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출력 계수

Search Result 667, Processing Time 0.034 seconds

An Improved Maximum Power Point Tracking Method for a Grid-Connected Wind Power System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 시스템의 향상된 최대전력점 추종기법)

  • Kang, Yi-Kyu;Ro, Hak-Sueng;Jeong, Hae-Gwang;Lee, Kyo-Beum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1.11a
    • /
    • pp.265-266
    • /
    • 2011
  • 본 논문은 승압형 컨버터를 이용한 계통연계형 풍력 발전시스템의 향상된 최대전력점 추종 기법을 제안한다. 풍력 발전시스템에서 블레이드 모델 기반의 출력계수 곡선을 추종하도록 운전할 때, 불완전한 데이터 입력 및 제어변수의 변동으로 최대출력점 추종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한다. 제안하는 제어기법은 출력계수곡선 추종제어 기법에 히스테리시스 제어를 결합하여 빠른 최대출력점 추종 특성을 가지고, 시스템 제어변수 오차에 의해 이탈된 운전점을 정정하여 정상상태의 출력효율을 향상시킨다. 2.7kW급 풍력발전 시스템 모델 기반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통해 제안하는 제어기법의 우수성을 보인다.

  • PDF

A Study on Imput/Output Queueing Management for High Performance Switching (고속 스위칭 성능 향상을 위한 Input/Output Queueing Management에 관한 연구)

  • 하창국;송재연;김장복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24 no.7B
    • /
    • pp.1289-1295
    • /
    • 1999
  • 본 논문에서는 스위치의 운용 알고리즘에 따라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입/출력 버퍼의 셀 손실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셀 손실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셀 도착 간격 시간(k(a))과 SPEEDUP FACTOR(SF) en 가지 요소에 따라 셀손실을 평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셀 도착 간격 시간 혹은 주기성은 비트가 셀로 모이는데 걸리는 시간을 의미하며 스위치 속도 SF는 임의의 한 슬롯내에서 한 입력단에서 출력단으로 서비스 가능한 셀의 수를 나타내고 있다. 시뮬레이션의 결과에서 보면 입력 버퍼에서는 주지성에 따라, 출력 버퍼에서는 SF의 크기에 따라 셀손실율이 커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보다 정확한 고속 스위칭 향상을 위해서는 입/출력 버퍼의 크기 결정이 중요하다. 본 논문의 시뮬레이션 결과에서는 입력 버퍼가 100x셀 일 때 출력 버퍼가 40x셀 정도의 크기가 적합하다는 것을 얻어내었다. 물론 입/출력 버퍼를 크게 한다면 셀 손실이 작아지지만, 하드웨어를 구성하는데 문제점이 발생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본 논문 결과치중 셀 도착 분포 상황은 변동계수 모델링 성정에 따라 SF가 처리하는 서비스의 셀 도착 분포에 의 \ulcorner달라지지만, 변동계수가 전혀 없는 이상적인 경우(CV=1)를 제외한 경우의 SF값을 만족한다고 하겠다. 끝으로 입/출력 버퍼를 가진 스위치 구조는 단지 출력 버퍼를 갖는 스위치 보다 지연이 크지만, VLSI의 발달로 셀의 처리 속도가 증가하므로 더 많은 장점을 갖게 될 것이다.

  • PDF

Cost Scaling Factor according to Power Plant Capacity Change (발전소 용량변경에 따른 비용보정계수)

  • Ha, Gak-Hyeon;Kim, Sung-Hwan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22 no.3
    • /
    • pp.283-286
    • /
    • 2013
  • The existing nuclear power plants have been often redesigned by increasing or decreasing electrical power without changing design concept by the request of utility, economic factors or other factors. When the cost of power plant equipment redesigned by changing reactor power and electrical power is estimated, if its quotation is not available in the market place, cost scaling factor(CSF) applies to the cost of existing plant equipment and then the new-designed equipment cost can be calculated. In this paper, we review CSFs according to plant capacity change cases in United State DOE, EPRI, ABB, SWEC and introduce the results applied to Korean PWR 1000MWe and 1400MWe.

A Fuzzy Controller using normalized Scale Factor (정규화 스케일계수를 이용한 퍼지제어기)

  • 정동화;이동욱;이상윤;신위재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Convergence Signal Processing
    • /
    • 2003.06a
    • /
    • pp.149-152
    • /
    • 2003
  • 플랜트 모델이나 경험에 근거하여 설계된 퍼지제어기를 실제 플랜트에 적용할 경우, 모델링 오차와 플랜트에 대한 관련지식의 부족으로 만족할 만한 제어 결과를 나타내지 못할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어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어기의 제어인자를 다시 조정하여야 하고, 이 조정과정은 시행착오 방법으로 수행되기 때문에 많은 시간과 비용을 필요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규화 된 오차와 오차 변화량를 사용하여 플랜트 응답에 따라 입력과 출력의 적절한 스케일 계수를 조정하는 퍼지제어기를 제안한다. 정규화 된 오차를 출력 소속함수의 중심과 폭에 곱해 출력 범위를 재조정하고, 플랜트 응답에 의해 입력의 스케일 계수를 결정한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2차 플랜트에 적용하여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 PDF

Determination of Electron Beam Output Factors of Individual Applicator for ML-15MDX Linear Accelerator (선형가속기 ML-15MDX의 각 Applicator에 대한 전자선 출력선량 계수 결정)

  • Park, Tae-Jin;Kim, Ok-Bae
    • Progress in Medical Physics
    • /
    • v.5 no.1
    • /
    • pp.87-99
    • /
    • 1994
  • Purpose : The determination of electron beam output factor was investigated from individual applicator for various energy of ML-15MDX linear accelerator. The output factor of electron beam was extended from square to rectangular field in individual applicator size through with a least-square fit to a polynomial expression. Materials : In this experiments. the measurement of output was obtained from 2${\times}$cm$^2$ to 20${\times}$20cm$^2$ of field size in different applicator size for 4 to 15 MaV electron beam energy. The output factor was defined as the ratio of maximum dose output on the central axis of the field of individual applicator size to that of a given field size. Applicator factors were derived from comparing with the output dose of reference field size 10${\times}$10cm$^2$. The thickness of block was specially designed as 10mm in thickness of Lipowitz metal for field shaping in all electron energy. Two types of output curves are included as output factors versus side of square fields and that of variable side length for X and Y in one-dimensional to compare the expected values to that of experiments. Results : Expected output factors of rectangular which was derived from that of square fields in individual applicator size from 2${\times}$2cm$^2$ to 20${\times}$20cm$^2$ in different electron energy was very closed to that of experimental measurements within 2% uncertainty. However 1D method showed a 3% discrepancy in small rectangular field for low energy electron beam. Conclusion : Emperical non-linear polynomial regressions of square root and 1D method were performed to determin the output factor in various field size and electron energy. The expected output of electron beam of square root method for square field and 1D method for rectangular field were very closed to that of measurement in all selected electron beam energy.

  • PDF

PWR Core Stability Against Xenon-Induced Spatial Power Oscillation (경수로심의 제논진동 해석)

  • Ho Ju Moon;Ki In Han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v.14 no.2
    • /
    • pp.51-63
    • /
    • 1982
  • Stability of a PWR core against xenon-induced axial power oscillation is studied using one-dimensional xenon trausient analysis code, DD1D, that has been developed and verified at KAERI. Analyzed by DD1D utilizing the Kori Unit 1 design and operating data is the sensitivity of axial stability in a PWR core to the changes in core physical parameters including core power level, moderator temperature coefficient, core inlet temperature, doppler power coefficient and core average turnup. Through the sensitivity study the Kori Unit 1 core is found to be stable against axial xenon oscillation at the beginning of cycle 1. But, it becomes less stable as turnup progresses, and unstable at the end of the cycle. Such a decrease in stability is mainly due to combined effect of changes in axial power distribution, moderator temperature coefficient and doppler power coefficient as core turnup progresses. It is concluded from the stability analysis of the Kori Unit 1 core that design of a large PWR with high power density and increased dimension can not avoid xenon-induced axial power instabilities to some extents, especially at the end of cycle.

  • PDF

Nuclear Core Design for a Marine Small Power Reactor (선박용 소형동력로의 노심 핵설계)

  • 최유선;김종채;김명현
    • Journal of Energy Engineering
    • /
    • v.5 no.2
    • /
    • pp.146-152
    • /
    • 1996
  • A small power reactor core of 108 MW$\_$th/ was designed with some design constraints: 2 year refueling cycle length, soluble boron free operation, low power density, and proven fuel assembly design - Uljin 3'||'&'||'4 design specifications. CASMO-3 and KINS-3 was used to evaluate operational capability for power level control via control rods. Cycle length, power peaking factor, M.T.C., and power coefficients were also checked. Designed core loaded with KOFAs satisfied all design goals. We found that much more burnable poisons are to be loaded with axial enrichment zoning. Control rod assemblies should be located at every other assemblies with more than 3 banks. Additional shutdown banks are proposed for the safe plant cooldown, which could be located at core periphery.

  • PDF

Investigation on the characteristics of a cavity-dumped Nd:glass laser (Cavity-dumping형 Nd:glass laser의 제작 및 특성 조사)

  • 차용호;강응철;남창희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6 no.2
    • /
    • pp.130-134
    • /
    • 1995
  • A small signal gain coefficient of Nd:glass was measured and a cavity-dumped laser was constructed. To measure the small signal gain coefficient, we constructed a resonator consisting of Nd:glass, Pockels cell, polarizing beam splitter. The measured small signal gain coefficient was $0.088 cm_{-1}$ when the input energy was 100 J and the round-trip internal loss of the resonator was 56%. The cavity-dumped laser was constructed using Nd:glass. 2 m radius of curvature HR-mirrors, Pockels cell, polarizinig beam splitter and $\lambda/4$ plate. The output energy of cavity-dumped laser was 0.85 J at 140 J input energy and the laser pulse width was 8 ns.s 8 ns.

  • PDF

Multi Zone Fuel Model for CANDU Reactor (CANDU 원자로용 다영역 핵연료모델)

  • 전용준;오세기;정근모
    • Proceedings of the Korea Society for Energy Engineering kosee Conference
    • /
    • 1993.11a
    • /
    • pp.109-109
    • /
    • 1993
  • CANDU 원자로 지역별 대표 핵연료봉 1개에 대하여 열행태를 해석할 수 있는 '평균 단일 핵연료(ASF : Averaged Single Fuel)' 모델을 우선 제안하였다. 핵 연료봉 하나를 12 개 동일 체적의 환형 격자로 나누고 시공간을 고려하는 전진 유한 미분 해석을 적용하여 핵연료봉내에서의 열적 변이를 모사 하였다. 핵연료의 전도도 및 비열은 온도에 종속함이 가정되었다. 주어진 열출력에 대하여, 핵연료와 피복관내의 정상상태 온도분포를 산출하였고 주어진 냉각재 온도 및 표면 열 전달 계수에 대하여 핵연료봉 단위 길이당 저장열을 계산하였다. 초기 온도 분포의 임의 값에 대하여, 시간 단계별 열출력 및 열전달 계수 변이에 따른 저장열, 온도 분포, 냉각재료의 출력과 피복관 온도 변이를 계산하였다. 이후 ASF 모델을 CANDU 14개 지역 출력 특성의 실제적 모사 및 해석이 가능하도록, 14개 지역 대표 핵연료봉모델 모두를 동시에 포함하는 '다영역 핵연료(MZF : Multi Zone Fuel)' 모델로 확장하였다.

  • PDF

Analysis and MPPT scheme of series connected small wind turbine system (직렬운전 소형풍력발전시스템의 해석 및 MPPT 기법)

  • Kim, Chang-Ha;Ku, Hyun-Keun;Choi, Sung-Uk;Kim, Jang-Mok
    • Proceedings of the KIPE Conference
    • /
    • 2014.07a
    • /
    • pp.472-473
    • /
    • 2014
  • 본 논문에서는 직렬운전 소형풍력발전시스템의 해석 방법과 최대 파워를 추종하는 MPPT(Maximum Power Point Tracking)기법을 제안한다. 소형풍력 발전시스템은 개별 발전기에서 생성되는 역기전력이 낮아 배터리 충전과 같은 독립적인 부하에 전원을 공급하는 용도로 쓰이나 발전기를 N개 직렬연결하면 계통연계가 가능하다. 일반적인 풍력발전 시스템에서의 블레이드 출력은 출력 계수($C_p$) 곡선의 형태에 의해서 결정되고, 출력계수 곡선은 주속비(${\lambda}$)의 함수로 표현된다. N개의 발전기를 직렬연결 하는 경우 각기 다른 풍속에 대하여 출력파워 해석이 곤란하므로, 직렬 운전 시 발전기토크를 기준으로 한 해석과 이에 적합한 MPPT 방법을 제안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