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취수

Search Result 691,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Water supply reliability analysis of Sand dam (샌드댐의 물공급 신뢰도 분석)

  • Chung, Il-Moon;Lee, Jeongwoo;Kim, Min-Gy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7-27
    • /
    • 2020
  • 샌드댐은 주로 건조지역에서 홍수시 유량을 차단시켜 유송토사와 함께 유입된 물을 장기간 보관함으로써 모래와 물이 함께 저장되며 모래속에 저장된 물을 취수하는 방식의 특수한 저류 구조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적용된 바 없으나 상수도 미급수 지역인 계곡부에서 물을 모래안에 저장하게 되면 증발로부터 오래 견딜 수 있는 장점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계곡부 샌드댐의 실제 가뭄시 물공급 신뢰도를 평가하기 위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대상지역은 춘천 서상리로 물공급 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유역수문모형 SWAT-K와 저수지 유출추적을 결합한 모의모형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하였다. 샌드댐의 제원을 다양하게 고려하여 최적 설계 인자를 도출하기 위해 폭, 높이, 길이 등 구조물의 제원을 다양하게 변경하며 물공급 신뢰도 95 %를 만족할 수 있는지 평가하였다. 일반적인 댐의 이수안전도 평가시에는 분석 단위기간을 5일, 10일로 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유역면적이 작은 관계로 분석 단위기간을 1일로 설정하였다. 총 9년간의 분석을 수행하였고, 5 %에 해당하는 연간 약 18일의 물공급 부족이 발생하는 신뢰도를 기준으로 일 취수량 20-50 ㎥을 적용하였을 때의 물수지 분석을 수행하여 샌드댐과 기존 취수보의 규모에 따른 물공급 능력을 평가하였다.

  • PDF

A study on monitoring of water supply and demand for drought response plan in small-scale mountain watershed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가뭄 대응 방안 연구)

  • Choi, Jung-ryel;Kim, Sang-mo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29-29
    • /
    • 2020
  • 가뭄으로 인한 영향은 상당 기간 완만히 누적되어 나타나고, 해갈된 후에도 수년 동안 파급효과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모니터링 및 예·경보에 어려움이 있다. 가뭄 리질리언스 확보를 위해서는 지하수개발, 해수담수화, 식수전용 댐 확충 등 구조적 중장기 안정화 방안과 더불어 가뭄 피해를 예측하여 미리 물 자원을 확보하는 비구조적 대응 방안이 같이 이루어져야 한다. 대상지역은 물 부족을 겪고 있는 미급수 지역으로 환경부에서는 구조적 대책으로 샌드댐 설치가 예정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비구조적 가뭄 대응을 위하여 하천-취수원 연계 모니터링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하천에 수위 계측기를 설치하여 시간별 수위를 상시 계측하였으며, 월 1회 유속을 측정하여 일별 유량(공급량)을 모니터링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일별 유출량 값은 장기유출모형인 SWAT의 매개변수 검·보정에 이용되었으며, 과거 10여 년간의 유출량(공급량)을 추정하였다. 또한, 취수원인 물탱크에 수위계를 설치하여 낮 동안 수위 변화량을 이용량을 가정하여 일별 수요량을 추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일별 수요량-공급량 관계분석을 통해 가뭄에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하였다.

  • PDF

Preliminary Hydrological Design for Sand Dam Installation at the Valley of Seosang-ri, Chuncheon (춘천 서상리 계곡부 샌드댐 설치를 위한 수문학적 예비 설계)

  • Chung, Il-Moon;Lee, Jeongwoo
    • KSCE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v.39 no.6
    • /
    • pp.725-733
    • /
    • 2019
  • Sand dams are structures that can be used as auxiliary water resources in case of drought as sand accumulates due to barriers crossing valley rivers and valley water is stored in the voids, increasing the water level. This structure, which is mainly used in arid regions such as Africa, has not been installed in Korea. In Korea, there are only a few cases where water is taken from debris barriers that prevent debris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effect of water supply when the sand dam is installed downstream of the existing intake barrier in Seosang-ri valley, Chuncheon. For this purpose, modeling was performed by linking the basin hydrologic model and reservoir routing model. Changes in the water level, storage and discharge in the sand dam reservoir according to the size and intake of the sand dam are presented on a case-by-case basis. As a result of application, it was found that the water supply capacity due to the sand dam installation was improved at 95% reliability. Especially, when the size is L × B × Ho = 25 m × 15 m × 1 m and the pumping rates from intake barrier and sand dam are (Q1, Q2) = (30, 20), (35, 15) ㎥/day, the efficiency was the best for water supply of 50 ㎥/day.

Numerical Analysis of Horizontal Collector Well in Riverbank Filtration (수평 방사형 집수정 활용 강변여과 취수 수치 분석)

  • Kim, Hyoung-Soo;Jeong, Jae-Hoon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 /
    • v.14 no.1
    • /
    • pp.1-10
    • /
    • 2009
  • Groundwater flow due to intake of horizontal collector well in riverbank filtration site was analyzed by use of numerical groundwater modeling program (FEFLOW 5.1). Drawdowns of groundwater table nearby collector well were evaluated according to variations of several conditions; pumping rate, thickness of aquifer, offset distance from well to shore line of stream, conductance of streambed. It is observed that the drawdowns of groundwater table are clearly changed according to the variations of these conditions. The results of sensitive analysis shows that the thickness of alluvial aquifer and the offset distance are more sensitive than the conductance of streambed in evaluation of drawdown. This result implies that hydrogeological conditions, as like thickness of aquifer and its distribution in the site are important factors in site selection and evaluating the availability of riverbank filtration intake using horizontal collector well system. It is also revealed that numerical modeling using FEFLOW with 1-D discrete element feature can give efficient quantitative evaluation of horizontal collector well and estimation of availability of riverbank filtration site.

Development of Turbidity Management System for Nakdong River using Water Quality Model (수질모형을 이용한 낙동강 탁도관리시스템 구축)

  • Kim Young Do;Noh Joonwoo;Ko Ick Hwan;Kim Woo Gu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5.05b
    • /
    • pp.1378-1382
    • /
    • 2005
  • 여름철 집중강우시 유입되는 고탁수층은 저수지의 밀도성층으로 인하여 표수층 하부에 위치하며, 이를 적기에 배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평방향의 확산현상과 연직방향의 전도현상으로 인해 저수지 전역에 분포하게 되어, 탁수현상의 장기화를 유발한다. 이와 같은 탁수장기화에 대한 저수지내 대책의 하나로서 홍수유입후 탁도가 높은 물을 단기간동안 방류하고, 갈수기에는 탁도가 낮은 물을 방류하는 선택취수 기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임하댐의 경우, 2004년 태풍 '디앤무'와 태풍 '메기'로 인해 발생한 탁수를 선택취수를 통하여 조기에 배제함으로써 호내탁도를 저감시킨 바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고탁수 우선배제 기법은 반드시 하류하천의 영향범위를 사전에 분석검토하고, 하류하천의 수질현황을 고려한 합리적인 운영방안이 제시되어야 한다. 2004년 태풍 '디앤무' 발생직후의 댐방수로에서 170 NTU의 고탁수를 방류한 경우, 유하거리 250 km인 지점까지 30 NTU이상 유지된 바 있으며, 태풍 '메기'에 의한 고탁수 유입시, 임하댐 방류수 157 NTU, 안동댐 방류수 37 NTU인 경우에 임하댐 하류 113 km인 구미 선산 취수장까지 63 NTU의 탁도가 유지된 바 있다. 현재 임하댐의 경우, 하류하천으로의 방류수 수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이 발전취수탑 전면 1개소, 조정지댐 1개소에 설치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자동수질측정시스템과 연계하여 수질모형을 통하여 임하댐 하류하천인 낙동강 본류의 탁도관리시스템을 구축하고자 하였다. 환경부의 수질측정망 자료를 통하여 최근 3년간의 부유사농도의 변화양상을 분석하였으며, 태풍 직후의 낙동강 주요지점별 탁도측정자료를 이용하여 임하댐 고탁도방류에 의한 영향범위를 분석하였다. 또한 하천수질모형을 이용하여 탁수예측방법에 대하여 검토하였고, 이를 이용한 탁도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함께, 2단계에 (주)웹솔루스에서 자체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있는 2개소의 하수관거 모니터링 관측시설, 그리고 안양시에서 운영하고 있는 5개소의 강우관측소와 7개소의 수위관측소를 모두 통합하여 실시간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수위자료는 10분단위의 텍스트정보와 그래프형태로 지원되며, 검색기간 설정을 통해 원하는 기간내의 자료를 선별, 검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기초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하류하천의 탁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선택취수탑의 운영방안을 수립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위해 선택취수탑 주위의 성층흐름을 기존의 실험자료와 수치해석을 통하여 분석하였고, 온도성층구조나 취수구의 위치변화에 따른 방류수 수질특성을 조사하였다.쇄파대(artifical reef)와 같은 완충지대를 갖는 호안을 축조함으로써 월파량을 감소시키는 대안으로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 수행을 통해 태풍 내습시 발생 가능한 자연재해에 대한 사전 방지를 목적으로 태풍피해의 원인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여 현재의 방재대책이 항구적인 방재대책으로 전환될 수 있는 방안 마련의 기초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L-arabinose, 및 D-galactose; 제3차(第三次) 가수분해물(加水分解物)(C)에서 L-rhamnose, D-xylose, L-arabinose 및 D-galactose, 비가수분해물(非加水分解物)(C')에서 D-xylose와 D-galactose를 검출(檢出)하였다. (4) 구성당(構成糖)의 형태(形態)와 구조(構造)를 밝히기 위(爲)해 polysaccharide C에 대한 periodate산화(酸化) 실험(實驗)을 하여 $C_5H_8O_4$당(當) periodate의 소비(消費)와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을 측정(測定)하였는데 periodate의 소비량(消費量)은 1.23 mole, formic acid의 생성량(生成量)

  • PDF

Present Status and Future Improvements in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하천 인근 지하수 이용 현황 및 관리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 Chung, Il-Moon;Hong, Sung Hun;Lee, Jeongwoo;Kim, Min Gyu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4
    • /
    • pp.383-392
    • /
    • 2017
  • Excessive abstraction of groundwater near streams for agricultural, domestic, or industrial use can significantly reduce the streamflow. Therefore, proper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must involve careful monitoring of groundwater use near stream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of groundwater intake plans in the Anseongcheon watershed,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portion of groundwater wells according to distance from the stream and the distribution of wells near the stream. Among all the wells in the watershed, 20.5% were permitted and 31.3% were declared within 300m from the stream. In particular, among the wells located near streams, 11.4% were permitted and 88.6% were declared among the wells near streams. Therefore, the total amount of groundwater pumping rates from the declared wells is much higher than that from the permitted wells near the stream. Under current guidelines, investigations of the impact of groundwater use near a stream on streamflow depletion should only consider wells permitted by groundwater law. However, prudent management should also pay attention to declared wells, given their large number.

Cause of Groundwater Yield Reduction in a Collector Well Considering Sediment's Composition and Hydrogeochemical Characteristics (지층 및 이화학 특성을 고려한 방사형 집수정의 취수량 감소 원인 분석)

  • Kim, Gyoo-Bum;Lee, Chi-Hyung;Oh, Dong-Hwan
    • The Journal of Engineering Geology
    • /
    • v.27 no.4
    • /
    • pp.439-449
    • /
    • 2017
  • The cause of yield reduction in a collector well, which is located in Anseong-cheon watershed in Kyunggi province, is studied by using aquifer sediments' composition and hydraulic conductivity near four horizontal wells, no. 1, no. 4, no. 6, and no. 7 wells. During test-pumping periods, groundwater yield is reduced with a trend of $12.4m^3/d/d$ at no. 1, $2.3m^3/d/d$ at no. 4, $24.4m^3/d/d$ at no. 6, and $187.3m^3/d/d$ at no. 7 and no. 7 well shows the biggest reduction. The sediments along no. 7 horizontal well have low hydraulic conductivity and high coefficient of uniformity ($C_u$), and a deviation of $C_u$ along the well is also large. This characteristics can bring the fine particles' movement and make the openings filled. Additionally, high iron ($Fe^{2+}$) content results in a precipitation of iron hydroxides during pumping or injection and they can produce a clogging in sediments. In the future study, the analysis of physical and hydrochemical changes through a long-term pumping procedure will give a more exact interpretation for the cause of yield reduction.

Prediction of Coastal Inundation due to Tsunamis : Pohang New Port (지진해일에 의한 해수범람 예측 : 포항신항)

  • Sim, Ju-Yeol;Ha, Tae-Min;Cho, Yong-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8 no.4
    • /
    • pp.135-143
    • /
    • 2008
  • During the last decades several devastating tsunamis have been occurred. Recently, there have been increasingly concerned about tsunami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2004 Sumatra Tsunami occurred on December 26, 2004. In general, the Korean Peninsula is not safe against potential tsunami attacks. The 1983 Central East Sea Tsunami and the 1993 Hokkaido Tsunami caused considerable damage to the Eastern Part of the Peninsula. Thus, a prediction of damage due to tsunamis must be required at the Eastern Part of the Peninsula. In this study, numerical simulation of tsunamis at Pohang New Port, one of the most important ports in the Eastern Part of Korea, is conducted for three different tsunami events. Numerical simulation is focused on inundation on the port and run-down around an intake structure which supplies cooling water to the porthinterland. The computed results show that Pohang New Port is damaged by the most dangerous tsunami which can be generated in the East Sea. Thus, it is required to set up a counter-measure against tsunami attacks at Pohang New Port.

창녕군 증산리 지역 강변여과수 타당성 조사 및 시험 정호 설치

  • Kim Hyeong-Su;Won Lee-Jeong;Seok Hui-Jun;Park Cheol-Suk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Conference
    • /
    • 2006.04a
    • /
    • pp.76-81
    • /
    • 2006
  • 창녕군 증산리 지역은 신규 취수원 확보 일환으로 강변여과 방식 취수 가능성이 한국수자원공사에 의해서 평가되고 있는 지역이다. 강변여과 방식 취수의 타당성 평가를 위해 현장 지질조사, 시추조사, 전기 비저항 탐사 및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를 수행하였다. 또한 대상 연구지역에서의 개략적 취수 가능량 산정을 위해 모델링 평가가 수행되었으며, 개별 정호에 대한 양수량 산정을 위해 시험 정호를 설치하였다. 현장 시추 조사와 시료에 대한 입도 분석 결과, 연구 지역의 충적층 두께는 35m 전후이며, 주 대수층 구간은 지표하 $25{\sim}35m$인 것으로 추정되었다. 또한 주 대수층 구간의 수리전도도는 $10^{-2}cm/sec$ 이상으로 주로 모래섞인 자갈층으로 구성되어있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전기비저항 조사 결과는 부분적으로 매우 낮은 비저항 분포 지층을 보여주고 있으며, 이는 주로 실트 및 점토로 된 지층이 부분적으로 퇴적되어 있음을 지시하며, 고해상도 탄성파 탐사 결과는 전반적으로 지하수위는 지표하부 5m 전후에 분포하고, 충적층의 하부 경계는 35 내지 45m인 것으로 해석되었다. 지하수 모델링을 통해, 취수 목표량인 180,000톤/일은 주대수층까지의 지하수위 강하 없이 확보 가능할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개별 정호의 산출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시험 정호를 설치하여, 실제 2,700톤/일 예비 양수 시험을 수행하였다. 예비 양수 시험 결과, 양수정에서의 수위 강하는 개략 10m, 양수정관측정에서는 약 0.3m의 수위강하만이 관찰되었으며, 양수 영향권이 수 십 m를 넘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서의 S97과 JBR의 세포감염 억제율은 3.85%와 3.63%로 나타났다. $textsc{k}$-casein, CU는 로타바이러스 S97과 JBR에 대해 농도 2000UM에서 97%이상의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며, sialic acid는 억제효과가 거의 없었다. K-casein, GMP는 송아지뿐만 아니라 유아의 로타바이러스에 의한 설사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부위에 대한 미생물 오염을 낮출 수 있는 세심한 현장 품질관리가 필요하다.en and adolescents, analysed by country, age group and gender. The paper discusses the places young consumers can turn to in trying to fulfil their growing consumer needs. It also examines how much money is at their disposal. It then concludes by considering the influence of "financial socialization" on how young people deal with money.nsumption visions based on the various perspectives, consumers are influenced in the apparel buying decision-making. Many subjects reported experiencing positive affect when imagining positive outcomes of produc

  • PDF

Estimation of Natural Streamflow for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복하천 중상류 유역의 자연유량 산정)

  • Kim, Nam Won;Lee, Jeongwoo;Lee, Jeong Eun
    • Journal of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 /
    • v.46 no.12
    • /
    • pp.1169-1180
    • /
    • 2013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construct the natural streamflow in the Bokhacheon middle-upper watershed using the SWAT-K model and to assess the impacts of groundwater withdrawals, water intake, treated sewage water release on streamflow. The simulated natural streamflow from 2006 to 2013 showed the minimum discharge of $1.7m^3/s$, the annual average discharge of $26.2m^3/s$, the drought flow of $2.0m^3/s$ at the outlet of the study area. The simulated results indicated that the groundwater pumping has induced the decrease of 34% in drought flow against the natural condition and the net water release has caused the increase of 15%, while the combined effects of the groundwater pumping and the net water release have induced the decrease of 19%. It was found out from the simulated natural streamflow data that the specific discharges of the abundant flow, normal flow, low flow, drought flow in the upper-middle channels of the Bokha-cheon watershed have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drainage area increases, but the specific discharges showed almost constant values at any downstream point with drainage area more than about 180 $km^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