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량기준점

Search Result 552, Processing Time 0.039 seconds

A Study on Generating a Coastal Flood Hazard Map (국내 적합한 연안침수지도제작에 관한 연구)

  • 원대희;김계현;박태옥;최현우;곽태식
    • Proceedings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amtion Studies Conference
    • /
    • 2004.03a
    • /
    • pp.435-440
    • /
    • 2004
  • 연안침수지도는 태풍이나 해일에 의한 연안침수 발생 시 방조제의 월류 및 붕괴로 인한 예상 침수구역을 강우빈도(200년)별로 나타내고, 침수면적과 깊이를 표현한 지도로서 국외 선진국에서 방재형 국토관리 정책결정과 침수피해에 대한 대민 홍보의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국내에서도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가 나날이 커지고 국토의 개발에 따른 자연 재해가 많아짐에 따라 보다 방재형 국토개발로 국민의 안전과 복리를 증진하고, 연안침수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연안침수지도의 제작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시범지역인 대부도 남부지역의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은 문헌조사 및 기구축 데이터 확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신규 GIS 데이터베이스 구축 방법을 제시하였다. 침수구역을 예측하기 위한 모델링을 지원하기 위한 정확도와 경제성, 객관성, 현실성이 높은 지형공간자료의 효율적인 구축이 강조되었다. 구축한 데이터베이스의 세부 유형은 침수위험구역, 침수경계구역, 침수량 화살표이며, 기존에 구축된 데이터를 활용한 레이어는 해안선, 도로, 건물, 등고선, 등심선, 연안 표고점 측량데이터이다. 연안침수지도는 효율적인 재난관리를 위하여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되며 나아가 주민의 침수에 대한 경각심 고취와 사전 교육, 지방자치단체의 침수위험 관리업무의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연안침수지도는 지자체 주민들을 위해 보기 쉽고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도록 제작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진과 삽화를 추가하여 주민들에게 침수피해에 대한 경각심과 이해를 높이는데 중점을 두었다. 유지관리 후 활용체계 정비의 중요성’을 점검하고, ‘변동자료 발생원인의 분석’, ‘명확한 변동자료 입력 근거의 확보’, ‘갱신주체별 역할의 정의 및 유지관리 기준의 설정’, ‘분야별업무 특성을 고려한 관련 기준의 마련 및 타 시스템과 연계되는 항목을 고려한 절차 정의’ 등에 대한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유지관리 모델을 기반으로 각 지자체별로 적절한 컨설팅이 진행되고 이에 따라 담당자의 실천이 이루어진다면 지자체 GIS의 투자대비 효과에 대한 기대는 이상이 아닌 현실로 다가오게 될 것이다.가오게 될 것이다. 동일하게 25%의 소유권을 가지고 있다. ?스굴 시추사업은 2008년까지 수행될 계획이며, 시추작업은 2005년까지 완료될 계획이다. 연구 진행과 관련하여, 공동연구의 명분을 높이고 분석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시료채취 및 기초자료 획득은 4개국의 연구원이 모여 공동으로 수행한 후의 결과물을 서로 공유하고, 자세한 전문분야 연구는 각 국의 대표기관이 독립적으로 수행하는 방식을 택하였다 ?스굴에 대한 제1차 시추작업은 2004년 3월 말에 실시하였다. 시추작업 결과, 약 80m의 시추 코아가 성공적으로 회수되어 현재 러시아 이르쿠츠크 지구화학연구소에 보관중이다. 이 시추코아는 2004년 8월 중순경에 4개국 연구팀원들에 의해 공동으로 기재된 후에 분할될 계획이다. 분할된 시료는 국내로 운반되어 다양한 전문분야별 연구에 이용될 것이다. 한편, 제2차 시추작업은 2004년 12월에서 2005년 2월 사이에 실시될 계획이다. 수백만년에 이르는 장기간에 걸쳐 지구환경변화 기록이 보존되어 있는

  • PDF

Automatic Extraction of River Levee Slope Using MMS Point Cloud Data (MMS 포인트 클라우드를 활용한 하천제방 경사도 자동 추출에 관한 연구)

  • Kim, Cheolhwan;Lee, Jisang;Choi, Wonjun;Kim, Wondae;Sohn, Hong-Gyoo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 /
    • v.37 no.5_3
    • /
    • pp.1425-1434
    • /
    • 2021
  • Continuous and periodic data acquisition must be preceded to maintain and manage the river facilities effectively. Adapting the existing general facilities methods, which include river surveying methods such as terrestrial laser scanners, total stations, and 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GNSS), has limitation in terms of its costs, manpower, and times to acquire spatial information since the river facilities are distributed across the wide and long area. On the other hand, the Mobile Mapping System (MMS) has comparative advantage in acquiring the data of river facilities since it constructs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while moving. By using the MMS, 184,646,009 points could be attained for Anyang stream with a length of 4 kilometers only in 20 minutes. Levee points were divided at intervals of 10 meters so that about 378 levee cross sections were generated. In addition, the waterside maximum and average slope could be automatically calculated by separating slope plane form levee point cloud, and the accuracy of RMSE was confirmed by comparing with manually calculated slope. The reference slope was calculated manually by plotting point cloud of levee slope plane and selecting two points that use location information when calculating the slope. Also,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water side slope with slope standard in basic river plan for Anyang stream, it is confirmed that inspecting the river facilities with the MMS point cloud is highly recommended than the existing river survey.

Digital Documentation and Short-term Monitoring on Original Rampart Wall of the Gyejoksanseong Fortress in Daejeon, Korea (대전 계족산성 원형성벽의 디지털기록화 및 단기모니터링 연구)

  • Kim, Sung Han;Lee, Chan Hee;Jo, Young Hoon
    • Economic and Environmental Geology
    • /
    • v.52 no.2
    • /
    • pp.169-188
    • /
    • 201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unmanned aerial photography and terrestrial laser scanning to establish digital database on original wall of Gyejoksanseong fortress, and measured ground control points for continuity of the monitoring. It also performed precise examination with the naked eye, unmanned aerial photogrammetry, endoscopy, total station and handy measurement to examin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original walls. The ground control points were considered as a point where visual field can be secured, 3 points were selected around each of the south and north walls. For the right side of the south original wall, aerial photogrammetry was conducted using drones and a deviation analysis of 3-dimensional digital models was performed for short-term monitoring. As a result, the two original walls were almost matched in range within 5mm, and no difference indicating displacement of stones was found, except for partial deviation. Regular monitoring of the areas with structural deformation such as bulging, weak and fracture zone by precisely examining with the naked eye and using high-resolution photo data revealed no distinct change. The inner foundation observed through endoscopy found out that filling stones of the original walls were still remained, while most filling soil was lost. As a result of measuring the total station focusing around the points with structural deformation on the original walls, the maximum displacements of the north and south walls were somewhat high with 6.6mm and 3.8mm, respectively, while the final displacements were relatively stable at below 2.9mm and 1.4mm, respectively. Handy measurement also did not reveal clear structural deformation with displacements below 0.82mm at all points. Even though the results of displacement monitoring on the original walls are stable, it is hard to secure structural stability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amparts where sudden brittle fracture occu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duct conservational scientific diagnosis, precise monitoring, and structural analysis based on the 3-dimensional figuration information obtained in this research.

Change Analysis of Eulsukdo Wetland Using Qualitative Multi-temporal Image Data (다중시기 영상자료를 이용한 을숙도 습지 지역의 정성적 변화분석)

  • Lee, Jae-One;Kim, Yong-Suk;We, Gwang-Jae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3 no.2
    • /
    • pp.64-73
    • /
    • 2010
  • This research collected some multi-image information of Nakdong River Estuary Eulsukdo area in last 30 years, which are used as the basis information in running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topography relief's deformation. First, to obtain the data, this research carried out a field survey and GCP measurement, then classified and collected the image information by analog and digital image. The acquired images which have passed a high-precise scan process and geometric correction is manufactured by Ortho Mosaic image, then divided them into 9 sections time period classification before we run a qualitative analysis. In late of 1980's there are many changes of environmental topography deformation of the Eulsukdo area which caused by large scale building constructions, appeared to be known through this research. And then in late of 1990's, we organized the wild cultivated lands, started the wetland restoration of the artificial ecology, in 2000's we are able to know the existence of topograph relief change which caused by big scale of bridge construction. Hereafter, in this quick process of the environmental and topographical change of this area caused by the 4 major rivers restoration project,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experiment are expected to be something applicable as important basic data.

A Study on Measuring Vehicle Length Using Laser Rangefinder (레이저 거리계를 이용한 차량 전장 측정 방법에 관한 연구)

  • Ryu, In-Hwan;Kwon, Jang-Woo;Lee, Sang-Min
    • The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telligent Transport Systems
    • /
    • v.15 no.1
    • /
    • pp.66-76
    • /
    • 2016
  • Determination of type of a vehicle is being used in various areas such as collecting tolls, collecting statistical traffic data and traffic prognosis. Because most of the vehicle type classification systems depend on vehicle length indirectly or directly, highly reliable automatic vehicle length measurement system is crucial for them. This study makes use of a pencil beam laser rangemeter and devises a mechanical device which rotates the laser rangemeter. The implemented system measures the range between a point and the laser rangemeter then indicates it as a spherical coordinate. We obtain several silhouettes of cross section of the vehicle, the rate of change of the silhouettes, signs of the rates then squares the rates to apply cell averaging constant false alarm rate (CA-CFAR) technique to find out where the border is between the vehicle and the background. Using the border and trigonometry, we calculated the length of the vehicle and confirmed that the calculated vehicle length is about 94% of actual length.

Development of the Accuracy Improvement Algorithm of Geopositioning of High Resolution Satellite Imagery based on RF Models (고해상도 위성영상의 RF모델 기반 지상위치의 정확도 개선 알고리즘 개발)

  • Lee, Jin-Duk;So, Jae-Kyeong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 /
    • v.12 no.1
    • /
    • pp.106-118
    • /
    • 2009
  • Satellite imagery with high resolution of about one meter is used widely in commerce and government applications ranging from earth observation and monitoring to national digital mapping. Due to the expensiveness of IKONOS Pro and Precision products, it is attractive to use the low-cost IKONOS Geo product with vendor-provided rational polynomial coefficients (RPCs), to produce highly accurate mapping products. The imaging geometry of IKONOS high-resolution imagery is described by RFs instead of rigorous sensor models. This paper presents four different polynomial models, that are the offset model, the scale and offset model, the Affine model, and the 2nd-order polynomial model, defined respectively in object space and image space to improve the accuracies of the RF-derived ground coordinates. Not only the algorithm for RF-based ground coordinates but also the algorithm for accuracy improvement of RF-based ground coordinates are developed which is based on the four models, The experiment also evaluates the effect of different cartographic parameters such as the number, configuration, and accuracy of ground control points on the accuracy of geopositioning. As the result of a experimental application, the root mean square errors of three dimensional ground coordinates which are first derived by vendor-provided Rational Function models were averagely 8.035m in X, 10.020m in Y and 13.318m in Z direction. After applying polynomial correction algorithm, those errors were dramatically decreased to averagely 2.791m in X, 2.520m in Y and 1.441m in Z. That is, accuracy was greatly improved by 65% in planmetry and 89% in vertical direction.

  • PDF

Spatial Distribution of Macropore Development on a Hillslope (소유역의 사면에서의 대공극발달의 공간적 분포)

  • Kwak, Yong-Seok;Kim, Sang-Hy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7.05a
    • /
    • pp.825-830
    • /
    • 2007
  • 사면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과정에 기여하는 대공극의 영향은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특히 대공극의 공간적분포특상에 대한 현장측정은 이뤄지지 않았다. 본 연구의 실험지역은 경기도 포천시 광릉수목원에 있는 작은 소유역이다. 이 지역의 정밀한 측량을 하여 수치고도모형(DEM)을 얻었다. 이 수치고도모형을 바탕으로 수치지형분석을 통해 흐름선을 파악하여 총 20지점을 선정하였다. 각 지점에서의 대공극을 통한 수직적인 유동들은 장력침투계를 사용하여 지표면아래 깊이 10cm에서 측정하였다. 공간적 토양의 특성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각 지점에서의 체적밀도와 점토함량을 조사하였다. 토양수분의 공간적 분포 특성은 TDR(Time Domain Reflectometry)방식인 TRASE를 이용하여 토양수분 값을 얻었다. 이러한 다양한 공간적 특성들은 대공극발달의 공간적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중요자료가 된다. 소유역을 크게 기여사면 면적을 기준으로 상부, 중부, 하부로 나누어 대공극의 유효 공극율과 대공극흐름율을 계산하였다. 상부에서의 유효 대공극율의 평균값과 변동계수는 각각 4.3%, 42.1%이고, 대공극흐름율의 평균값과 변동계수는 각각 45.0%, 26.6%이다. 중부에서는 유효 대공극율의 평균값과 변동계수는 6.8%, 37.3%이고, 대공극흐름율의 평균값과 변동계수는 56.2%, 14.4% 이다. 그리고 하부에서의 유효공극율의 평균값과 변동계수는 12.5%, 58.3% 이고 대공극흐름율의 평균값과 변동계수는 64.5%, 24%이다. 이는 유효 대공극율과 대공극흐름율의 비율은 기여사면 면적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이는 대공극을 통한 물 이송 능력이 원두부로 갈수록 증가한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e, taurine, methionine, phenylalanine은 함량(含量)이 적었다. 5. 일건(日乾)중 총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는 생시료(生試料)의 경우 2,041.2 mg%였으나 1일(日) 건조(乾燥) 후는 1,784.0 mg%로 감소(減少)하다가 그 이후 계속 증가(增加)하여 20일(日) 건조(乾燥) 후는 5,277.0 mg%였다. 6. 일건(日乾)중 leucine, isoleucine, valine은 대체로 증가(增加)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으나 aspartic acid, proline, taurine은 대체로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을 나타내었다. 436.59mg%로 가장 많았고 군유산(軍有山) 차엽(茶葉)이 146.94mg%로 가장 적었으며 일반차엽(一般茶葉)의 평균치(平均値)는 264.59mg%, 용장(龍欌) 차엽(茶葉)이 223.10mg%, Yabukita 차엽(茶葉)이 256.49mg%였다. 7) 이상(以上)의 결과(結果)를 종합(綜合)할 때 용장(龍欌) 차엽(茶葉)은 일반차엽(一般茶葉)과 형질(形質) 뿐만 아니라, 성분(成分)도 다르므로 품종(品種)이 다른 수종(樹種)으로 추정(推定)되며 와운(臥雲) 차엽(茶葉)은 일반차엽(一般茶葉)과 형질(形質)은 다르나 성분상(成分上)의 비슷한 점으로 보아 동일계통(同一系統)의 변이(變異)된 대엽종(大葉種)으로 추정(推定)된다.5(${\pm}0.77$0.77) % 의 오차로 크게 감소하였다. 결론: 방사선이 통과하는 경로에 불균질조직인 폐가 존재할 경우에도 불균질조직에 대하여 조직의 밀도를 이용하여 보정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투과선량으로부터 종양선량을 계산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X>로 평균$43.26{\m

  • PDF

Analysis of Bed Change Caused by Hydraulic Structure Using 2-D model (수공구조물에 따른 2차원 모형을 이용한 하상변동 분석)

  • Son, Ah-Long;Son, In-Ho;Han, Kun-Yeun;Kwon, Taek-H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535-535
    • /
    • 2012
  • 하천 환경의 변화는 자연적으로 일어나기도 하지만, 우리나라 경우 대부분 하천 정비, 골재 채취, 수중보와 하구둑 등 하천시설물의 건설, 그리고 댐 및 교량건설 등 인위적인 요인에 의한 변화가 지배적이다 이렇게 환경이 변화하면 하천의 평형 상태는 파괴되며 하천의 평형 상태를 복원하는 과정에서 하천의 침식 또는 퇴적이 일어나며 이러한 과정의 총체적인 결과로서 하상변동이 일어나게 된다. 하상변동은 단기적인 면에서는 하천에서의 취수, 배수, 주운동 하천관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장기적인 면에서는 하천시설물의 안정, 홍수위 및 지하수위 변화, 홍수터와 같은 하천부지의 변화 등 하천 및 유역 관리에 광범위한 영향을 주고 있다 하천의 유황 및 하상재료의 인위적인 변화에 의한 장기적인 하상변동 효과를 예측하고 분석하는 것은 하천계획 및 관리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또한 하천 정비사업 등에 의한 영향을 제대로 평가하기 위해서는 비교적 단기간의 홍수 또는 호우 사상에 대한 단기적인 하상변동 효과를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외국에서는 하상변동 예측의 필요성을 일찍이 인식하여 다수의 하상변동 예측모형이 개발되어 하천 실무에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하천 흐름의 등수 역학적 해석을 위해 여러 가지 수치 기법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발전되어져 왔다. 현재 국내에서는 측량 자료이용과 모형적용의 용이성을 이유로 1차원 점변 부정류 해석프로그램인 HEC-RAS 모형을 많이 사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하천 정비 기본계획 수립에 있어서도 1차원 해석 모형을 적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에 서 수행된 하상변동 예측에 관한 연구들은 대부분 1차원 모형이므로 하천의 사행의 진행이나 유사의 횡방향 분포 등은 고려할 수 없다. 또한 하상변동 계산 시 이동상 부분의 전체가 균일하게 상승 또는 하향하는 것으로 가정하기 때문에 흐름이 급변하는 데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4대강살리기 사업이 진행중인 낙동강유역 구미보지점을 대상으로 2차원 흐름 및 하상변동 수치모형인 CCHE2D 모형을 적용하여 50년, 100년, 200년 빈도별로 모의를 실시, 보설치 전 후의 하상변동을 비교 분석 하였다. 모의 결과 보설치 후의 경우 보 상류단은 전반적으로 퇴적의 양상을 보였으며, 보 하류단의 만곡부의 경우 홍수량이 증가함에 따라 유속 및 소류력이 비슷한 패턴으로 증가하여 침식이 관찰되었다. 특히 보 직하류의 경우 수문을 기준으로 다량의 침식이 있음을 보였으며, 침식이 계속 진행된다면 보유실과 같은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침식을 방지 할 수 있는 다양한 장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Construction of Mine Geospatial Information by Total Station and 3D Laser Scanner (토털스테이션과 3D 레이저 스캐너에 의한 광산공간정보 구축)

  • Park, Joon-Kyu;Lee, Keun-Wang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 /
    • v.20 no.3
    • /
    • pp.520-525
    • /
    • 2019
  • Mines are an important infrastructure for securing resources, but safety problems can arise in the course of operation. Recently, the mining process is very complicated due to the large scale and mechaniza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struct accurate geospatial information on mine for systematic and safe mine operation. The geo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using the existing total station has a disadvantage that a lot of work time is required because the target must be collimated and measured. In this study, the data of the mines were acquired with the total station and the 3D laser scanner, and the mine spatial information was constructed by using the shape based registration method. By using the static scanner data of some area applying the reference point surveying result of the total station, it was possible to construct the accurate result on the wide area acquired by the mobile scanner effectively. Also, the accuracy of the constructed geospatial information was evaluated and the deviation of mean 0.083m was shown. Point cloud products constructed through the research can contribute to the efficiency improvement of mine management by enabling quantitative analysis such as visualization of mine shape, distance, area and slope, and automation of drawing creation for cross section shape.

Field Phenotyping of Plant Height in Kenaf (Hibiscus cannabinus L.) using UAV Imagery (드론 영상을 이용한 케나프(Hibiscus cannabinus L.) 작물 높이의 노지 표현형 분석)

  • Gyujin Jang;Jaeyoung Kim;Dongwook Kim;Yong Suk Chung;Hak-Jin Kim
    •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
    • v.67 no.4
    • /
    • pp.274-284
    • /
    • 2022
  • To use kenaf (Hibiscus cannabinus L.) as a fiber and livestock feed, a high-yielding variety needs to be identified. For this, accurate phenotyping of plant height is required for this breeding purpose due to the strong relationship between plant height and yield. Plant height can be estimated using RGB images from unmanned aerial vehicles (UAV-RGB) and photogrammetry based on Structure from Motion (SfM) algorithms. In kenaf, accurate measurement of height is limited because kenaf stems have high flexibility and its height is easily affected by wind, growing up to 3 ~ 4 m. Therefore, we aimed to identify a method suitable for the accurate estimation of plant height of kenaf and investigate the feasibility of using the UAV-RGB-derived plant height map. Height estimation derived from UAV-RGB was improved using multi-point calibration against the five different wooden structures with known heights (30, 60, 90, 120, and 150 cm). Using the proposed method, we analyzed the variation in temporal height of 23 kenaf cultivars. Our results demontrated that the actual and estimated heights were reliably comparable with the coefficient of determination (R2) of 0.80 and a slope of 0.94. This method enabled the effective identification of cultivars with significantly different heights at each growth stag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