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축산물브랜드

Search Result 100,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A Study on Livestock Products Preference and Purchasing Behaviors (축산물의 선호도와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 Kim, Seok-Eun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5 no.3
    • /
    • pp.501-512
    • /
    • 200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consumers' attitudes of purchasing livestock products. Data were gathered through questionnaires from a total of 628 consumers throughout November to December, 2005.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most favorite meat of consumers was pork(43.6%). However, there were highly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socio-economic status (SES) of consumers (p<0.001). 2. Among milk and meat products, including fermented foods, city milk was the most favorite of consumers (39.7%) and the next was ham & sausage (34.1 %). 3. A majority of consumers preferred domestic livestock products (85.0%) to imports (6.5%). 4. Some of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purchasing animal products included price (38.0%), safety (37.0%) and brand (13.4%).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among age groups, education levels, and jobs. 5. A majority of consumers purchased their livestock products at big shopping malls (54.7%), super markets (11.0%), and so on.

  • PDF

금오산 바이오 포크로 새롭게 도약하는 경북 구미지부

  • O, Yu-Hwan
    • The Korea Swine Journal
    • /
    • v.28 no.11 s.327
    • /
    • pp.162-166
    • /
    • 2006
  • 경북 구미시는 인구 40여만의 구미 국가산업단지라는 거대 소비시장이 있으며, 국토의 중간지점으로 경부고속도로, 중부내력고속도로, 철도, 고속철도 등이 관통하여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의 접근성이 매우 용이한 특징을 갖고 있어 축산물 거점 생산기지의 여건을 골고루 갖추고 있다. 이런 지리적 여건 속에서 경북 구미지부(조진래 지부장, 만 55세)는 지부회원들의 공동출자를 통해 최근 생균제 공장 건립하고, 친환경 축산업 도모와 함께 지역 돼지고기 브랜드 사업에 야침차게 뛰어들어 지부 경쟁력 강화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 행정과의 유기적 관계로 회원들의 위상을 제고하는데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찾아가 보았다.

  • PDF

맛 있는 쇠고기 만들기

  • 김명준
    • 한우개량
    • /
    • v.6 no.6 s.23
    • /
    • pp.18-24
    • /
    • 2001
  • 작년 9월에 있었던 우리 축산물 브랜드전을 참관한 후, 특별한 쇠고기가 출품되지 않았다고 아쉬워하는 바이어들과, 그 들이 원하는 쇠고기에 대해서 긴 시간 진지한 대화를 나누었던 기억이 있다 그 때, 그들이 찾던 특별한 쇠고기가 무엇인지를 구체화시키는 데는 실패했지만 특별한 쇠고기란, 소비자가 원하는 쇠고기임에는 틀림없었을 것이다. 그러면 소비자가 원하는 쇠고기는 무엇일까? 아마도 이제부터는 누가 다양한 소비자(구매자)의 Need와 Want를 얼마나 경제적이며 효율적으로 충족시킬 수 있느냐에 따라서 비육사업의 성패가 결정 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 생산자들도 소비자 지향적인 사육프로그램으로의 전환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소비자가 원하는 쇠고기는, 맛. 안심(安心) 실물(實物, 진짜) 가격. 건강 등의 항목으로부터 접근할 수 있으며 , 그 중에서도 맛이 가장 중요할 것이다.

  • PDF

국내 축산물 원산지 추적관리를 위한 생산이력관리시스템

  • Lee, Seung-Gyu;O, Jae-Don;Song, Won-Il;Hong, Yun-Suk;Park, Mi-Hyeon;Im, Hyeon-Jin;So, Hyeon-Gyeong;Lee, Hak-Gyo;Choe, Gang-Deok;Jeon, Gwang-Ju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5.05a
    • /
    • pp.274-277
    • /
    • 2005
  • 보다 위생적인 한우육 생산을 위해서는 단계별의 위해요소중점관리(HACCP)의 적용은 물론, 생산 및 유통단계에서 가축 및 축산물의 이동경로를 추적, 관리함으로써 생산, 가공 및 유통 정보가 투명하고 정확하게 소비자에게 제공되도록 각 단계의 정보들이 통합되어져야 한다. 또한 필수적으로 개체이력 관리체계 구축 및 추적을 위한 도축장 전산화, 판매장 전산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생산${\cdot}$도축${\cdot}$가공${\cdot}$판매 단계의 정보를 통일화 할 수 있는 ID 체계 및 ID 식별 체계를 구축하고 각 단계에서 발생하는 정보를 공유하여 효율적이며 위생적인 생산이 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을 구축하고 개체추적이 가능한 생산단계, 도축단계, 가공${\cdot}$판매단계 자동화 시스템이 개발 되어야 한다. 소비자 선호도 및 도축${\cdot}$가공 정보를 생산자, 관련기관 및 단체에 효과적으로 전달하여 차별화된 브랜드 개발을 유도하고 생축 및 한우육 유통단계를 투명화 하여 소비자 및 생산자의 이익을 극대화 시켜야 한다. 고품질 축산물을 소비자에게 안전하게 제공할 수 있도록 생산이력관리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은 궁극적으로 수입육과의 차별화 및 고품질 한우육 공급으로 국내산 한우육의 신뢰성을 회복하여 지속적이며 안정적인 한우 경영을 유지${\cdot}$발전의 기반을 마련하는 계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 PDF

인터넷 및 통신 판매 업소의 축산물 원산지 표시 실태 및 표시 규정 모니터링

  • Nam, Bo-Ra;Nam, Jeong-Ok;Park, Jeong-Min;Kim, Jin-Ma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Food Science of Animal Resources Conference
    • /
    • 2006.05a
    • /
    • pp.312-315
    • /
    • 2006
  • 축산물을 판매하고 있는 인터넷 및 통신판매업소에서 전자상거래 시 표지하여야 할 항목과 안전하고 위생적인 축산물의 확보를 위하여 표지하여야 할 항목으로 나누어 실태조사를 실시하였다. 전자상거래시 온라인(인터넷) 판매영업소가 표시하도록 규정하고 있는 항목 중에서 '상호명'과 '전화번호'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일부 제품에서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배송비용 정보'(21% 미표시)와 '사이트 이용 약관'(23% 미표시)과 같은 정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합률을 나타냈고, '이메일 주소'(22% 미표시)와 '팩스번호'(26% 미표시)의 부적합률은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또한, 온라인 판매업소가 축산물을 판매할 때 표시하도록 규정되어 있는 항목 중에서 '제품명'과 '식육의 종류' 표시를 제외한 나머지 정보는 일부 제품에서 누락되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육의 부위'(19% 미표시)와 '제품의 구성'(27% 미표시)과 같은 정보는 상대적으로 높은 부적합률을 나타내었고, '보관방법'(57% 미표시), '품질보증 및 인증내용'(80% 미표시), '식육의 등급'(82% 미표시)과 같은 정보는 많은 제품에서 누락되어 있었으며, 특히 '제조일자'(95% 미표시)는 대부분의 제품에서 표기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인터넷이나 통신판매업소를 통한 온라인 상거래에서는 육안으로 상품을 직접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축산물의 위생 상태나 안전성을 파악하기 어려워 보다 확실하고 투명한 방법으로 축산물의 안전성과 위생 상태를 확인하는 수단으로 표시 규정을 100% 준수하여 품질의 고급화와 브랜드화를 이룩해 나가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타내었다.로 나타났다. 특히 골반골 현수는 출하 월령이 증가됨에 따라 관능 특성의 개선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수 있다.분별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다.(p<0.05), 맛, 연도, 다즙성 및 전체적인 기호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자체를 악하다고 볼 수 없고 더구나 구원을 이 세상에서의 이탈로 볼 수 없다. 진정한 구원이란 원래 하나님이 보시기에 아름다웠던 그 세상으로의 회복을 포함한다. 이런 면에서 하나님 주권 신앙 하에서 구원이란 전 인격적인 구원, 전 우주적인 구원이 된다. 그렇기 때문에 성도는 세상의 삶과 학문, 예술, 정치, 경제, 사회를 포함한 모든 분야를 하나님의 뜻 가운데서 그 원래의 목적에 부합할 수 있도록 회복시키는 일에 적극 참여해야 한다.자체가 이를 주도하기는 사실 어려움이 있다. 그리고 대형유통점이 영업행위를 영업시간제한에서부터 출점제한에 이르기까지 규제하는 건은 심사숙고하여야 한다. 대형유통점이 국가경제 및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이 부정적인가 긍정적인가에 대해 국내외 학계와 업계에서 여전히 많은 논란이 있기 때문이다. 정부와 지자체에 의한 시장개입은 반드시 필요한 경우에 한해 합당한 방법에 의해 이루어져야 한다. 대형유통점에 대한 규제는 지역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다면적으로 평가한 결과에 근거하여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대부분의 지자체는 체계적인 평가시스템과 객관적인 통계 자료를 갖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향후 가장 시급한 과제는 시장개방 이후 지난 10년간 대형유통점이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에 관한 광범위한 통계자료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방향을 올바르게 설정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i와 K. pne

  • PDF

협회소식

  • Korea Dairy and Beef Farmers Association
    • 월간낙농육우
    • /
    • v.26 no.4 s.288
    • /
    • pp.100-103
    • /
    • 2006
  • 협회사업 소식- 한 · 미 FTA 대응활동, 미국산쇠고기 수입재개 대응활동, 출산환경 분쟁사례 조사 실시, 제2회 회장단회의 개최, 우수축산물브랜드 육우부문 인증사업 추진, 식품안전처 신설 대응활동, 농림부 규제심사위원회 참석, 방역 담당책임자 간담회 참석, 우수농업경영체 추천, 축산현장 애로사항 모니터링 대상농가 추천, 구제역 특별방역대책기간 중 예방수칙 준수철저 요청, 에버케어 · 교보생명 업무협약 체결, 건전경마추진위원회활동/ 도지회 · 낙우회 소식 - 강원도지회 정기총회 개최, 연세우유연합회 총회 개최, 나주시지회 이취임식 및 낙농가족 한마음 축제 개최/ 총무사업부 소식 - 2006년도 봄재배용 목초 및 사료작물 종자 공급, 2006년도 가을재배용 목초 및 사료작물 종자 신청접수중, 조사료 공급, 송아지 지사제 공급

  • PDF

A Study on Major Local Foods in Gwangju.Jeonam Area (광주.전남지역의 주요 특산식품에 대한 연구)

  • Kim, Jeong-Ok;Choi, Cha-Ran;Shin, Mal-Shick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5 no.2
    • /
    • pp.327-339
    • /
    • 2006
  • We have investigated the distribution of major local foods cultivated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in order to understand the food culture of Honam region. The local foods were divided into 4 classes: agricultural, aquatic, animal and other products. 124 species of local foods, including 51 agricultural products, 50 aquatic products, 6 animal products and 17 others, were identified from this region. In Jeollanam-Do area, the agricultural products have a variety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aquatic products have fishes. In particular, rice, cucumber, pear, anchovy, oyster, laver, oyster mushroom, shiitake mushroom, and honey were determined as major local foods in Jeollanam-Do area. Note that Mudeungsan watermelon is cultivated in Gwangju, and sweet smelt and cat fish caught only in Sumjin river and Tamjin river area. In recent years, pumpkin (Cucurbita maxima Duchesne), paprika, kiwi and melon were determined as major local foods in Jeollanam-Do. Furthermore, branding strategy of agricultural and animal products can be said to improve. Wild types of aquatic productions, mushrooms and wild edible greens have been decreasing, whereas cultivated production increasing. The kinds of special local foods in Gwangju City and Jeollanamdo area were influenced by geographical, religious and social factors.

  • PDF

Determining the Authenticity of Labeled Traceability Information by DNA Identity Test for Hanwoo Meats Distributed in Seoul, Korea (DNA 동일성 검사를 통한 서울지역 유통 한우육의 표시 이력정보 진위 판별)

  • Yeon-jae Bak;Mi-ae Park;Su-min Lee;Hyung-suk Park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8 no.1
    • /
    • pp.12-18
    • /
    • 2023
  • Beef traceability systems help prevent the distribution of Hanwoo (Korean native cattle) meat as imported beef. In particular, assigning a traceability number to each cattle can provide all information regarding the purchased Hanwoo meat to the consumers. In the present study, a DNA identity test was conducted on 344 samples of Hanwoo meat from large livestock product stores in Seoul between 2021 and 2022 to determine the authenticity of important label information, such as the traceability number. Traceability number mismatch was confirmed in 45 cases (13.1%). The mismatch rate decreased to 11.3% in 2022 from 14.7% in 2021, and the mismatch rate was higher in the northern region (16.9%) than in the southern region (10.2%). In addition, of the six brands, B and D showed satisfactory traceability system management, whereas E and A showed poor traceability system management,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0.001). The actual traceability number confirmation rate was only 53.9% among the mismatch samples. However, examination of the authenticity of label information of the samples within the identified range revealed false marking in the order of the traceability number (13.1%), sex (2.9%), slaughterhouse name (2.2%), and grade (1.6%); no false marking of breed (Hanwoo) was noted. To prevent the distribution of erroneously marked livestock products, the authenticity of label information must be determined promptly. Therefore, a legal basis must be established mandating the filling of a daily work sheet, including the traceability number of beef, in partial meat subdivisions. Our findings can be used as reference data to guide the management direction of traceability systems for ensuring transparency in the distribution of livestock products.

Establishment of a Microsatellite Marker Set for Individual, Pork Brand and Product Origin Identification in Pigs (돼지 브랜드 식별 및 원산지 추적에 활용 가능한 Microsatellite Marker Set의 확립)

  • Lim, Hyun-Tae;Seo, Bo-Yeong;Jung, Eun-Ji;Yoo, Chae-Kyoung;Zhong, Tao;Cho, In-Cheol;Yoon, Du-Hak;Lee, Jung-Gyu;Jeon, Jin-Tae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v.51 no.3
    • /
    • pp.201-206
    • /
    • 2009
  • Seventeen porcine microsatellite (MS) markers recommended by the EID+DNA Tracing EU project, ISAG and Roslin institute were selected for the use in porcine individual and brand identification. The MSA, CERVUS, FSTAT, GENEPOP and API-CALC programs were applied for calculating heterozygosity indices. By considering the hetreozygosity value and PCR product size of each marker, we established a MS marker set composed of 13 MS markers (SW936, SW951, SW787, S00090, S0026, SW122, SW857, S0005, SW72, S0155, S0225, SW24 and SW632) and two sexing markers. The expected probability of identity among genotypes of random individuals (PI), probability of identity among genotypes from random half sibs ($PI_{half-sibs}$) and among genotypes of random individuals, probability of identity among genotypes from random sibs($PI_{sibs}$) were estimated as $2.47\times10^{-18}$, $6.39\times10^{-13}$ and $1.08\times10^{-8}$, respectively.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established marker set can provide a sufficient discriminating power in both individual and parentage identification for the commercial pigs produced in Korea.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s and Correlates of Degree of Concerns about Food (주부의 식품안전에 대한 인식과 안전성우려의 관련 요인)

  • Choe, Jeong-Sook;Chun, Hye-Kyung;Hwang, Dae-Yong;Nam, Hee-J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4 no.1
    • /
    • pp.66-74
    • /
    • 2005
  • This survey was conducted to assess the consumer perceptions of food-related hazard in 500 housewives from all over Korea. The subjects were selected by stratified random sampling method. The survey was performed using structured questionnaire through telephone interview by skilled interviewers. The results showed that 34.6% of the respondents felt secure and were not concerned about food safety, and 65.4% were concerned about food safet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brands, food additives (such as food preservatives and artificial color), and imported foodstuffs indicated the current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Other related factors indicating the increasing concern on food safety were education level and care for children's health. The respondents who cared about food safety expressed a high degree of concern on processed foodstuffs such as commercial boxed lunch (93.3%), imported foods (92.7%), fastfoods (89.9%), processed meat products (88.7%), dining out (85.6%), cannery and frozen foods (83.5%), and instant foods (82.0%). The lowest degree of concern was on rice. All the respondents perceived that residues of chemical substances such as pesticides and food additives, and endocrine disrupters were the most potential food risk factors, followed by food-borne pathogens, and GMOs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However, these results were not consistent with scientific judgment. Therefore, more education and information were needed for consumers' awareness of facts and myths about food safety.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onsumers put lower trust in food products information such as food labels, cultivation methods (organic or not), quality labels, and the place of origin. Nevertheless, the respondents expressed their desire to overcome alienation, and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knowing of the origin or the producers of food. They identified that people who need to take extreme precautions on food contamination were the producers, government officials, food companies, consumers, the consumer's association, and marketers, arranged in the order of highest to lowest. They also believed that the production stage of agriculture was the most important step for improving the level of food safety Therefor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a need to introduce safety systems in the production of agricultural products, as follows: Good Agricultural Practice (GAP), Hazard Analysis and Critical Control Point (HACCP), and Traceability System (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