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충청수영(忠淸水營)

검색결과 7건 처리시간 0.023초

임진왜란 오천 충청수영성(忠淸水營城) 소재 명군(明軍) 유적과 시편

  • 박현규
    • 중국학논총
    • /
    • 제65호
    • /
    • pp.101-116
    • /
    • 2020
  • I in this article analyzed poetry and prose written by Ming Navy forces who visited Chungcheong Navy Castle(忠淸水營) in Ocheon(鰲川)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壬辰倭亂) and the remains concerning them. Chungcheong Navy Castle was used as a way station when Ming Navy forces came and went to the Southern Sea during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April 1598, "Gyegong cheongdeok bi(季公淸德碑)" was erected to praise Gyegeum for his virtue. The villiagers have served "Gyegeum cheongdeok bi" as a god for the peaceful sea and good luck from the ancient times. Zhang Liangxiang(張良相) & Jia Xiang(賈祥) developed his great spirit to appreciate beautiful viewwhen he defeated Japanese force and ascended again to Yeongbo Pavilion(永保亭).

한말 충청수영 객사·동헌의 위치와 존치상태 연구 (A Study on the Position and Preservation Situation of Gaeksa·Dongheon in Choongcheong Suyeong at the end Joseon Dynasty)

  • 김명래
    • 건축역사연구
    • /
    • 제27권2호
    • /
    • pp.101-112
    • /
    • 2018
  • The study on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in Chungcheong Suyeong(忠淸水營) is very rare. How were the Gaeksa(客舍) and Dongheon(東軒) which are representativ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in Suyeong, maintained and what was the aspect of it, while passing through the upheaval period of the end of Joseon(朝鮮)? And where was the original place and was there any change in use? It is so regrettable that these subjects were not figured out yet. So I thought it is very important task to figure out its actual aspect by investigating the maintain state of the Gaeksa and Dongheon and the change of their places. So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ed historical records and, based on it, analyzed "Ocheon GoonJi(鰲川郡誌)" in various view points. Through this analysis, this study could figured out the maintain aspect of the gaeksa and dongheon and the change of their places, and be able to deduce the other change of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 This study could assume the places of each government office buildings by comparing this investigated result and the analyzed result of the original cadastral map in various view points. As the result of the study done by this method, this study confirmed the maintain state of the Gaeksa and Dongheon in Chungcheong Suyeong while passing through the upheaval period of the end of Joseon. And this study figured out the places of the Gaeksa and Dongheon, and be able to confirm their places by the lot number on the original cadastral map. Along with this, this study could estimate Jo(趙) family's confliction with the residents at that time by verifying the lot numbers of the Sapaeji(賜牌地) which this family received from the government. And among the names of the government office buildings, for the Jangkyocheong(將校廳) which is in dispute because of the name, this study figured out that the author of "Ocheon GoonJi" made a mistake in writing Dongheon.

충청수영 영보정의 유식과 시경 공간 연구 (A Study on YuSik and Sikyung Space of Yeongbojeong in Chungcheong-Suyeong)

  • 김명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8호
    • /
    • pp.77-8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dition of the architectural location and the history of Yeongbojeong and investigate the motivation which formed the YuSik space and the poetical circles of it. And another purpose of the study is to discover how Yeongbojeong, located in a military camp in Western coast, displayed the poetic scenery so to be the poetic summer house among so many Nujeongs in Joseon. Yeongbojeong is currently located in Soseong-ri, Ocheon-myeon, Boryeong City, Chungnam. Yeongbojeong has the biggest size among all the summer houses in the country with 24 architectural rooms. And Yeongbojeong is not only the summer house in which people could simply see its scenery, but beyond the poetic space of Joseon, it was the unique poetic summer house which enables poets and calligraphers to enjoy imaginary freedom. The time range of the study was from the building of Yeongbojeong in 1504 to its demolish in 1901, and its space range was taken focused on the particular scenery which was seen from around Yeongbojeong. To investigate the architectural aspect of Yeongbojeong, the existing records about the summer houses, "OcheonGoonJi" and the landscape paintings etc. were referred. The travel records and poems in the work collection of the famous poets who explored Yeongbojeong were referred to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Yeongbojeong poetical circles. The result of the study shows the process that Yeongbojeong had become the famous national place with scenery and how it became the most visited YuSik space. And this study figured out the full account of Yeongbojeong poetical circles which had been formed by so many poets of the country for 4 hundred years.

보령 영보정 창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Yeongbojeong in Boryeong)

  • 김명래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5권2호
    • /
    • pp.105-114
    • /
    • 2019
  • Yeongbojeong was a famous pavilion of Joseon, which was located in Chungcheong-Suyeong, Ocheon-myeon, Boryeong-si. It was an open place for poets and calligraphers to freely visit during 400 years. Until today, it is widely said that Yeongbojeong was newly built by LeeRyang in 1504, who was Sugunjeoldosa(naval forces officer). The researcher investigated Gyujanggak to search Lee Maenghyu's "Asulrok-Book", and it was determined that Yeongbojeong was created by Gang Soon, 36 years earlier than LeeRyang. Accordingly, this research aimed at determin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creation of Yeongbojeong. "Asulrok-Book", which said, "Yeongbojeong was Wonjeong(園亭) of Gang Soon during Yejong's reign", however this research could settle imperfection of Geungeo Gimun which was not clearly explained. Yeongbojeong was created due to Gang Soon's Wonjeong in 1468, however he was also a traitor and was executed, so that nobody wanted to mention about it.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no phrase related to the record of creation of Yeongbojeong by Gang Soon out of lots of Yongbojeong Jeyoungsi and Gimun. Lee Maenghyu was a brave scholar who recorded 'Yeongbojeong was Gang Soon's Wonjeong' confidently, breaking such taboo. This research intended to clearly investigate the year of foundation of Yeongbojeong and establish the history of Chungcheong-Suyeong by thoroughly analyzing newly discovered "Asulrok-Book", existing "Ocheong GoonJi", and "Chungcheongsaryejib" and considering the fact relevance. As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t was determined that Yeongbojeong was Gang Soon's Wonjeong through "Asulrok-Book". The point that Yeongbojeong was forfeited reverted to neighboring Chungcheong-Suyeong after Gang Soon was executed due to his participation in a conspiracy also was a newly discovered fact. LeeRyang, Sugunjeoldosa, can be said a brave commander, since he put up the original Yeongbojeong instead of abandoning the name Yeongbojeong of Gang soon. So far, Yeongbojeong is widely accepted as 'new construction of Yeongbojeong by LeeRyang in 1504'. However, since the record of Gang Soon's Wonjeong was discovered, and as the result of diversified analysis and examination, it is proper to correct the foundation year of Yeongbojeong as 1468.

충청북도 박달산 일대의 식물상 (The Flora of Mt. Bakdal in Chungcheongbuk-do, Korea)

  • 유주;진연희;장혜원;조흥원;이동우;윤희빈;이철희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69-182
    • /
    • 2004
  • 본 연구의 목적은 충청북도 괴산군에 위치한 박달산(825 m)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을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수행되었다. 2000년 10월부터 2001년 8월에 걸쳐 조사한 결과 91과 275속 391종 62변종 5품종 등 458종류가 확인되었다. 희귀 및 멸종위기 종은 말나리 , 난장이붓꽃, 매미꽃, 태백제비꽃, 미치광이 풀, 토현삼 등 총 6종류가 조사되었고 특산식물은 가는 장구채, 진범, 매미꽃, 조팝나무, 가시딸기, 주엽 나무, 털조록싸리, 광릉갈퀴, 노랑갈퀴, 뽕잎피나무, 자란초, 오동, 토현삼, 병꽃나무, 청괴불나무, 고려 엉겅퀴, 분취 등 17종류가 관찰되었다. 또한 귀화식물은 애기수영, 소리쟁이, 닭의덩굴, 취명아주, 털비름, 아까시나무, 족제비싸리, 토끼풀, 어저귀, 수박풀, 달맞이꽃, 큰달맞이꽃, 개망초, 망초, 미국가막사리, 지느러미엉겅퀴 등 16종류가 관찰되었다.

치위생과 학생이 인식한 학습풍토가 전공몰입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Major Commitment Level by Department Climate among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유지수;최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99-105
    • /
    • 2011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자각한 학습풍토 유형과 각 유형별 수준에 따라 전공분야에 대한 높은 몰입 수준에 미치는 요인들과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전공분야 몰입수준과 학습풍토를 조사, 분석하여 표집집단의 주관적 인식 수준을 기술하고 이들 사이의 관계여부를 설명할 수 있는지 탐색하고자 경기, 대전,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학생들의 전공분야 몰입도는 표집대상의 특성을 보면 높은 몰입 수준 즉, 전공분야에 대한 헌신과 관심 학습 지속성이 높은 속성을 보이는 비율은 31.8%, 낮은 몰입 수준, 즉 전공분야에 대한 관심이 적고 전공에 대한 기대수준이 낮은 비율은 10.2%로 나타났다. 표집대상의 절반을 넘는 58.0%은 중간정도의 몰입수준을 보여준다. 2. 보건계열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학습 풍토의 수준을 유형별로 살펴본 결과, 상호관계적 유형 88.6%, 목표지향성 63.8%, 체제유지 94.4%, 체제변화 87.2% 등 4가지 요인 모두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학년(p<.001)과 지역(p<.005)은 전공 몰입 수준에 대하여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주며, 학습풍토는 상호관계성(p<.001)과 체제변화 유형(p<.005)에서 인식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보여준다. 3. 보건계열 대학생들은 자신들 주변의 학습풍토에 대하여 상호관계적 인식유형과 체제변화적 인식유형의 수준이 높고, 체제유지적 인식유형 수준이 낮을 때 전공에 대한 몰입도가 높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또한 상호관계적 인식유형과 체제유지적 인식유형, 목표지향적 인식유형과 체제변화적 인식유형이 낮은 수준으로 결합되어질 경우에도 전공에 대한 몰입도가 높을 것이라 예측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는 높은 수준의 몰입도는 명확한 직업관과 인생관 진로의식과 전문가로서의 자존감 등을 지속적으로 되어졌을 때 나타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목표의식이 명확한 대학생에게도 정서적 학습 환경과 풍토조성의 중요함을 보여준 실증적 연구라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번 연구의 결과로 치위생과 학생들이 인식한 학습풍토가 전공분야의 전문가로서 역량을 발휘하기 위해 필요한 몰입 수준에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학생, 교 강사, 학교행정, 학생지원 등의 대안마련에 중요한 단서로서 작용하게 하여 미래에 지역사회에서 역할 하는 전문가로서의 자세 배양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치위생과 학생의 정서적 인식이 전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Emotional Perception on Major Satisfaction among Students at the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 유지수;최수영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10권5호
    • /
    • pp.307-314
    • /
    • 2010
  • 본 연구는 학생들이 인식하고 있는 정서적 반응 특성인 치위생과의 학습풍토, 학과 생활 스트레스, 자각한 무기력감을 측정하여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전공만족도에 주는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경기, 대전, 충청지역에 소재하는 4개의 대학 치위생과에 재학 중인 1학년과 2학년, 3학년 학생 43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치위생과 재학생들은 전공 분야에 대하여 대부분 만족한다(74.0%)고 응답하였다. 1학년 학생들이 타 학년에 비해 만족한다는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p<.01). 이는 신입생들의 전공 선택에 대한 기대수준이 높을 것이라는 점을 예측할 수 있다. 2. 전공 분야에 대해 만족하고 있는 구체적인 요인들을 살펴본 결과 전공교육내용(34.3%), 동료학생 및 면학 분위기(15.1%), 교수자(11.8%)의 순서로 지역별 유의한 차이(p<.001)가 나타났다. 3. 정서적 특성요인을 측정하기 위해 설정한 전공 학생들간의 학습풍토, 학과생활 스트레스 자각한 무기력감은 전공만족도에 대하여 유의한 부적상관을 보였으며, 학습풍토는 일부 요인에 대하여 유의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교육과정만족도는 전공만족도와 매우 높은 상관(r>.7)을 보였으며, 이는 이후 분석과정에서 제외시켜 다중공선성을 제거하였다. 4. 전공만족도에 대한 정서적 반응 요인의 중다회귀분석 결과, F 검정통계값은 21.786, 유의확률은 .000으로 모형에 포함된 독립변수는 유의수준 .05에서 상호관계적 학습풍토(t=4.3, p=.000), 자신감결여에 의한 무기력(t=-2.9, p=.004), 체제변화적 학습풍토(t=2.6, p=.009), 통제력 결여에 의한 무기력(t=-2.2, p=.030)의 순으로 전공만족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전공만족도에 부적상관을 보인 학과생활 스트레스 요인과 자각된 무기력감 사이의 다중요인 간 상관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정준상관분석 결과, 두 요인집단 간 매우 높은 정적인 상관(.783)을 나타났다. 따라서 스트레스 반응 증상이 높은 학생일수록 높은 무기력 증상을 나타낸다고 할 수 있다. 6. 스트레스 반응증상 요인 중에서는 우울증상군 반응(표준화정준계수 -.811, 정준부하량은-.983)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며, 자각된 무기력 증상 요인 중에서는 자신감 결여에 따른 무기력 증상(표준화정준계수 -.557, 정준부하량 -.964)이 가장 많은 기여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7. 스트레스 반응증상 요인 중에서는 우울 증상군 반응(정준교차부하량 -.769)이 자각된 무기력감과 가장 많은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자각된 무기력증상 요인 중에서는 자신감 결여에 따른 무기력감(정준교차부하량 -.755), 부정적 인지에 따른 무기력감(정준교차부하량 -.747)로서 스트레스 반응유형과 각각 순차적으로 많은 관련성을 지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치위생과 재학생들의 전공만족도는 정서적 특징에 매우 유의하게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전공 학습에 따른 전문성 향상과 더불어 학생들의 생활증진을 위한 주요 요인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