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췌장절제술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5초

췌장암 절제 후 잔여췌장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한 반복절제를 시행한 2례 - 췌장암의 반복절제 - (Two Cases of Repeated Pancreatectomy for Pancreatic Cancer Developing in the Remnant Pancreas after a Resection of Pancreatic Cancer - Repeated Pancreatectomy of Pancreatic Cancer -)

  • 김영일;우상명;이우진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1권1호
    • /
    • pp.43-47
    • /
    • 2013
  • 췌장암에 대한 근치적 절제술 후에 잔여 췌장에서 발생한 췌장암에 대한 보고는 거의 없는 상태이며, 특히 잔여췌장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하여 반복 췌장절제를 시행한 보고는 더욱 드물다. 저자들은 췌장미부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하여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 후 35개월에 잔여 췌장에서 발생한 췌장암으로 췌장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와 췌장두부에 발생한 췌장암에 대하여 췌장십이지장 절제술을 시행 후 20개월 만에 잔여 췌장에 췌장암이 발생하여 췌장미부절제술을 시행한 경우를 경험하였기에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술적 절제술 후 간에 재발한 췌장암에서 항암화학요법과 종양절제술로 완전 관해를 보인 증례 (A Case of Pancreatic Cancer Recurred in Liver after Surgical Resection, in Complete Response after Chemotherapy and Tumorectomy)

  • 손준혁;이재우;장동기;이상협;류지곤;김용태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3권2호
    • /
    • pp.105-107
    • /
    • 2015
  • 췌장암은 예후가 매우 불량한 암으로 수술적 절제술을 시행하여도 대부분의 경우 재발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재발을 하는 경우 대개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게 되나, 그 반응 또한 좋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간에 국소적으로 재발을 했을 경우 종양절제술을 시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몇몇 보고가 있는 정도이며, 생존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이다. 본 증례는 유문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 시행 후 간에 국소적으로 재발한 췌장암에 대하여 gemcitabine 및 capecitabine과 oxaliplatin 병합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하였으나 크기가 증가하였고, 이에 종양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이후 장기생존을 보였던 경우로 매우 드문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수술 후 재발한 췌장암에서 종양절제술과 정위적 체부 방사선치료로 장기간 생존을 보인 환자 (Long-term Survival of Recurrent Pancreatic Cancer Treated with Tumorectomy and Stereotactic Body Radiation Therapy)

  • 원종화;류지곤;유민수
    • Journal of Digestive Cancer Research
    • /
    • 제6권2호
    • /
    • pp.73-77
    • /
    • 2018
  • 췌장암으로 진단된 70세 여자 환자가 유문보존 췌십이지장 절제술 및 5-fluorouracil 동시항암화학요법으로 치료받았다. 수술 후 병리학적으로 pT3N0 (stage IIA)의 췌장선암이 확진되었다. 14개월 뒤 복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10 mm 크기의 단일 간 재발 병소가 간 3번 분엽에서 발견되었다. Gemcitabine 12주기 및 capecitabine plus oxaliplatin 9주기 항암치료를 시행했으나 전이병소는 27mm로 크기가 증가하였다. 이에 간 3번 분엽의 종양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종양절제술 시행 25개월 뒤 흉부 전산화단층촬영에서 23 mm 크기의 단일 공동성 폐결절이 발견되었고, 조직검사에서 전이성 선암으로 확인되었다. 환자는 두 차례의 정위적 체부 방사선 치료 후 질병의 진행 없이 진단 후 6년 이상 장기 생존 중이다. 본 증례를 통해 수술 후 단일 간 전이 혹은 폐 전이가 발견된 일부 환자들에서 수술적 절제를 비롯한 국소 치료가 장기생존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내장신경 절단 및 흉부교감신경 절단을 통한 난치성 복통의 치료 -1례 보고- (Splanchnicotomy and Thoracic Sympathicotomy for Control of Intractable Abdominal Pain -One Case Report-)

  • 황정주;김재영;이두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2호
    • /
    • pp.995-997
    • /
    • 2000
  • 내장의 통증은 교감신경을 통하여 척수로 전달된다고 알려져있다. 특히 췌장염이나 췌장암의 통증에 관해서 Mallet-Guy 등이 1943년 큰내장신경 및 요교감신경절 절제술을 시행한 이래로 상기 방법이 이용되어 왔다. 내장신경 절제술은 효과에 비해 수술이 커지고, 긴 바늘을 이용한 복강신경총 차단술이 발달하면서 사장된 방법으로 여겨졌다. 그러나, 최근에 흉강경을 이용한 수술방법이 발달하면서 간단히 큰내장신경 절제술이 가능해져 흉강경을 이용한 큰내장신경 절단술은 난치성 복통치료의 좋은 방법으로 받아 들여지고 있다.

  • PDF

조기위암에서 복강경보조 위전절제술 및 췌장보존식 비전절제술 1예 (Laparoscopy-assisted Total Gastrectomy with Pancreas-preserving Splenectomy for Early Gastric Cancer: A Case Report)

  • 박종민;김도윤;이재만;임채선;진성호;조용관;한상욱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7권2호
    • /
    • pp.97-101
    • /
    • 2007
  • 저자들은 조기위암 환자에서 복강경보조 위전절제술 및 췌장보존식 비장절제술을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 하고자 한다. 62세 남자 환자로 내시경 조직검사에서 위상부와 위하부에 2개의 병변을 가진 조기위암으로 진단되어 복강경보조 위전절제술을 계획하고 수술을 진행하였다. 기복을 형성 후 5개의 투관을 삽입하여 위의 대만을 초음파 소작기로 박리 후 비장의 하단으로 박리를 진행하던 중 비장문부의 림프절 종대가 관찰되어 동결절편검사를 시행한 결과 암전이가 확인되어 위전절제술과 함께 췌장보존식 비장절제술을 시행하였다. 검상돌기 직하부에 수직으로 4 cm의 절개창을 형성 후 위장과 비장을 꺼낸 후 Roux-en-Y 식도공장문합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수술 후 3일째 첫 번째 가스배출과 함께 유동식을 시작하였으며 별다른 문제없이 수술 후 9일째 퇴원하였다. 저자들은 비장문부의 림프절 암전이가 발견된 근위부 조기위암의 경우에도 복강경을 통한 제2군 림프절 절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으며 복강경 보조 위전절제술 및 췌장보존식 비장절제술을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 PDF

췌장 선암의 절제 가능성 평가 (Radiologic Evaluation for Resectability of Pancreatic Adenocarcinoma)

  • 황신혜;박미숙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2권2호
    • /
    • pp.315-334
    • /
    • 2021
  • 췌장 선암의 발견, 진단, 절제 가능성 평가, 병기 설정 및 치료 방침 결정에 영상 검사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최근에는 진단 당시 경계절제성 혹은 국소 진행성 췌장암을 진단 받은 경우 선행 보조 치료 또는 완화 치료 후 가능하면 근치적 절제술을 고려할 것이 권고된다. 이 종설에서는 췌장 선암의 절제 가능성 평가, 원격 전이의 진단 및 선행 보조 치료 또는 완화 치료 후 절제 가능성을 재평가할 때 영상 검사의 해석, 판독 기준 및 고려할 사항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진단에 있어서 자기공명담췌관조영술(MRCP)의 유용성 (Usefulness of MRCP in the Diagnosis of Common Bile Duct Dilatation caused by Non-stone or Non-tumorous Conditions)

  • 정재준;양희철;김명진;김주희;이종태;유형식
    • Investig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 /
    • 제6권2호
    • /
    • pp.129-136
    • /
    • 2002
  • 목적 : 총담관 확장을 유발하는 원인 중 결석과 종양을 제외한 여러 원인을 평가하는데 있어서 MRCP의 진단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ERCP와 MRCP를 모두 시행받은 환자 26명 (남:여=15:11, 평균연령 62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 중 12명은 역동적 MRCP를, 10명은 조영증강 MRI를 추가로 시행하였다. 총담관, 간내 담도, 췌관 등의 확장 정도, 간내 담도 결석, 췌장 가성낭종, 유두부의 부종이나 결절성 종대 등을 관찰하였다. 총담관은 T2-강조 관상영상에서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경우 7 mm 이상, 절제술을 받은 경우 10 mm 이상을 비정상적인 확장으로 판정하였다. 결과 : 담낭절제술을 받지 않은 환자의 총담관 평균 직경은 12.7mm(n=21, 9-19 mm)였고, 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평균 직경은 13.0 mm(n=5, 10-15mm)였다(p〉0.05). MRCP에서 담관염 11명(42.3%), 만성 췌장염 8명(30.8%), 원위부 총담관 협착 6명(23.1%), 팽대부 주위 게실 3명(11.5%), Vater 팽대부 협착, 오디 괄약근 기능장애, 췌장 두부의 국소적 췌장염이 각각 2명 (7.7%), 유두염, 췌장 두부 가성낭종에 의한 총담관 확장, 총담관 내 회충이 각각 1명(3.8%) 있었다. 췌관의 확장은 10명(38.5%)에서 보였고, 십이지장 게실은 3명(11.5%)에서 관찰되었다. 역동적 MRCP(n=12)에서 2명(16.7%)은 일반 MRCP에서 보이지 않던 원위부 총담관이 관찰되었고, 조영증강 MRI를 시행한 10명 중 1명 (10.0%)만이 유두염의 소견을 보였다. 결론 : 비결석, 비종양성 총담관 확장의 원인을 찾는데 있어서 MRCP는 총담관 원위부 협착 및 만성 췌장염, 역동적 MRCP를 이용한 생리적 총담관의 확장, 조영증강 MRI 를 통한 담관염 및 담관 외 병소의 발견 등에 있어서 도움이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개에서 담낭절제술 후 총담관에 재발한 총담관결석증 (Recurrence of Choledocholith in the Common Bile Duct after Cholecystectomy in a Dog)

  • 장진화;윤석주;김주형;강지훈;김근형;나기정;장동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7권5호
    • /
    • pp.605-609
    • /
    • 2010
  • 10년령의 중성화 암컷 요크셔 테리어가 구토와 식욕부진으로 내원하였다. 신체검사, 혈액검사 및 복부 방사선 초음파검사와 컴퓨터단층촬영 검사 결과 췌장염, 간신증후군을 동반한 폐쇄성 총담관결석으로 진단되었다. 수술적으로 총담관결적을 제거하였으나, 10일 후 사망하였다. 본 증례를 통하여 담낭절제술을 한 환자에서 재발성 담관 결석, 췌장염과 같은 합병증에 대한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하고, 진단 및 수술에 대한 정확한 평가를 위해 CT가 유용함을 알수 있었다.

췌공장 스텐트의 공장으로의 이동으로 발생한 스텐트-돌 복합체 형성과 이로 인한 소장폐색: 증례 보고 (Migrated Pancreaticojejunal Stent Forming a Stent-Stone Complex in the Jejunum with Resultant Small Bowel Obstruction: A Case Report)

  • 김지원;김영한;이병희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4권2호
    • /
    • pp.512-517
    • /
    • 2023
  • 췌공장문합술 후 췌관 내 스텐트를 삽입하는 것은 수술 후에 췌장루나 췌관 협착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해 널리 시행하는 술기이다. 그러나 삽입한 스텐트가 막히거나 이동하는 등 스텐트에 의해서도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췌관에 삽입한 플라스틱 스텐트가 이동하면서 발생된 매우 드문 합병증의 예를 보고하고자 한다. 유문부 보존 췌두부십이지장 절제술 시행 후 췌장 내 삽입한 스텐트는 공장으로 이동하여 스텐트-돌 복합체의 근원으로 작용하여 공장 폐색을 일으켰다. 스텐트-돌 복합체는 탐색적 개복술로 제거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