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추출농도

Search Result 5,817, Processing Time 0.038 seconds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배 페놀성물질의 추출

  • Jang, Sun;Eun, Jong-Bang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of Postharvest Science and Technology of Agricultural Products Conference
    • /
    • 2003.10a
    • /
    • pp.138-139
    • /
    • 2003
  • 국민생활 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배의 생산은 꾸준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고 2010년까지 계속 증가될 전망이다. 한편 재배기술에 의한 미숙, 태풍에 의한 낙과, 수확 후 저장중 손상으로 약 15%의 배가 유실된다. 이러한 상품성이 낮은 배의 효율적인 활용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일환으로 배를 기능성식품 소재로 이용하고자 배의 페놀성물질 추출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추출용매와 농도에 따른 추출율을 비교하였다. 신고배 과피를 신선시료, 열풍건조시료와 동결건조시료 3가지 상태로 하여 methanol, ethanol, acetone과 물 추출물을 Folin-Denis법으로 총페놀성물질의 함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시료의 상태에 따라 추출효율에 약간의 차이를 볼 수 있었는데 신선시료에서 모든 농도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 3용매에서 모두 60∼80% 농도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그리하여 3가지 용매에서의 최적추출농도를 알아보고자 60∼80% 범위내에서 5%농도 간격으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메탄올에서는 70%와 75%에서, 에탄올에서는 70%에서, 아세톤에서는 65%, 70%, 75%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신선시료에서 메탄올, 에탄올과 아세톤으로 페놀성물질 추출 시 약 70% 농도로 추출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물 추출은 가장 낮은 효율을 보였다. 열풍건조시료에 대한 각용매의 농도별 추출효율은 아세톤의 농도가 높을수록 추출효율이 떨어졌고 특히 무수 아세톤에서는 그 효율이 물 추출효율보다 더 낮게 나타났다. 20∼80% 범위에서 아세톤의 추출효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은 에탄올, 메탄을 순이었다. 아세톤은 40∼60% 범위에서, 에탄올은 60∼80% 범위에서, 메탄올은 60∼99%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여 각각 이 농도범위에서 다시 총함량을 측정하였다. 결과 각농도에 따른 추출함량에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동결건조시료에서 아세톤에 의한 추출효율은 열풍건조시료에서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고 또한 20∼80% 농도범위에서 메탄올의 추출효율이 가장 낮았고 다음은 에탄올, 아세톤의 순으로 높았다. 물 추출효율은 20% 메탄을 추출효율과 비슷한 수준이었다. 메탄올에서는 60∼80%, 에탄올과 아세톤에서는 40∼60% 범위에서 높은 추출효율을 보였다. 마찬가지로 이 농도범위에서 최적의 추출농도를 확인하고자 각 용매와 농도별로 페놀성물질을 추출하여 그 함량을 측정한 결과 메탄올에서는 5% 농도차이가 그 추출효율에 유의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탄올에서는 40%에서 가장 높은 함량이 측정되었고 아세톤에서는 50%에서 측정되었다. 따라서 시료의 상태와 상관없이 배 과피의 페놀성물질 추출용매로는 40∼70%의 함수 아세톤이 적합한 것으로 사료된다.

  • PDF

Quality Characteristics of Ssangwha Extract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쌍화추출물의 추출조건에 따른 품질특성에 관한 연구)

  • Park Sang-Soon;Lee Keun-Bo;Han Myung-Kyu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 /
    • v.17 no.4
    • /
    • pp.368-373
    • /
    • 2004
  •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were established from the difference of quality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extraction conditions of Ssangwha extracts(SWE). Extract yields of SWE obtained from the established extraction conditions were as follows. The maximum yield was 48.90% at extraction temperature 90$^{\circ}C$ and alcohol concentration 50%, extraction yield and alcohol concentration of extraction solvent was proportioned. Increase of extraction yields at extraction temperature 80∼90$^{\circ}C$ and more than alcohol concentration 30% had slowdown tendency according to increase of alcohol concentration. At this view point, the optimum extraction conditions were alcohol concentration 30% and more than extraction temperature 80$^{\circ}C$. In this study, optimal extraction conditions of SWE were extraction temperature 90$^{\circ}C$ and alcohol concentration 30%.

Effect of Persimmon Leaves (Diospyros kaki folium) Extract on Serum and Liver Lipid Concentrations in Hypercholesterolemic Rats (감잎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의 혈청 및 간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 박지윤;박은미;이미경;장주연;김명주;조수열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29 no.3
    • /
    • pp.537-542
    • /
    • 2000
  • 감잎추출물이 고콜레스테롤혈증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흰쥐에게 1% 콜레스테롤과 0.25% 콜산나트륨을 첨가한 고폴레스테롤혈증 유발 식이와 감잎추출물을 1, II수준(126 mg or 252 mg/kg body weight)으로 나누어 경구투어하여 녹차추출물 (126 mg/kg body weight)과 비교.검토하였다. 혈청과 간조직의 중성지질 농도는 녹차추출물군에서 가장 낮은 반면 총, 유리, 콜레스테릴에스테르 농도는 녹차추출물군에 비하여 감잎추출물 I군의 감소 정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킬로미크론, LDL콜레스테롤 농도 역시 감이ㅠ추출물 투여로 현저하게 감소하였으며, II수준에 비하여 I 수준에서 그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VLDL-콜레스테롤 농도는 감잎, II군이 감잎 1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반면, HDL-콜레스테롤 농도와 HDL-C/TC비는 감잎추출물 I군이 녹차추출물군과 감잎추출물 II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하였으나, 동맥경화지수는 감소하였다. 총콜레스테롤, VLDL-과 LDL-콜레스테롤의 농도 증가는 관상 동맥질환의 위험요소인데, 특히 감잎추출물 투여시 이들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가 현저하므로 고콜레스테롤 혈증 흰쥐의 지질대사 개선효능을 알 수 있었다.

  • PDF

Antioxidant Activities of Rhubarb Extracts Containing Phenolic Compounds (페놀화합물이 포함된 대황(Rhubarb)추출물의 항산화성 평가)

  • Kim, Chul-Jai;Suh, Hee-Ji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 /
    • v.20 no.1
    • /
    • pp.77-85
    • /
    • 2005
  • 이 연구에서는 미국산 R. rhabarbarum L.과 중국산 R. palmatum L.의 줄기 추출물과 그리고 한국산 R. undulatum L.의 뿌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대황의 페놀화합물을 추출하기 위해서 물, 에탄올, 메탄올이 사용되었다. 에탄올이 대황(Rhubarb)에서 페놀화합물을 추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용매였으며 50% 에탄올은 R. rhabarbarum L. 줄기에, 70% 에탄올은 R. palmatum L.의 줄기에, 80% 에탄올은 R. undulatum L.의 뿌리에서 페놀을 추출하는데 각각 가장 효과적인 용매농도였다. 또한 추출물리 항산화능을 알기 위해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와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를 측정하였으며 합성항산화제인 BHT와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beta}-Carotene$ bleaching inhibition activity 실험에서 추출물의 농도가 증가하면 대황추출물의 항산화능이 역시 증가하였다. 추출물의 농도가 5mg/ml와 10mg/ml 일때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과 BHT의 항산화능은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p{\leq}0.05)$. 그러나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에서 R undulatum L. 뿌리추출물이 0.4 mg/mL 농도 이상에서는 BHT 보다 높은 항산화능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대황(R. undulatum L.)의 80% 에탄올 추출물이 천연항산화제로의 사용이 가능하였다. 그러나 합성항산화제인 BHT의 식품에 사용농도를 비교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능이 BHT와 동일하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농도를 필요로 하였다.

Screening and Utilization of Antifungal Plant against Ginseng Anthracnose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인삼 탄저병에 대한 항균성식물의 탐색과 이용)

  • 도은수;길기정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3
    • /
    • pp.206-212
    • /
    • 2001
  • Crude extracts from 20 species of plants 16 families were evaluated for their antifungal activities against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and three plant extracts of them were applied to Ginseng in order to investigate the usefulness for Ginseng anthracnose control. Among the crude extracts from 20 species being tested, it of A. cepa, R. undulatum and C. japonica showed considerably antifungal activity against mycelial growth and conidial germination of C. gloeosporioides.. Ginseng anthranose was controlled at 2% concentration of A. cepa and R. undulatum and 1% C. japonica extract, but control value of three plant extracts was inferior to Mancozeb WP. Phytotoxic symptoms were observed in the leaves of ginseng with exogenous foliage application of 10% concentration of three plant extracts and 2% concentration C. japonica extract but not observed at 1% concentration.

  • PDF

Development of Functional Beverage Using Yam (Dioscorea opposita Thunb.) (둥근마를 이용한 기능성 건강음료 개발에 관한 연구)

  • Choi, Won-Seok
    • Food Industry And Nutrition
    • /
    • v.17 no.2
    • /
    • pp.20-22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둥근마와 장마의 일반성분을 분석하여 둥근마의 우수한 성질을 밝히며, 에탄올 농도를 달리(0~95%, v/v)한 용매로 둥근마를 추출한 후 항산화활성을 측정함으로써 둥근마의 항산화성분을 최대한 함유할 수 있는 최적의 에탄올농도를 찾아, 이 추출물을 활용한 다양한 기능성 함유 음료의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일반 성분 분석결과 둥근마의 경우 탄수화물, 열량, 단백질 및 철 함량이 장마와 비교하여 월등히 높은 값을 나타내었고, 식이섬유 및 칼륨 함량 또한 비교적 높았다. 47.5~95% (v/v) 에탄올 함유 용매로 추출할 경우 순수한 물로 추출한 경우보다 더 높은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전자공여능의 경우 추출용매의 에탄올 농도가 높을수록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반면에 총 폴리페놀성 화합물함량의 경우 71.25% 농도의 에탄올로 추출한 추출액에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에탄올농도 약 70~95% 정도의 용매로 추출한 둥근마 추출액 함유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항산화 성분을 다량함유 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둥근마 추출액에 첨가물 및 기타 기능성 성분을 혼합하여 음료를 제조함으로써 기호성이 증가되고 기능성이 향상된 다양한 음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Study on the Antioxidant Activity of Extracts from the Fruit of Elaeagnus multiflora Thunb (뜰보리수(Elaeagnus multiflora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 Hong Ju-Yeon;Nam Hak-Sik;Lee Yang-Suk;Yoon Kyung-Young;Kim Nam-Woo;Shin Seung-Ryeul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3 no.3
    • /
    • pp.413-419
    • /
    • 2006
  • This study was investigated to analyze the antioxidant activity or extracts form Elaeagnus multiflora Thunb for development to the functional materials. The antioxidative activities of water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from the Elaeagnus multiflora Thunb were analyzed by electron donating ability (EDA), anti-oxidization activity, superoxide dismutase (SOD)-like activity, The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and nitrite scavenging ability. The Etectron donating ability of methanol extract was higher in 1.0 mg/mL of extraction solution than those of ethers. The anti-oxidization activity of ethanol and methanol extracts by thiocyanate method using linolenic acid system was higher than those of the water extract. The SOD-like a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extract concentration in each extracts. The SOD-like activity was highest in 2.0 mg/mL of methanol extract. The superoxide anion radical-scavenging activity was increased with increase of the concentration in the ethanol extract and methanol extract.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water extracts in 1.0 mg/mL of extraction soiution in pH 1.2 was higher than ethanol extrats and methanol extracts. The nitrite scavenging ability of all extracts was decreased according to increase of pH.

유기인산 추출제 CMPO에 의한 Am(III) 추출특성 연구

  • 양한범;임재관;이일희;유재형;박현수
    • Proceedings of the Korean Nuclear Society Conference
    • /
    • 1996.05c
    • /
    • pp.559-564
    • /
    • 1996
  • 다작용기 유기인산 추출제인 octyl(phenyl)-N, N-diisobutyl carbamoylmethylphosphine oxide(CMPO)의 Am(III)에 대한 추출특성을 조사하였다. 0.2M CMPO-1.4M TBP/n-dodecane 추출제, 추출온도 30 $^{\circ}C$, 수용액의 질산농도 2M인 조건에서 Am(III)은 95.8%가 추출되었다. CMPO 추출제에 첨가되는 TBP 농도가 0.5M 까지는 Am(III)의 추출율이 감소시키는 영향을 나타냈으나, 0.5M 이상인 영역에서는 Am(III) 추출율에 미치는 영향이 작게 나타났다. 그리고 Am(III) 추출에 미치는 옥살산농도의 영향은 옥살산농도가 증가할수록 Am(III)의 추출율이 감소하였으며 추출온도가 높을수록 Am(III) 추출율이 감소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CMPO 추출제는 제 3상을 매우 잘 형성하여 특징을 나타냈으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조건을 규명하였다.

  • PDF

Optimization of Extraction of Effective Components from Vitis coignetiae, the Crimson Glory Vine (산머루 유용성분 추출공정의 최적화)

  • Jo, In-Hee;Kim, Chang-Youn;Lee, Tae-Wook;Lee, Geun-Ho;Choi, Yong-Hee
    • Food Science and Preservation
    • /
    • v.17 no.5
    • /
    • pp.659-666
    • /
    • 2010
  • A central composite design was us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three independent variables of extraction temperature ($X_1$), ethanol concentration ($X_2$), and extraction time ($X_3$), on 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yield ($Y_1$), total phenol levels ($Y_2$), electron-donating ability ($Y_3$), brownness ($Y_4$), and reducing sugar content ($Y_5$) of Vitis Coignetiae. Yield was affected by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The maximum yield was obtained at $91.62^{\circ}C(X_1)$, and, 25.37% (w/v) ethanol ($X_2$), after 317.70 min of extraction ($X_3$), evident as a saddle when displayed graphically. Total phenol levels were essentially unaffected by extraction temperature or ethanol concentration, but were highly influenced by extraction time. The maximum total phenol levels was 4,763.46 GAE mg/100 g obtained at $88.20^{\circ}C(X_1)$, and 47.79% (w/v) ethanol ($X_2$), after 349.32 min ($X_3$) of extraction. Electron-donating ability (EDA) was affected by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Maximum EDA was 55.90% at $86.72^{\circ}C(X_1)$, 50.61% (w/v) ethanol ($X_2$), and 265.96 min ($X_3$) of extration time, again shown by a graphical saddle. Brownness was affected by extraction time. The maximum extent of brown coloration was obtained at $82.66^{\circ}C(X_1)$, 99.27% (w/v) ethanol ($X_2$), and 252.63 min of extraction time ($X_3$), once again shown by graphical saddle. The maximum reducing sugar content was obtained at $96.24^{\circ}C(X_1)$, 22.59% (w/v) ethanol ($X_2$), and 216.06 min extraction time($X_3$).

The effect of extracts of industrial plant resources on germination and growth of Raphanus sativus L. (주요 特用資源植物 抽出物이 무 發芽 및 초기 生長抑制에 미치는 영향)

  • 이현모;임정대;김명조;유창연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 /
    • v.14 no.2
    • /
    • pp.108-115
    • /
    • 2001
  • For determining the effect of extracts exudated from ten industrial plant resources on germination and early growth of shoot and root of radish the allelopathic compounds screened. Germination rate and seedling growth of radish differed depending on plant species and extract concentration. Lower levels of 1% extracts exudated from industrial plant resources promoted the rate of germination of radish while higher levels of 10% extract inhibited the rate of germination. Germination rate, shoot growth and root growth of radish in higher concentration of extract also differed depending on the plant species exudated and extract concentraton of industrial plant resources. Higher concentration of extracts from Xanthium strutnarium L. Angellica gigas Nakai, and Solanum nigrum L. were completely inhibited the germination while those from Cichorium intybus L., and Polygonatum officinale Allioni were not inhibited. Extracts exudated from Xanthium strutnarium L, Angellica gigas Nakai, and Solanum nigrum L. showed the strong inhibition of shoot and root growth of radish while those from Cichorium intybus L., and Polygonatum officinale Allioni did not show the bioactivity in shoot and root growth of radish..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