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측두 규격방사선사진

Search Result 12,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THE DENTAL MATURATION OF MAXILLA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상악 열성장형 전치부 반대교합 아동에 있어서의 상악 치아 성숙도)

  • An, Ul-Jin;Noh, Hong-Seok;Jeong, Tae-Sung;Kim, Shin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Pediatric Dentistry
    • /
    • v.38 no.2
    • /
    • pp.119-128
    • /
    • 2011
  • In the process of assessing the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in early mixed dentition, it has frequently been detected that the stronger the skeletal pattern of the malocclusion is, the more markedly delayed the development and eruption of maxillary teeth are. If the anteroposterior characteristics of craniofacial skeleton has any relationship with dental maturation, the evaluation of dental development and eruption was thought to be able to contribute to early diagnosis of crossbite in children. This study was performed for the purpose of elucid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maturation of maxillary teeth and some cephalometric values in children with anterior crossbite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in early mixed dentition. Among the children in Hellman dental age IIA and IIC who attended the Pediatric Dental Clinic of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ith orthodontic problems, cases with Class III malocclusion were classified and 50 cases of maxillary undergrowth type and type with normal maxilla respectively were randomly selected and studied as subjects. From their lateral cephalographs and panoramic radiographs, their anteroposterior skeletal features, the dental maturity and eruption rate were obtained of each group and data were analyzed to yield the results as follows: 1. Comparing the maturity of maxillary teeth of both groups, only the first molars of maxillary undergrowth group showed significantly slower development and eruption (p<0.05). 2. There was high correlation between maturation of maxillary 1st molar and chronological age(p<0.05). 3. Among the parameters of anteroposterior relationship of skeletal pattern in maxilla and mandible. Wits was revealed as a useful index to predict both the calcification and eruption rate of the 1st molars whereas SNA was to eruption rate(p<0.05).

The Patterns of Mandibular Movement in Relation to Maxillofacial Skeletal Structure (악안면부 골격구조에 따른 하악 개구운동 양상)

  • Kim, Byung-Gook;Kim, Jae-Hyung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v.25 no.3
    • /
    • pp.293-303
    • /
    • 2000
  • 앵글씨 분류에 따른 최대개구시 하악의 수직 변위에 대한 차이를 확인하고, 수직 하악운동에 영향을 주는 골격요소를 확인하기 위하여, 측두하악관절 및 저작계 이상에 대한 증상 및 병력이 없으며 발치 및 교정치료의 경험이 없는 광주지역 대학에 재학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앵글씨 구치부 관계에 근거하여 1급군(남:30명, 여:49명), 2급군(남:18명, 여:24명)과 3급군(남:18명, 여:33명)으로 분류하여 총 172명(연령 범주:20-30세)의 학생을 선택하였다. 전남대학교 병원 구강내과에서 사용하는 계측용자를 이용하여 최대 개구시 상하악 중절치 절단면간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의 진단모형을 만들어 상하악궁 길이와 폭경를 측정하였다. 대상자들에 대한 두부 규격방사선 사진을 촬영, 작도하고 방사선학적 지표를 계측, 비교분석하였다.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 절치간 최대개구량은 3급군이 가장 컸으며 모든 군에서 남자가 여자보다 컸다. 구치간 최대개구량은 앵글씨 분류 1급군, 2급군 그리고 3급군에서 각 군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모든 군에서 남자가 더 컸다. 앵글씨 분류 1급군과 2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총 하악골 길이, 하악지 길이, 하악 하연부 길이 그리고 상악궁 폭경이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하악궁 길이와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앵글씨 분류 3급군의 하악운동에서 상하악궁 길이와 안면 부길이가 1급군과 2급군과는 다른 중요한 변수로 나타났으며, 상악궁의 폭경과는 역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보아 앵글씨 분류 각 군에서 하악개구운동은 안면 골격구조의 영향을 받으며, 각 군간에 영향을 주는 안면 골격 요소들은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골격적 요소들은 개구량 개선을 위한 진단과 치료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