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출력 증가율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026초

연구용 원자로의 출력제어기법 설계 및 적용사례 (Power Control Design and Application to Research Reactor)

  • 방대인;이종복;서용석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51권9호
    • /
    • pp.215-220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연구용 원자로의 출력제어기법 설계와 이를 실제 원자로에 적용하여 성능을 검증한 사례를 소개한다. 연구용 원자로의 출력제어를 위해 제안된 설계 원리는 오버슈트(overshoot)의 억제, 출력 증가율의 억제, 그리고 안전해석에 기반한 최대 출력치의 제한이라는 세 가지이며, 이를 만족키 위해 한국원자력연구원 내의 연구용 원자로인 하나로의 설계개념에 기반을 두어 제어 로직의 개념설계, 상세설계, 구현, 시운전을 통해 해외의 원자로에 적용하여 실제 제어 성능을 검증하였다.

에너지전환색소에 의한 색소레이저의 에너지증가

  • 오철환;서욱창
    • 한국광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광학회 1988년도 광학 및 양자전자학 워크샵
    • /
    • pp.26-28
    • /
    • 1988
  • 펌핑과의 스펙트럼을 전환시켜 색소레이저의 에너지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에너지 전환색소 BBQ를 레이저색소 LD490에 첨가하여 실험하였다. rise time이 비교적 짧은 Ar flashlamp로서 펌핑하였고, 주입에너지는 160J이다. LD490의 레이저발진의 최적농도의 4$\times$10-10M/1에서 BBQ의 첨가농도를 바꾸면서 실험한 결과 4.5$\times$10-10M/1일 때 최대의 증가율을 보이고 이때 레이저 증가율은 180%까지 도달하였다. 레이저출력 증가율은 92%이다.

  • PDF

580 MW급 복합발전소 탈질설비에서 가스터빈 출력에 따른 암모니아 소모량 변화 (Change of Ammonia Consumption with Gas Turbine Output in DeNOx System for a 580 MW Combined Cycle Power Plant)

  • 장용우;유호선
    • 플랜트 저널
    • /
    • 제15권3호
    • /
    • pp.23-28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580 MW급 세종복합발전소의 선택적 촉매환원방식 탈질설비 1호기를 대상으로 강화된 대기환경보전법 및 환경평가협의 질소산화물 허용배출기준을 준수하는 암모니아 소모량을 찾고자 가스터빈 출력별 암모니아 투입량을 조절하며 측정하였다. 측정을 위해 가스터빈 출력은 50, 99, 149 그리고 198 MW로 변동시키고 각 출력단계별 연소가스 및 암모니아 공급조건을 고정한 상태에서 탈질설비 내 암모니아 소모량을 조절하였다. 질소산화물 배출기준을 10 ppm에서 8 ppm으로 변경하였을 때 출력대별 암모니아 소모량은 각각 78, 93, 105 그리고 133 kg/h에서 89, 113, 132 그리고 176 kg/h로 증가 되었다. 암모니아 소모량 증가율은 질소산화물 배출기준 10 ppm 대비 출력대 별 각각 14, 22, 26 그리고 32%로 출력이 증가할 수 록 증가율도 늘어남을 알 수 있었다.

Aluminum 1060의 저출력 전자빔 용접부 bead 특성

  • 이돈배;우윤명;김기환;김창규
    • 한국원자력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원자력학회 1998년도 춘계학술발표회논문집(2)
    • /
    • pp.262-266
    • /
    • 1998
  • 하나로 핵연료의 피복관과 봉단마개 재료로 사용되는 Aluminum 1060의 전자빔 용접부의 비드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bead-on-plate 용접을 하였다. 비드의 단면을 절단하여 가속전압, 빔 전류, 용접속도에 따른 비드의 폭과 용입 깊이의 변화를 측정하고 용접부에 발생한 용접결함을 관찰하였다. 실험결과 가속전압과 범 전류의 증가에 따라 용입 깊이는 직선 비례적으로 계속 증가하였지만 비드폭은 그 증가율이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용접속도의 증가에 따라서 비드 폭과 용입깊이는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범 출력이 높은 용접부의 root부에 다수의 porosity 가 발생하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으며 핵연료 봉단 마개의 porosity와는 다른 것을 확인하였다.

  • PDF

아몰퍼스와이어를 이용하여 제작한 직교 플럭스게이트 센서의 출력에 미치는 구동 주파수와 여자 전류의 영향 (Influences of Operation Frequency and Excitation Current on Output Signal of Orthogonal Fluxgate Sensor Fabricated with an Amorphous Wire)

  • 신광호
    • 한국자기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7-21
    • /
    • 2009
  • 코발트계 아몰퍼스와이어와 검출코일을 이용하여서 제작한 직교 플럭스게이트 센서에 있어서 구동주파수와 입력전류가 센서의 출력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구동전류가 0.3 A까지 증가함에 따라서 센서의 출력전압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그 이상의 구동전류에 대하여서는 출력전압의 증가율이 둔감하게 되었고 0.6 A 이상의 구동전류에 대하여서는 출력전압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센서의 구동주파수를 1.3 MHz까지 높임으로써 출력전압을 높일 수 있었으나, 그 이상의 구동주파수에서는 출력전압이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3MHz의 구동주파수에 대하여 출력전압은 3.8 V였으며, 1 MHz의 구동주파수에 대하여서는 1.32 V였다.

핵연료봉의 PCI파손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거동분석 (The Behaviors of the Material Parameters Affecting PCI Induced-Fuel Failure)

  • Sim, Ki-Seob;Woan Hwang;Sohn, Dong-Seong;Suk, Ho-Chu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20권4호
    • /
    • pp.241-245
    • /
    • 1988
  • 핵연료봉의 PCI 파손은 원자로의 운전제한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출력급증 조건에서 핵연료봉의 PCI 파손을 지배하는 파손인자들의 거동을 검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피복관에서의 원주방향 응력, 원주방향 변형도, 원주방향 주름 높이, 크립 변형율 및 변형도 에너지등의 파손인자들에 대한 거동특성을 핵연료봉 성능해석용 전산코드인 FEMAXI-IV를 이용하여 출력급증량 및 출력증가율의 운전인자들의 함수로 검토하였다.

  • PDF

Rhodamine 560을 이용한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출력 증가 (Output Enhancement of Rhodamine 6G Dye Laser by Rhodamine 560 Energy Transfer Dye)

  • 장원권;이민희
    • 한국광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266-271
    • /
    • 1994
  • 형광 스펙트럼이 Rhodamine 6G의 흡수 스펙트럼과 일치하는 Rhodamine 560을 첨가 색소로 하여 Rhodamine 6G 색소 레이저의 에너지 전달에 의한 출력 증가를 조사하였다. 펌핑 광원으로 펄스형의 경우 아르곤 기체를 주입한 동축 섬광관을 실험실에서 제작하여 사용하였으며 연속형은 아르곤 레이저를 이용하였다. 펄스형의 경우 주색소인 Rhodamine 6G의 종도가 $1\times10^{-4}mol/l$일 때 첨가 색소인 Rhodamine 560의 농도가 Rhodamine 6G농도의 1% 정도에서 에너지 전달효율이 가장 높았다. 연속형의 경우는 Rhodamine 6G의 종도가 $2\times10^{-3}mol/l$ 일 때 Rhodamine 560의 농도가 Rhodamine 6G 농도의 2.5%에서 에너지 전달효율이 가장 높았다. 아르곤 레이저의 multiline발진에 의한 출력이 3.6W일 때 18% 정도 출력이 증가하였으며 488nm와 514.5nm의 단색광으로 펌핑할 경우 아르곤 레이저의 최대 출력이 1.6W일 때 각각 72%와 88%의 출력 증가율을 보였다.

  • PDF

최적의 2차 편광모드분산 보상에 관한 이론적 고찰 (Theory of optimal second-order PMD compensation)

  • 김상인
    • 한국광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583-587
    • /
    • 2003
  • 본 논문에서는 피드포워드(feedforward) 방식의 2차 편광모드분산 보상에 있어서 보상 장치에서 발생시켜야 할 최적의 보상 벡터를 펄스 폭 증가율을 최소화함으로써 이론적으로 유도하였다. 최적의 2차 보상 벡터는 전송 선로의 편광모드분산 벡터의 단순한 Taylor전개식과는 달리, 편광모드분산 벡터와 출력 신호 편광의 주파수 평균들의 선형 조합으로 표현됨을 밝혔다. 최적의 2차 편광모드분산 보상에서의 펄스 폭 증가율을 해석적으로 계산하였으며, 계산 결과를 전산 모의 실험에 의한 결과와 비교하여 일치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에서 유도한 최적의 2차 보상 벡터에 관한 공식은 피드포워드 방식의 2차 편광모드분산 보상에 반드시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이 안면피부 탄력도와 멜라닌 양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Low Power Laser Therapy on Facial Skin Melanin and Elasticity)

  • 안경민;김예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5805-5810
    • /
    • 2011
  • 본 연구는 피부 관리 측면의 노화방지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를 제공할 목적으로 수기 요법과 저출력 레이저 요법을 이용하여 각각의 요법에 8명씩의 41세에서 58세 사이의 여성들에게 2011년 6월 20일부터 8월 26일까지 주 2회씩 4주 동안 총 8회에 걸쳐 안면 마사지를 시행하였다. 시행 2, 4, 6, 8회후 눈 밑과 볼의 피부 탄력도와 눈가와 볼의 멜라닌 양을 측정하여 평균값과 표준편차를 내고 비교 분석한 결과 두 집단 모두에서 탄력도가 유의적으로 증가하고 멜라닌양은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결과가 나타났다. 또한, 탄력도의 증가율과 멜라닌양의 감소율 모두에서 수기 요법보다 저출력 레이저 요법이 더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나 저출력 레이저 요법이 안면 피부의 탄력도와 멜라닌 양에 미치는 효과가 수기 요법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저출력 레이저를 이용한 피부 관리는 안면 피부의 노화방지에 유의하며 새로운 피부 관리의 프로그램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분석되었다.

단일 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 내의 광섬유 용융 현상에 관한 연구 (A Study of the Fiber Fuse in Single-mode 2-kW-class High-power Fiber Amplifiers)

  • 이준수;이광현;정환성;김동준;이정환;조민식
    • 한국광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7-12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단일 모드 2 kW급 고출력 광섬유 증폭기에서 발생한 광섬유 용융 현상을 융착점 냉각 특성에 따라 실험적으로 분석한 결과를 소개한다. 레이저 출력에 따른 펌프 광 결합기와 주증폭기 이득 광섬유 사이의 융착점 온도를 레이저 출력에 따라 측정하였다. 융착점 온도는 레이저 출력 1.2 kW까지는 20℃에서 32℃까지 온도 상승 기울기 0.01℃/W로 증가율이 작았으나 1.2 kW 이후부터 온도 상승 기울기 0.08℃/W로 융착점 온도가 급격하게 증가하였고 1.96 kW 출력에서 동작 중 광섬유 용융 현상에 의해 광섬유 증폭기가 손상되었다. 손상된 펌프 광 결합기의 전송 광섬유 코어에는 광섬유 용융의 전형적인 탄환모양손상 형상이 나타났다. 이후 수냉식 냉각판을 적용하여 융착점 부위의 냉각 성능을 향상시킨 후 레이저 출력 특성 변화를 조사하였다. 최대 출력 2.05 kW에서 광섬유 융착점 온도는 35.8℃였고 레이저 출력에 따른 온도 상승 기울기는 0.007℃/W로서 급격한 증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되었다. 광섬유 증폭기에서 광섬유 용융 현상은 발생하지 않았으며 최대 출력 2.05 kW에서 모드 불안정성 역시 발생하지 않았다. 최대 출력 2.05 kW까지 빔 프로파일은 안정적인 가우시안 형태였으며 빔 품질 1.3 이하를 유지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