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적 모형 선택

Search Result 270, Processing Time 0.031 seconds

HEC-6를 이용한 하상변동 모의 방법

  • 우효섭;유권규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5.02b
    • /
    • pp.95-133
    • /
    • 1995
  • 1) 하천 종횡단 자료, 유사량 자료, 수문 자료 등을 입력하여 하상변동을 모의하는 소하천은 지류(tributary)라 하고, 단순히 유량의 유입 또는 자료만을 입력하는 소하천, 첩수로, 배수로, 취수구 등은 국소 유입점이라 하여 구분함. 2) 각 행이 필수적(required)으로 필요한가 선택적(optional)으로 필요한가 하는 사항은 다음과 같이 나타낸다. 1필수 : 반드시 필요하며 빠질 경우 실행되지 않음, 2선택 : 필요할 때만 입력하면 되며 없어도 무방, 3한번필수 : 반복적으로 수행 또는 입력하는 경우, 처음 수행시는 반드시 필요하지만 다음부터는 입력값을 변경하고자 할 경우만 입력하는 경우, 4특수선택 : 특별한 경우를 모의하고자 할 경우만 선택. 3) HEC-6는 조도계수를 지정된 단면의 상류에 적용하나 HEC-2는 그 단면의 상하류에 적용한다. 그러나 그 결과는 어느 방법이나 거의 일치한다. 4) 우리나라의 하천과 HEC-6모형이 개발된 미국의 하천이 다름을 유의 하여야 한다. 여기서 제방이라함은 우리나라와 같이 인공제방이 축조된 곳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그보다는 미국의 서부 건조지역을 흐르는 하천과 같이 유량 변화가 거의 없는 하천에 하도의 양쪽에 자연적으로 형성되어 있는 자연제방을 의미하는 것이다. 따라서 만제 유량의 개념도 원래 모형에서 제시된 의미와는 달리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1989)의 연구에서 지적된 바와 같이 유사량 공식에 따라 계산된 유사량이 큰 차이가 날 수 있으므로, 유사량 공식을 선정하는 것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며 대상하천의 상황에 적합한 공식을 선정하는데 상당히 신중을 기해야 한다. 있다. 청주권의 무심천도 계획상은 대청댐의 물을 공급 받을수도 있도록 되어 있으나 현실상으로 상수도 원수로서의 공급마저도 매년 심한 원수 수질 문제(5-6월, 10월경의 취수장 부근의 부영양화 현상으로 인한 악취와 물 맛의 문제)를 1984년부터 겪고 있다. 이와 같이 도시권 하천의 수자원은 자연적, 인위적, 경제적, 법적, 제도적 여러 제한 요소로서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날로 심해 가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최적 물관리 시스템의 개발이 새로이 시작하는 수자원 개발 사업에서는 계획 단계에서부터 절실히 요구되는 바이며 기존 시설물의 관리 운영은 과감히 그 운영 관리 기준을 보완 재 정비하여야 할 것이다. 지금까지 대부분의 수자원 종합 개발 계획이 홍수방이나 용수 공급 및 수력 개발 등에 주력하여 왔으나 이제는 보다 더 수자원의 환경 보전적 차원과 도시의 안정적 발달을 위한 지역 및 권역 계획과 연계지워져서 양적인 안정 공급과 더불어 질적인 향상과 연계지워서 경제-사회적 요구에 부응할 수 있도록 도시권의 수자원을 최적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 이는 각 도시 하천의 수자원의 정량적·정성적인 특성 및 제한 요소를 충분히 감안하여 수요-공급 개념에 의하여 과감히 기존 시설(예: 팔당댐의 운영, 대청댐의 운영 등)의 관리 운영 체계를 개선하여 나가야 할 것이며, 수질 보전적-환경 보전 차원에서 저수관리 체계를 확고히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다.펄스주입법에 의해 증착된 박박은 강유전성 이력을 나타내었다.지역과 비도시지역을 비교하는 조사 연구가 필요하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바탕으로 자녀의 식습관에 대한 교육을 위한 교재, 교구의 개

  • PDF

A study on reform of public bureaucracy through governance (국가경영을 통한 관료제 개혁에 관한 연구)

  • Choi Rackin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 /
    • v.9 no.3
    • /
    • pp.211-218
    • /
    • 2004
  • It was amazing that efficiency of bureaucratic system, when Marx Weber presented theory of bureaucracy. Now, Government and Bureaucratic organization are confronted with a forked road of chang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not so much to force choices among the alternative visions of governance but rather to make the choices available to governments more evident. Any choice of paradigms for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is unlikely to be Pareto optimal, but we should be clear about what we receive and what we sacrifice when we make these judgements about governance. Today, government and public bureaucracy must be changed. There are needed an innovation of government and public bureaucracy. It must be changed concepts from government to governance. Governance is a national management.

  • PDF

The guideline for choosing the right-size of tree for boosting algorithm (부스팅 트리에서 적정 트리사이즈의 선택에 관한 연구)

  • Kim, Ah-Hyoun;Kim, Ji-Hyun;Kim, Hyun-Joong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3 no.5
    • /
    • pp.949-959
    • /
    • 2012
  • This article is to find the right size of decision trees that performs better for boosting algorithm. First we defined the tree size D as the depth of a decision tree. Then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boosting algorithm with different tree sizes in the experiment. Although it is an usual practice to set the tree size in boosting algorithm to be small, we figured out that the choice of D has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boosting algorithm. Furthermore, we found out that the tree size D need to be sufficiently large for some dataset. The experiment result shows that there exists an optimal D for each dataset and choosing the right size D is important in improving the performance of boosting. We also tried to find the model for estimating the right size D suitable for boosting algorithm, using variables that can explain the nature of a given dataset. The suggested model reveals that the optimal tree size D for a given dataset can be estimated by the error rate of stump tree, the number of classes, the depth of a single tree, and the gini impurity.

Comparison of Mortality Estimate and Prediction by the Period of Time Series Data Used (시계열 적용기간에 따른 사망력 추정 및 예측결과 비교 - LC모형과 LC 코호트효과 확장모형을 중심으로 -)

  • Jung, Kyunam;Baek, Jeeseon;Kim, Donguk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6 no.6
    • /
    • pp.1019-1032
    • /
    • 2013
  • The accurate prediction of future mortality is an important issue due to recent rapid increases in life expectancy. An accurate estimation and prediction of mortality is important to future welfare policies. The optimal selection of a mortality model is important to estimate and predict mortality; however, the period of time series data used is also an important issue. It is essential to understand that the time series data for mortality is short in Korea and the data before 1982 is incomplete. This paper divides the time series of Korean mortality into two sets to compare the parameter estimates of the LC model and LC model with a cohort effect by the period of data used. A modeling and prediction of the mortality index and cohort effect index as well as the evaluation of future life expectancy is conducted. Finally, some suggestions are proposed for the future prediction of mortality.

DComparison of nonpoint source models for considering water and nutrient process in paddy fieldsl (물순환 및 물질순환 기작을 고려한 논비점오염 모델링 비교)

  • Cho, Jae-Pil;Jang, Jeong-Ryeol;Jeon, Ji-Hong;Song, In-Hong;Song, Jung-Hu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186-186
    • /
    • 2012
  • 새만금에서 농업용수의 안정적인 확보를 위해서는 새만금호의 수질관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며 농업비점오염 부하량이 총인기준으로 52~72%를 차지하는 것을 고려할 때 농업비점오염 관리는 중요하다. 이에 "새만금유역농업비점오염 저감기법 개발 연구"를 통해 논과 밭 등의 농업비점 오염원별 최적관리기법 개발을 목적으로 모니터링 연구가 수행되었다. 유역규모 물수지 및 물질수지 분석에 있어서 논은 전체 농업용수의 60%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농업비점오염 중에서 논은 물고 및 담수심의 관리에 따라서 기타 토지이용과 상이한 유출특성을 보인다. 따라서 유역규모에서 논으로부터 발생되는 비점오염의 시공간적인 부하량의 변화를 예측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논에서의 물관리와 시비관리에 따른 수량과 수질의 유출특성에 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한다. 물관리 및 시비관리 방법에 따라 논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염부하량이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논에서의 물수지 및 물질수지 모니터링 기법이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모니터링 접근 방식은 오랜 시간과 많은 비용을 필요로 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고려되어 지고 있는 여러 저감기법들 중에서 농업비점오염물질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가장 적합한 저감기법 (Best Managment Practices, BMPs)을 선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수학적인 모형들이 사용되어 왔다. 비점오염 관리는 오염물질이 오염원에서 발생되는 양 자체를 줄이거나 또는 오염원으로부터 수체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운송을 차단시키는 방법들을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논에서의 비점오염 모델링 또한 논에서의 유출 특성 및 질소와 인과 같은 영양물질과 관련된 기작을 고려한 모형들이 선택 및 적용되어야 한다. 논에서의 물관리 및 시비관리를 고려할 수 있는 모형들로는 CREAMS-PADDY, GLEAMS-PADDY, PADDYMOD, APEX와 같은 모형들이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논으로부터의 비점오염 부하량 예측을 위해 사용되어 온 모형들의 장단점을 비교 분석하고 적합한 모형들을 동일한 시험포장에 적용하여 논 비점오염관련 모형들의 국내 적용성을 제시하였다.

  • PDF

A Study on the prediction method of flooded area in rural watershed using runoff characteristics and inundation DB (농촌유역에 대한 SWMM모형의 유출특성과 침수DB를 이용한 침수면적 예측방법에 관한 연구)

  • Hwang, Sung-Hwan;Chun, Soo-Bin;Choi, Ji-Hyeok;Moon, Young-Il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8.05a
    • /
    • pp.31-31
    • /
    • 2018
  • 본 연구는 내수침수에 의한 침수면적 예측을 위하여 1차원 유출모형의 유출특성을 이용하여 침수면적 예측방법의 최적화이다. 2017년 강우의 초기강우와 첨두강우 특성을 적용한 경우에 정확한 침수면적 추정이 가능한 것을 확인한 바가 있다. 이러한, 결과에 추가적으로 SWMM 모형의 유출결과 자료의 특성인자를 이용하여 침수DB를 선택한 경우에 침수면적 예측 정확도를 분석하였다. 강우지속시간 및 강우량의 변화에 따른 유출결과의 변화를 분석하여 강우특성에 따른 SWMM 모형의 노드별 유출결과의 특성인자 변화를 분석하여 침수DB에서 실제 침수면적 선정방법을 정리하였다. 정리된 방법을 이용하여 유출결과 자료 특성인자를 이용한 최적의 침수DB 선정방법을 돌출하였다. 강우 특성 인자에서 침수DB를 선정하는 방법과 비교하여 강우유출모형의 모의결과를 이용한 경우에 약 6,000여개 노드를 기준으로 5~10분의 모의시간이 추가적으로 소요되어 실시간 침수 DB 선정에는 어렵지만, 준실시간 실제 유출량을 고려한 침수DB 선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강우특성 도출에 따라 1차적으로 침수DB를 선정하고, 강우유출모형의 유출 특성에 따라서 2차적으로 침수DB를 선정한다면, 예경보 시스템에서 대응시간 확보와 예측 정확도 유지에 긍정적인 방안으로 도입될 수 있을 것이다. 침수DB 구축은 많은 침수면적 산정연구에 이용하였던 TUFLOW 모형을 이용하여 침수DB를 구축하였다. SWMM 모형을 이용하여 강우유출을 모의하고, 침수면적을 TUFLOW를 이용하여 구축한 다양한 호우사상에 대한 침수DB를 이용하여 준실시간 침수면적 예측하는 방법은 향후, 예경보 시스템 구축에 이바지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PDF

A Study on Reliability Optimal Design of Satellite system(Based on MSC System's structure of KOMPSAT-2) (인공위성 시스템의 신뢰도 최적 설계에 관한 연구(아리랑위성 2호의 MSC 시스템 구조를 중심으로))

  • Kim, Heung-Seob;Jeon, Geon-Woo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Aeronautical & Space Sciences
    • /
    • v.39 no.12
    • /
    • pp.1150-1159
    • /
    • 2011
  • Reliability is defined as a probability that a system will operate properly for a specified period of time under the design operating conditions without failure. Reliability-Redundancy Optimization Problem(RROP) involves selection of components with multiple choices, redundancy levels and redundancy strategy(Active or Standby) for maximizing system reliability with constraints such as cost, weight, etc. Based on the design configuration of Multi-Spectral Camera(MSC) system of KOMPSAT-2, the mathematical programming model for RROP is suggested in this study. Due to the nature of RROP, i.e. NP-hard problem, Parallel Particle Swarm Optimization(PPSO) algorithm is proposed to solve it. The result of the numerical experiment for RROP is presented as instance of recommended design configuration at some mission time.

Optimization procedure for parameter design using neural network (파라미터 설계에서 신경망을 이용한 최적화 방안)

  • Na, Myung-Whan;Kwon, Yong-Man
    •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20 no.5
    • /
    • pp.829-835
    • /
    • 2009
  • Parameter design is an approach to reducing performance variation of quality characteristic value in products and processes. Taguchi has used the signal-to-noise ratio to achieve the appropriate set of operating conditions where variability around target is low in the Taguchi parameter design. However, there are difficulties in practical application, such as complexity and nonlinear relationships among quality characteristics and control factors (design factors), and interactions occurred among control factors. Neural networks have a learning capability and model free characteristics. There characteristics support neural networks as a competitive tool in processing multivariable input-output implementation. In this paper we propose a substantially simpler optimization procedure for parameter design using neural network. An example is illustrated to compa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aguchi method and neural network method.

  • PDF

Network Identification of Major Risk Factor Associated with Delirium by Bayesian Network (베이지안 네트워크를 활용한 정신장애 질병 섬망(delirium)의 주요 요인 네트워크 규명)

  • Lee, Jea-Young;Choi, Young-Jin
    • The Korean Journal of Applied Statistics
    • /
    • v.24 no.2
    • /
    • pp.323-333
    • /
    • 2011
  • We analyzed using logistic to find factors with a mental disorder because logistic is the most efficient way assess risk factors. In this paper, we applied data mining techniques that are logistic, neural network, c5.0, cart and Bayesian network to delirium data. The Bayesian network method was chosen as the best model. When delirium data were applied to the Bayesian network, we determined the risk factors associated with delirium as well as identified the network between the risk factors.

Integer Programming Model and Heuristic on the Guided Scrambling Encoding for Holographic Data Storage (홀로그래픽 저장장치에 대한 GS 인코딩의 정수계획법 모형 및 휴리스틱)

  • Park, Taehyung;Lee, Jaejin
    •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 /
    • v.38A no.8
    • /
    • pp.656-661
    • /
    • 2013
  • In Guided Scrambling (GS) encoding for the holographic storage, after scrambling augmented source word into codeword, the best codeword satisfying modulation constraint is determined. Modulation constraints considered in this paper are strength which is the minimum number of transition between '0' and '1' in each row and column of codeword array and the symbol balancedness of codeword array. In this paper, we show that GS encoding procedure can be formulated as an integer programming model and develop a fast neighborhood search heuristic for fast computation of control bits. In the simulation, we compared the performance of heuristic algorithm with the integer programming model for various array and control bit size combin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