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축소모형주택

검색결과 19건 처리시간 0.19초

주택시장 모형을 이용한 그린벨트 축소의 경제적 효과 분석 (An Analysis on the Economic Effects of the Reduction of Green-Belt by Housing Market Model)

  • 최영준;김동엽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17권2호
    • /
    • pp.235-254
    • /
    • 2008
  • 본 연구는 주택시장 모형을 이용하여 그린벨트 축소의 경제적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린벨트는 개발이 제한된 토지의 한 종류로 소비자 후생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그린벨트는 토지의 개발을 제한함에 따라 주택의 공급에 영향을 미치게 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주거환경에 녹지를 공급해 줌으로써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그린벨트의 축소는 주택시장의 공급을 증가시켜 임대료의 하락을 일으켜 소비자의 후생을 증가시킬 것으로 예상되는 반면 녹지를 파괴함으로써 주거환경을 악화시켜 소비자의 후생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그린벨트의 축소로 인한 임대료의 하락 효과가 녹지파괴로 인한 주거환경 악화 효과보다 클 경우 소비자의 후생을 증가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임대료 하락의 효과가 보다 직접적으로 나타나 주거환경 악화 효과보다 커서 그린벨트 해제로 인해 소비자의 후생은 증가하였다.

  • PDF

축소모형주택을 이용한 전통창호의 차음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Windows by Using a Scale Model House)

  • 신훈;장길수;송민정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17권5호
    • /
    • pp.47-54
    • /
    • 2006
  •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sound insulation performance of Korean traditional paper(Hanji) windows as a material of environmental friendly building. Six types of traditional windows with 4 types of traditional window positions, were installed in l/2.5 scale model house. And then according to KS F 2235, comparative sound level differences between outdoor and indoor were measur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1) TL(Transmission Loss)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indows, which cover one eighth of total balcony window, are ranged from 15 to 19 dB(A) in the living room and from 8 to 11 dB(A) in the balcony space. 2) TL of Korean traditional paper windows, which cover one fourth of total balcony window, are ranged from 10 to 19 dB(A) in the living room and from 8 to 10 dB(A) in the balcony space. 3) TL of Korean traditional windows with one side-one layer paper is ranged from 10 to 21 dB(A) and two side-one layer paper is 15 to 23 dB(A) and two side-two layer paper is 19 to 23 dB(A) respectively.

수정 M-W모형을 이용한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분석 (An Analysis of Housing Demand in Shrinking Cities)

  • 임미화;이창무
    • 부동산연구
    • /
    • 제24권1호
    • /
    • pp.27-37
    • /
    • 2014
  • 그동안의 고성장 인구증가시대에서의 공급량만을 늘리는 주택정책은 출생률감소와 인구의 고령화, 그리고 가구분화로 인한 1, 2인 가구의 증가와 같은 최근의 사회현상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주택정책은 인구가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정책이다. 그렇다면 지금과 같이 인구증가율이 감소하고 있는 상황에서 대도시가 아닌 중 소도시의 도시 계획 방향은 무엇일까? 구체적으로 대도시와 달리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도시의 주택 정책은 대도시와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가?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관점에서 도시의 주택수요를 분석하되, 인구가 증가하는 성장도시(Growing City)와 인구가 감소 또는 정체되고 있는 축소도시(Shrinking City)의 주택수요를 비교함으로서 주택정책에 필요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경제 활력이 성장도시보다 떨어지는 축소도시의 경우 가구의 주택소비가 정점에 이르는 연령대가 60대 후반으로, 성장도시는 80대 초반으로 나타났다. 그런데, 소득, 자산과 같은 경제변수와 가구주나이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더미와 청년 1, 2인 가구더미를 추가한 분석에서 축소도시는 약 5년에서 10년 정도 빠른 50대에, 성장도시는 약 20년에서 25년 정도 앞당겨진 50대 후반에서 60대 초반에 최대 주택수요를 나타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65세 이상의 고령 1, 2인 가구 또는 청년 1, 2인 가구의 비율이 주택수요를 왜곡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또한, 도시의 인구 및 경제학적 특성에 따라 가구의 주택 수요가 차별화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따라서, 경제 확장기에서 바라보았던 도시정책 그리고 주택수요정책을 이제는 개별도시의 인구 및 경제구조여건에 맞추어 재조정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축소모형 실험을 통한 벽체의 열관류 측정 (Assessment on Thermal Transmission Property of Wall Through a Scaled Model Test)

  • 장윤성;김세종;심국보;이상준;한영중;박용건;여환명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3권6호
    • /
    • pp.884-889
    • /
    • 2015
  • 구조용 부재의 단열성능에 대한 적절한 평가와 냉난방에너지에 대한 합리적 제어는 건물의 에너지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매우 중요하다. 한국의 일반적인 주택 난방방식은 바닥난방이다. 이와 같은 복사난방방식은 국내의 지정학적인 조건 또는 기후에 적합할 뿐만 아니라 온열감에 따른 정서적 안정감을 준다는 장점을 가진다. 국내의 바닥난방시스템을 적용하여, 목조공간과 콘크리트조 공간을 대상으로 축소모형을 제작하였다. 천장은 스티로폼으로 단열하고 벽과 바닥은 각각 합판과 콘크리트로 구성하였다. 바닥에는 난방필름을 부착하였다. 바닥난방에 따른 실내의 온도분포는 열전대로 측정하였고, 벽체 표면의 온도는 적외선 열화상 카메라로 측정하였다. 목조주택의 에너지효율 향상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해 축소모형의 단열성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벽체와 바닥구성을 지닌 모형들의 단열성능평가 자료는 실제 주택의 열환경 분석시 참고기준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공간지리적 요인과 주거특성을 고려한 공동주택 가격결정 분석 (Analysis of Determinant Factors of Apartment Price Considering the Spatial Distribution and Housing Attributes)

  • 문태헌;정윤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68-79
    • /
    • 2008
  • 중소도시도 수도권과 대도시의 주택정책을 답습할 것이 아니라 지역의 현황과 특성을 반영한 주택정책을 통하여 건전한 주택시장을 조성해야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진주시를 사례로 공동주택의 공간적 분포와 속성상의 특징을 분석하고, 공동주택 가격결정 요인을 추적하여 진주시의 주택정책에 유의한 함의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분석 데이터는 20세대 이상의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위치와 속성자료를 지리정보시스템으로 구축하였다. 공동주택의 공급시기와 분포를 분석해보면 경과연수가 오래되고 세대수가 적은 아파트들은 70년대에 시행된 구획정리사업지구에 주로 건설되었고, 반대로 경과연수가 짧고 세대수가 많은 아파트는 서쪽과 남쪽에 최근의 택지개발사업이 시행된 지역에 건축된 특징이 있었다. 아파트 가격결정요인 분석에서는 다중공선성을 없애기 위해 변수를 인자분석으로 사전에 축소 처리하였으며, 공동주택가격을 종속변수로 하고 33개의 독립변수로 구성되는 헤도닉가격모형을 12가지로 구축하였다. 이 모형들에서 경과연수, 연면적, 대로접함여부, 대학 및 병원접근성, 계단식 등이 유의한 변수로 분석되었다. 이상의 결과를 이용하여 지역의 특성을 반영한 도시기반시설의 입지와 주택공급을 시행한다면 급격한 공동주택의 가격변동과 지역적 가격 차이에서 오는 지역적 위화감을 완화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결론적으로 시장규모가 작은 중소도시의 경우에도 지역현실을 반영한 주택정책을 수립하여 지역의 주택시장 안정화 방안을 모색해야하며, 보다 나은 분석을 위해 향후 중소도시에도 단독주택을 포함한 정밀한 토지정보를 구축해야 한다.

  • PDF

시공간 종속성을 고려한 빈집발생 요인 추정에 관한 연구 (Study on Factors of Vacant Houses's Occurrence using Spatio-Temporal Model)

  • 김유현;김동현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20-41
    • /
    • 2023
  • 최근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도시축소 현상과 지방도시의 쇠퇴는 빈집이라는 새로운 도시문제를 낳고 있다. 본 연구는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2015년부터 2019년까지 수집한 공간 패널 데이터를 이용하여 빈집 분포를 살펴보고 시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한 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빈집발생의 요인을 추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분석 결과 빈집은 시공간적으로 종속성이 있었으며, OLS 모형에 비해 시공간적 종속성을 고려하여 빈집 발생 요인을 추정하는 것이 타당함을 확인하였다. 동적공간패널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빈집발생의 가장 큰 영향요인은 주택관련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빈집 발생의 관리를 위해서는 인구이동, 양호하지 못한 인프라 등 뿐만 아니라 주택 공급량에 대한 정책적 고려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모형실험을 통한 식생형 방음벽의 소음저감 효과 분석 (An analyses of the noise reduction effect of vegetation noise barrier using scaled model experiments)

  • 한찬훈;홍성신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23-233
    • /
    • 2016
  •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 및 근린시설의 경계방음벽으로 제시한 식생형 방음벽을 설계하고 소음감쇠성능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식생형 방음벽은 일정한 형태의 유닛을 방음벽 형태의 구조물에 걸이식으로 적층하여 구성된 것으로서, 유닛내부에는 식재 및 토양을 포함하고 있다. 이 방음벽의 음향적인 장점은 토양 및 식재를 이용한 흡음뿐만 아니라 확산형상의 방음벽에서 표면 확산으로 인해 음에너지가 분산되어 소음을 저감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먼저 1/10 축소모형 실험을 통해 소음감쇠성능에 가장 적합한 방음벽 유닛의 크기를 조사하였으며, 설계된 도면에 따라 1/2축척의 식생형 방음벽을 실제높이 2 m, 길이 5 m로 제작하여 소음감쇠실험을 진행하였다. 식물을 담을 수 있는 총 1,137개의 식생블록은 약 $10{\times}10{\times}9cm$ 크기로 합성목재를 활용해 제작하였으며 이 블록들을 방음벽에 설치하여 자립형 구조를 가진 식생형 방음벽을 완성하였다. 연구결과, 평면형 방음벽보다 블록식 방음벽이 약 7 dB 더 높은 삽입손실을 나타냈으며, 식생블록의 크기는 삽입손실효과가 큰 $20{\times}20cm$의 크기가 적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풍력환기 성능에 관한 연구 - 환기구 면적 및 주변건물의 영향 - (A Study on Ventilation Performance driven by Wind Force in Underground Parking Lots of Apartment - Influence of Opening Size and Surrounding Building -)

  • 노지웅
    • KIEAE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29-34
    • /
    • 2012
  • As a series of studies about natural ventilation driven by wind in basement parking lots of apartment, the influence of opening size and surrounding buildings on ventilation rate was analyzed. Natural ventilation in underground parking lots almost rely on wind than temperature difference. To investigate natural ventilation driven by wind, wind tunnel tests by using scale model and tracer gas method were conducted. $CO_2$-gas concentration was measured, natural ventilation rates were calculated.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ed that the natural ventilation rate is more reliable to wind direction and surrounding building than opening size and distance between buildings. It was verified that surrounding buildings play a principal role in increasing air flow rate by accelerating wind speed, and growing turbulence intensity. And it showed that ventilation performance is able to be increased by oblique wind to entrance ramp than head on wind in underground parking lots with surrounding buildings.

공동주택 지하주차장의 개구유형에 따른 풍력환기 성능에 관한 연구 - 풍동실험에 의한 풍압계수 검토 - (A Study on Wind-Driven Ventilation Performance According to Opening Types in Basement Parking Lots of Apartment - Investigation of Wind Pressure Coefficient by Wind Tunnel Test -)

  • 노지웅
    • KIEAE Journal
    • /
    • 제11권6호
    • /
    • pp.37-42
    • /
    • 2011
  • This Paper aims for analyzing the effect of opening types on wind-driven ventilation performance in basement parking lots of apartment. The scale model of basement parking lot was made, wind tunnel tests conducted. Wind pressure of three opening types was measured, wind pressure coefficient calculated. As the result, it showed that the air flow pattern of stack type opening was strongly changed by wind direction, but it was almost not at scuttle vent type. But, as for the difference of wind pressure coefficient, stack type opening was more than the other two types.

화재시뮬레이션을 이용한 수직공간의 화재특성 분석 연구 (A Study on Characteristics of Fire in Vertical Space Using CFAST)

  • 박현준;권진석;최재혁
    • 한국방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방재학회 2011년도 정기 학술발표대회
    • /
    • pp.190-190
    • /
    • 2011
  • 사회 다변화 및 급속한 경제성장과 도시밀집화로 인하여, 화재의 발생으로 인하여 막대한 인명피해 및 대규모의 재산상의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화재의 피해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실제 규모의 화재실험이 매우 유용하지만, 막대한 비용과 현실적 제약조건으로 인하여 실제 실험에는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따라서 막대한 예산이 소요되는 실제규모의 화재실험의 대체방법으로 실제를 모사하는 축소모형 화재모의실험 및 컴퓨터를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범용 컴퓨터를 이용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CFAST)을 이용하여 수직 공간 구성을 가지는 단독주택의 화재 성상을 검토하였다. 시뮬레이션 모델로는 단독주택을 대상건물로 하여 2층으로 수직 공간을 가지는 단독주택 건물에 대한 모의 화재 시뮬레이션을 수행 하였다. 화재 시뮬레이션 결과는 각 구획실별 온도, 일산화탄소량, 공기 중 산소량 등을 도출하여 기존 이론에 의한 화재성장 그래프와 시뮬레이션 데이터를 비교하여 정확도를 검토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두가지의 시나리오를 작성하여 화재 시뮬레이션 프로그램의 결과 값을 분석하였다. (1) 시나리오 1 : 화재시뮬레이션 대상건물 1층 거실(2번방)에서 스프링클러 미 설치시 화재가 발생한 경우를 가정하여 수평방향인 3번방과 수직방향인 7번방의 화재 확산 피해정도를 살펴보고, 화재 그래프의 이론값과 실험값의 차이를 비교하여 그 정합성을 검토하였다. 발화물질은 Curtain, TV set, Sofa, Table으로 하며 시간은 60초 간격으로 총 3600초(1시간)를 분석 하였고, 발화지점의 온도, 일산화탄소, 공기중 산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2) 시나리오 2 : 시나리오 1과 동일한 화재발현 조건으로 스프링클러가 설치되어 있을 때 화재 발생 했을 경우, 수평방향인 3번방과 수직방향인 7번방의 화재 확산 피해를 시나리오 1과 비교 검토 하였다. 기존 이론에 의한 화재 성장 그래프와 이번 시뮬레이션 결과값을 토대로 만든 그래프 형태를 비교해보면 두 그래프의 형태가 비슷한 형태를 나타내어 Flash Over 현상과 Back Draft 현상이 이론값과 같은 경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수행한 화재 시뮬레이션 기법으로 건축물의 실제 화재시의 피해정도를 예측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