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측경부 림프절 전이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19초

두경부암 환자에서 경부 림프절 전이에 대한 $^{18}F$ FDG-PET과 CT/MRI의 진단적 정확도 비교: 림프절군에 따른 연구 (Comparison of $^{18}F$ FDG-PET and CT/MRI for the Diagnosis of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Head and Neck Cancer: A Level-by-Level Based Study)

  • 양유정;김재승;김상윤;이호규;남순열;최승호;류진숙;여정석;문대혁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52-61
    • /
    • 2004
  • 목적: 두경부암의 중요한 예후인자인 경부림프절 전이의 수술전 진단은 최근 기능보존적 수술이 증가함에 따라 그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경부 림프절군의 전이에 대한 FDG-PET의 진단적 정확도를 평가하고 이를 CT/MRI와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조직학적으로 두경부암(상부성문암 16, 설암 9, 기타 7)이 확인된 32명의 환자(남/녀=27/5, $56{\pm}10$세)를 대상으로 FDG-PET과 CT의 수술전 진단성적을 비교하였다. FDG-PET과 CT/MRI는 1개월 이내에 시행되었고 병리적 소견을 토대로 경부림프절군 단위로 예민도와 측이도를 구하였다. 결과 32명의 환자에서 153개의 림프절군이 절제되었고 이중 19명의 환자에서 32개의 림프절군이 조직학적으로 전이양성이었다. 전체적인 FDG-PET의 민감도와 예민도는 각각 88% (28/32)와 93% (113/121)이었고 CT/MRI의 민감도와 예민도는 각각 56% (18/32)와 92% (112/121)로 FDG-PET이 CT/MRI보다 예민도가 유의하게 높았다. (p=0.002) 개별 림프절군에서의 진단성적은 그 위치에 따라 서로 달랐으며 가장 낮은 민감도와 특이도를 보인 림프절군은 편측 제II 림프절군이었고 반대측 림프절군과 인두후부 림프절군 등에서 가장 높은 예민도와 특이도를 보였다. 결론: 두경부암에서 경부림프절전이를 발견하는데 FDG-PET이 CT/MRI보다 더 민감하였으며 FDG-PET은 경부절제술의 범위를 결정하는데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갑상선 유두암의 외측 경부림프절 전이에 대한 수술 전 평가로서 CT의 역할 (The Role of CT as a Preoperative Evaluation of Lateral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in Papillary Thyroid Carcinoma)

  • 석준걸;김형규;김윤중;한규희;안순현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9권2호
    • /
    • pp.37-40
    • /
    • 2013
  • Background and Objectives : To assess the usefulness of computed tomography image before papillary thyroid cancer surgery, focus on confirmation of lateral cervical lymph node metastasis not detected by ultrasonography. Material and Methods : From January 2008 to May 2009, total 150 patients who had undergone thyroid surgery and been confirmed papillary thyroid cancer pathologically were enrolled. They had taken neck computed tomography following the ultrasonography. Results : Computed tomography had found suspicious metastatic lateral neck lesion in 13 patients. After the image study, lateral neck lymph node dissection had been included in their surgical plan. Of these, only 7 cases were confirmed pathologically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positive predictive value=0.54). Taken as whole 150 patients, additionally 4.7% of patients confirmed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by preoperative computed tomography. Conclusion : If preoperative ultrasonography was performed precisely, additional benefits that could be achieved by computed tomography were not much.

측경부 림프절 전이를 동반한 갑상선 유두상암의 임상 양상과 면역조직화학적 특성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Characteristics of Thyroid Papillary Cancer with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 이선욱;진성민;이상혁;손진희;채승완;김동훈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59-65
    • /
    • 2011
  • Background and Objectives : Papillary thyroid carcinoma(PTC) frequently metastasize to the regional neck, however, 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is less comm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clin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eatures of PTC with lateral LN metastasis, and determine the predictive factors for lateral LN metastases. Material and Methods : We undertook a retrospective study of 83 patients treated between January 2007 and December 2009 for PTC by thyroidectomy with or without lateral neck dissection. The following criteria were used to study the clinical predictive value of lateral LN. metastases : sex, age, tumor size, multifocality, extracapsular spread(ECS) and lymphovascular emboli.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for VEGF-A, VEGF-C, Bax, Bcl-2, Cyclin D1, Cyclin E, $p27^{kip1}$ and $p57^{kip2}$ was performed, and quantified blindly by three pathologists who had no clinical information of the patients.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 was scored as high(>50% of cells stained) or low(0-49%). Results : With use of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tumor size(>2cm) and ECS were independent correlates of lateral LN metastasis in PTC. Expression of VEGF-C, Bax, and Cyclin D1 in the PTC with lateral LN metastasis was scored higher than in PTC without lateral LN metastasis(p<0.05). Conclusion : The important risk factors for lateral LN metastasis in PTC are primary tumor size and the presence of ECS. And expression of VEGF-C, Bax and cyclin D1 may be considered of lateral LN metastatic potential in PTC.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 :전통적 갑상선 수술법의 변형술식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for Thyroidectomy ; A Modification of the Conventional Thyoidectomy Technique)

  • 박정수;정웅윤;장항석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77-181
    • /
    • 2000
  • 배경 및 목적: Theodor Kocker에 의해 일반화된 전통적인 갑상선 수술방법은 갑상선 질환의 종류 및 정도, 수술범위와 상관없이 광범위한 수술범위로 인한 조직 손상으로 인해 수술후 환자들의 여러가지 불편감은 물론 경부의 넓은 부위의 통증과 경부 피부부종, 장액종, 혈종 등과 같은 후유증을 동반할 수 있다. 최근 본 저자들은 이같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작은 피부절개($3{\sim}4.5cm$) 후 피하 피판(subplatysmal skin flap) 없이 직접 갑상선으로 접근하는 새로운 수술기법으로서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기법을 개발하였기에 그 술식을 소개하고 전통적인 갑상선 절제술에 대한 우월성을 확인하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1999년 1월 15일 부터 2000년 1월 14일까지 573예의 갑상선 수술 예 중 최소침습 갑상선절제술이 시행되었던 466예와 1998년 1월 15일부터 1999년 1월 14일까지 전통적 갑상선 수술을 시행한 549예 중 거대 종양(양성>6cm, 악성>5cm), 흉골하 선종, 국소진행암, 재발암, 측경부의 다발성 림프절 전이가 있었던 112예를 제외한 437예의 임상병리적 특성과 피부절개 길이, 수술 시간, 수술중 출혈양,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 및 재윈기간, 수술 후 합병증 발생빈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두 군간의 임상병리적 특성상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피부절개 길이($3.7{\pm}0.7cm,\;vs\;9.6{\pm}3.3cm$), 수술 시간($57.6{\pm}11.7$분 vs $85.2{\pm}32.3$분) 수술 중 출혈양($18.4{\pm}15.3ml\;vs\;43.1{\pm}21.8ml$), 수술후 재원기간($1.6{\pm}0.5$일 vs $4.3{\pm}1.6$일), 및 수술후 진통제 요구빈도가 전통적 수술군에 비해 최소침습 수술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으나(p<0.05), 수술후 장액종 및 혈종 형성, 일시적인 음색변화, 일시적인 저칼슘혈증과 같은 합병증의 발생빈도는 각각 4.3%(n=20)와 4.8%(n=21)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 론: 최소침습 갑상선 수술법은 새로운 수술기구의 도입 없이도 갑상선 수술의 충분한 시야를 확보할 수 있고 안전하고 간단하게 시행할 수 있으며, 기존 수술법으로 인한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어 전통적 인 수술법을 대치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구강 편평세포암종의 반대측 예방적 경부치료 (Management of Contralateral Node Negative Neck in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s)

  • 구본석;이욱진;나경원;정의석;김유석;이진석;임영창;최은창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21권2호
    • /
    • pp.196-200
    • /
    • 2005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cidence and predictive factors of contralateral occult lymph node metastasis in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s to form a rational basis for elective contralateral neck management. Materials and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66 N0-2 oral cavity cancer patients undergoing elective neck dissection for contralateral clinically negative necks from 1991 to 2003. Results: Clinically negative but pathologically positive contralateral lymph nodes occurred in 11%(7 of 66) . Of the 11 cases with a clinically ipsilateral node positive neck, contralateral occult lymph node metastases developed in 36%(4 of 10, in contrast with 5%(3/55) in the cases with clinically ipsilateral node negative necks(p<0.05). Based on the clinical staging of the tumor, 8%(3 of 37) of the cases showed lymph node metastases in T2 tumors, 25%(2 of 8) in T3, and 18%(2 of 11) in T4. None of the T1 tumors(10 cases) had pathologically positive lymph nodes. The rate of contralateral occult neck metastasi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advanced stage cases and those crossing the midline, compared to early stage or unilateral lesions(p<0.05). Patients with no evidence of contralateral nodal cancer had significantly improved disease-specific survival over patients with any pathologically positive nodes(5-year disease-specific survival rate was 79% vs. 43%, p<0.05). Conclusion: The risk of contralateral occult neck involvement in the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s above the T3 stage or those crossing the midline with unilateral metastases was high. Therefore, we advocate an elective contralateral neck treatment with surgery or radiotherapy in oral cavity squamous cell carcinoma patients with ipsilateral node metastases or tumors that are greater than stage T3 or crossing the midline.

반대측 경부 림프절로 전이된 초기 설암의 치험례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F EARLY TONGUE CANCER : A CASE REPORT)

  • 권명희;김성일;김평수;임대호;신효근;고승오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35권5호
    • /
    • pp.376-379
    • /
    • 2009
  • Likely to be the most common oral cancer, squamous cell carcinoma(SCC) of the tongue accounts for about 20% of all oral and pharyngeal cancers. SCC of the tongue frequently arises in the lateral border, and if it metastasize, it occurs on submandibular gland and neck lymph nodes. Location of the primary lesions and neck lymph node metastasis affect the prognosis and decrease survival rate of patients with carcinoma of the tongue. The authors experienced the patient with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f SCC of the tongue. The patient came to our department with chief complaint of elevated lesion on left lateral border of the tongue. The mass was diagnosed as $T_2N_0M_0$, Stage II invasive SCC of oral tongue. Computed tomography(CT) & magnetic resonance imaging(MRI) which were taken before the operation showed no significant finding of metastasis. Surgical mass removal and preventive neck dissection on the left side were done. While follow up PET/CT,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right side, level II) was detected, and re-operation(Rt. side RND) was done. There are few studies concerning the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related with SCC of the tongue. The purpose of this report is to introduce the uncommon case of contralateral neck lymph node metastasis occurred in the $T_2$-stage of SCC of the tongue treated by surgical resection.

비인강암의 치료에서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를 적용한 제1상/2상 연구의 예비적 결과 (Preliminary Results of Phase I/II Study of 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SMART) for Nasopharyngeal Carcinoma)

  • 박진홍;백금문;이병용;최은경;안승도;신성수;김정훈;김상윤;이봉재;남순열;최승호;김성배;이상욱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4권1호
    • /
    • pp.1-10
    • /
    • 2006
  • 목적: 비인강암 환자를 대상으로 시행한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simultaneous modulated accelerated radiation therapy, SMART)를 이용한 세기조절방사선치료(Intensity modulated radiation therapy, IMRT)의 예비적 임상결과를 보고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9월부터 2003년 12월까지 서울아산병원에서 근치적 목적의 동시차등조사가속치료를 시행 받은 20명의 비전이성 비인강암 환자를 대상으로 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IMRT는 "step and shoot" SMART를 사용하여 시행되었으며, 각각 육안적종양체적(gross tumor volume, GTV)에 72 Gy (2.4 Gy/day), 비인강과 전이성 림프절부위(metastatic nodal station) 등을 포함하는 임상표적체적 1 (Clinical target volume 1, CTV1)에 60 Gy (2.0Gy/day), 그리고 임상적으로 전이가 없는 경부 부위림프절을 포함하는 임상표적체적 2 (clinical target volume 2, CTV2)에 46 Gy (2 Gy/day)를 조사하였다. 18명의 환자는 주당 1회의 isplatin 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결과: 연구대상에 포함된 환자의 추적관찰 기간의 중앙값은 27개월이었다. 19명의 환자는 치료 중단 없이 계획된 치료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나, 1명은 고도의 인두염과 영양불량으로 2주간 치료가 중단되었다. 치료 기간 중급성 독성은 RTOG 3도의 점막염과 인두염이 각각 5명(25%)과 9명(45%)에서 관찰되었다. 7명(35%)은 10% 이상의 체중 감소를 보였으며 11명(55%)은 정맥수액요법 혹은 경관영양요법을 필요로 하였다. 만성 독성에서 3급 이상의 구강건조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치료 반응은 모든 환자에서 완전관해를 보였고, 원격전이와 국소재발이 각각 2명과 1명에서 관찰되었다. 결론: SMART를 사용한 IMRT를 도입하여 임상적으로나 선량측정상 이하선의 기능 보존이 가능하였으며, 또한 생물학적으로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되었다 향후 정확한 종양억제 효과와 만기 독성을 알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연구대상과 추적관찰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