의 집합으로 삼각망을 구성, 지표면을 Digital Terrain Model로 만드는 기법이다. 지표면(해저지형포함)은 수치화된 등고선의 벡터 데이터와 점의 표고데이터 또는 표고 평행배열의 Raster데이터로부터 모형화되며 또는 제 3의 방법인 TIN에 의해 모형화된다. 이 TIN에 의한 도형은 컴퓨터가 위성측량, 항공측량, 광파측량 또는 음차수심측량등 측량결과를 받아 어떤 특정 프로그램을 구동 삼각형의 정점에 해당하는 점의 X, Y, Z의 좌표로부터 닫한 삼각형을 작성한다. (중략)

  • PDF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ata Survey of Cadastral Surveying (지적측량 자료조사 통합관리시스템 구축)

  • Choi, Jung Ju;Hong, Sung Eon;Park, Soo Hong
    •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Geospatial Information Science
    • /
    • v.21 no.1
    • /
    • pp.77-86
    • /
    • 2013
  • This study presents a plan to develop a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for data survey of cadastral surveying to efficiently manage and research cadastral survey data. As a result of analysis of the existing cadastral survey data used to evaluate efficiency of the developed integrated cadastral survey data management system, it was shown that data survey time can be reduced by approximately half.

A Study on Accuracy of the Total Surveying System with PBLIS Data (PBLIS 데이터를 이용한 토탈측량시스템의 정확도 분석)

  • Kim, Kam-Lae;Ra, Yoong-Hwa;Park, Ju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 /
    • v.21 no.3
    • /
    • pp.209-214
    • /
    • 2003
  • The tasks in the cadastral field are being carried out by the aid of Parcel Based Land Information System which is equipped with both graphical and textual information acquired by the Cadastral Map Computerization Project. This have the purpose to present efficient surveying method as analyzing the accuracy about the field map We can also avoiding the drafting error caused by graphical cadastral and technical error including scale and contraction error as inverting an existing surveying system to the computer surveying system with this data.

An Introduction of General Least Squares on the Cadastral Survey Computation (지적측량계산에 일반최소제곱법의 도입 (도근측량방법 중 도선법 기준))

  • Song, Won-Ho;Cha, Deuk-Ki;Kim, Su-J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10.04a
    • /
    • pp.349-353
    • /
    • 2010
  • The existing calculation methods of the cadastral traverse survey was established in 1910s and are mostly outdated. The quality of these methods are not adequate to satisfy today's surveyor's needs that use a simple calculation method to distribute the error values. Thus, the main objectiv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methodology for appropriate calculation methods of the cadastral traverse survey that uses the general least square adjustment method with weight. Consequently, least square adjustment method has a better result than the previous one.

  • PDF

Usability Evaluation of the Drone LiDAR Data for River Surveying (하천측량을 위한 드론라이다 데이터의 활용성 평가)

  • Park, Joon-Kyu;Um, Dae-Yo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1 no.5
    • /
    • pp.592-597
    • /
    • 2020
  • Currently, river survey data is mainly performed by acquiring longitudinal and cross-sectional data of rivers using total stations or the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There is not much research that addresses the use of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systems for surveying rivers. This study evaluates the applicability of using LiDAR data for surveying rivers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recently launched a drone-based river fluctuation survey. Pilot survey projects were conducted in major rivers nationwide. Studies related to river surveying were performed using the ground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system.Accuracy was ensured by extracting the linearity of the object and comparing it with the total station survey performance. Data on trees and other features were extracted to generate three-dimensional geospatial information for the point-cloud data on the ground.Deviations were 0.008~0.048m. and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urveying GNSS and the use of drone LiDAR data. Drone LiDAR provided accurate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on the entire target area. It was able to reduce the shaded area caused by the lack of surveying results of the target area. Analyses such as those of area and slope of the target sites are possible. Uses of drones may therefore be anticipated for terrain analyses in the future.

Development of Real-Time Field Survey & Surveying System (실시간 현지조사ㆍ측량 시스템 개발)

  • 조일영;김춘선;박홍기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4.11a
    • /
    • pp.523-527
    • /
    • 2004
  • 현지조사 및 측량은 GIS 데이터 구축에 있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작업으로 정확성과 효율성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기존의 방법은 여러 단계로 분리되어 오류발생 빈도가 높고 또한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현지조사 및 측량에서의 정확도 향상은 물론이고 현장에서의 측량 편의성 증대에 목적을 두고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실시간 현지조사ㆍ측량시스템은 작업 현장에서 측량과 조사를 동시에 실시하며 조사항목을 직접 구조화할 수 있는 기능과 사진을 촬영하여 직접 시설물에 사진정보를 부착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정확한 현지조사 및 사후관리가 가능하다.

  • PDF

A Measures to Implements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using Aerial Photogrammetry and 3D Scanning (전통조경 보존·관리를 위한 3차원 공간정보 적용방안)

  • Kim, Jae-Ung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1
    • /
    • pp.77-84
    • /
    • 2020
  • This study is apply 3D spatial information per traditional landscape space by comparing spatial information data created using a small drone and 3D scanner used for 3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for efficient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mposed of areas such as scenic sites and traditional landscape architectur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erial photogrammetry data is less accurate than 3D scanners, but it was confirmed to be more suitable for monitoring landscape changes by reading RGB images than 3D scanners by texture mapping using digital data in constructing orthographic image data. Second, the orthographic image data constructed by aerial photogrammetry in a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nsisting of a fixed area, such as Gwanghalluwon Garden, produced visually accurate and precise results. However, as a result of the data extraction, data for trees, which is one of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traditional landscaping, was not extracted, so it was determined that 3D scanning and aerial surveying had to be performed in parallel, especially in areas where trees were densely populated. Third, The surrounding trees in Soswaewon Garden caused many errors in 3D spatial information data including topographic data. It was analyzed that it is preferable to use 3D scanning technology for precise measurement rather than aerial photogrammetry because buildings, landscaping facilities and trees are dense in a relatively small space. When 3D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data for a traditional landscaping space composed of area using a small drone and a 3D scanner free from temporal and spatial constraints and compared the data was compared, the aerial photogrammetry is effective for large site such as Hahoe Village, Gyeongju and construction of a 3D space using a 3D scanner is effective for traditional garden such as Soswaewon Garden.

Study on the Computation of World Geodetic System Result Using GPS Surveying (GPS관측에 의한 세계측지계 성과 산출에 관한 연구)

  • Choi Byoung-Gil;Kim Uk-Nam;Lee Hy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Conference
    • /
    • 2006.04a
    • /
    • pp.59-63
    • /
    • 2006
  • 본 연구의 목적은 GPS관측에 의한 세계측지계 성과의 산출방안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GPS 관측 데이터와 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세계측지계 성과를 산출하기 위한 방안을 연구한다. GPS 관측 데이터의 후처리 결과 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와 사용하였을 경우의 폐합차를 분석한 결과 모두 정밀1차 기준점 측량작업규정에 만족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GPS상시관측소의 데이터를 활용하여 각 측점 지점의 좌표를 산출한 결과, 상시관측소 3개소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을 경우에 비해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의 오차가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1개소 사용, 2개소 사용할 때 점차적으로 오차가 감소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상시관측소를 고정점으로 사용하되 적어도 3점이상의 점을 사용하여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제한된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GPS 상시관측소의 관측 데이터를 사용하여 세계측지계의 성과를 산출 한 연구로 향후 광범위한 지역에서의 GPS 상시관측소의 활용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