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저강하고도

Search Result 170, Processing Time 0.035 seconds

Measurement of excitation efficiency and passively Q-switched characteristics of laser diode end-pumped Nd:YAG laser by using $Cr^{4+}$:YAG as a saturable absorber ($Cr^{4+}$:YAG 포화 흡수체를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 뒷면 여기 Nd:YAG 레이저의 들뜸 효율 및 Q-switching 특성 연구)

  • 정태문;김광석;문희종;이종훈;김철중;이종민
    • Korean Journal of Optics and Photonics
    • /
    • v.9 no.4
    • /
    • pp.231-235
    • /
    • 1998
  • Passively Q-switched, laser diode(LD) end-pumped Nd:YAG laser was demonstrated by using $Cr^{4+}$:YAG as a saturable absorber. In addition , we could calculate an excitation efficiency, which is an important parameter to evaluate the pumping geometry, directly by measuring the absorbed power in Nd:YAG at threshold condition. We found that output parameters such as average power, pulse duration, and repetition rate strongly depended on the low intensity transmission of $Cr^{4+}$:YAG and driving current of lase diode. The maximum Q-switched output power of 1 W was obtained with 40 kHz repetition rate. The pulse duration was varied from 50 ns to 200 ns.

  • PDF

Prediction of Long-term Runoff for Hapcheon Dam Watershed through Multi-Artificial Neural Network Downscaling of KMA's RCM (기상청 RCM전망의 다지점 인공신경망 상세화를 통한 합천댐 유역의 장기유출 전망)

  • Kang, Boo-Sik;Moon, Su-Jin;Kim, Jung-J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948-948
    • /
    • 2012
  • 합천댐유역에 대한 기후변화에 따른 수문학적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하기 위해,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공간해상도 27km의 MM5 RCM(Regional Climate Model)을 사용하였다. RCM의 기상변수들은 공간적 스케일의 상이성과 RCM 기후변수들의 불확실성 때문에 유출모형인 SWAT의 입력자료로 사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특히, RCM 변수들 중 강수량의 경우 한반도 지역의 6월과 10월 사이에 연강수량의 67%이상이 집중되는 계절성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국내 유역의 유출량 산정에 사용하기 위해서는 지역적 상세화(Downscaling)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RCM 기후변수에 내포된 공간적 스케일의 상이성과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기 위해 강우관측소 지점을 단위로 한 다지점 인공신경망 기법을 적용하여 강수량, 습도, 최고기온 및 최저기온에 대한 상세화를 실시하였다. 강수의 경우 여름철 태풍사상을 모의하기 위한 Stochastic Typhoon Simulation기법과 Baseline(1991~2010)과 Projection(2011~2100) 사이의 강수량 보정을 위한 Dynamic Quantile Mapping 기법을 적용하여, 강수량의 불확실성을 최소화 하고자 하였다. 상세화된 기후자료를 이용한 SWAT 모형의 일(Daily) 단위 강우-유출 모의결과를 2011~2040년, 2041~2070년, 2071~2100년으로 구분하여 추세분석을 실시하였다.

  • PDF

Estimation of Reference Evapotranspiration Based on Remote Sensing: Nakdong River Hydrologic Survey (원격탐사 기반 기준 증발산 산정 모의: 낙동강 유역조사 분석)

  • Sur, Chan-Yang;Lee, Jong-Jin;Park, Jae-Young;Choi, Min-Ha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2.05a
    • /
    • pp.67-70
    • /
    • 2012
  • 현재 국내외에서는 양질의 증발산을 관측하여 활용하기 위해 증발접시 (evaporation pan), 침루계 (lysimeter) 등을 이용하여 실측하거나 Flux Tower에서 Eddy covariance technique, Bowen ratio method 등을 이용하여 경험적으로 산정하고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산정되는 증발산은 크게 두 분류로 나눌 수 있다. 일반적인 기후 상태에서 유역의 토양이 증발산에 방해를 받지 않을 정도로 충분히 물을 포함하고 있고, 식생이 조밀한 상태에서의 증발산량을 의미하는 잠재 증발산과 실제 산정치인 실제 증발산으로 나눌 수 있다 (Thornthwait, 1939). 본 연구에서는 유역의 잠재 증발산을 산정하여 실제 증발산과 비교를 통해 적용성을 확인하고자 한다. 잠재 증발산을 산정하는 방법은 Moderate Resolution Imaging Spectroradiometer (MODIS) 인공위성 데이터를 이용한 원격탐사 기술을 적용하여 산정한다. 원격탐사 기술은 지상 관측의 단점을 보완한 것으로써, 날씨, 인간 활동 등 주변 외부 환경의 영향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공간적인 분포 현황을 파악하는 것이 어려운 지상 관측의 한계점을 대체하기 위한 방법이다. 이들 방법으로는 가장 널리 쓰이는 Penman-Monteith (Penman, 1948; Monteith, 1965), 일별 최대, 최저, 평균 기온을 이용한 Hargreaves 방법 (Hargreaves, 1985)과 Priestley-Taylor 방법 (Priestley and Taylor, 1972) 등의 세 가지 방법을 소개하였다. 세 가지 방법으로 산정된 잠재 증발산을 통해 해당 유역의 잠재 증발산의 공간적인 거동을 파악해 볼 수 있다.

  • PDF

Estimation of regional Low-flow Indices Applicable to Unmetered Areas Using Machine Learning Technique (머신러닝 기법을 이용한 미계측지역에 적용가능한 지역화 Low-flow indices 산정)

  • Jeung, Se Jin;Kang, Dong Ho;Kim, Byung 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0.06a
    • /
    • pp.39-39
    • /
    • 2020
  • Low-flow 하천에서의 최저수위를 나타내는 지표이다. 일반적으로 유황곡선의 갈수량(Q355)를 대표적으로 사용한다. Low-flow는 물 공급 관리 및 계획, 관개용수, 생태계등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Low-flow를 산정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기간의 유량자료가 필요하다. 하지만 국토의 70%가 산지지형으로 구성되어 있는 우리나라의 경우 국가하천과 1급하천을 제외한 산지유역은 수위관측소가 부재하거나 결측으로 인해 자료가 충분하지 않아 Low-flow분석에 한계가 있다. 이에 과거에는 미계측지역의 갈수량을 예측하기 위해서 다중회귀분석, ARIMA 모형 등 다양한 기법을 사용하였지만, 최근들어 머신러닝 모형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맞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사용하고자 한다. DNN기법은 ANN기법의 단점인 학습과정에서 최적 매개변수값을 찾기 어렵고, 학습시간이 느린 단점을 보완한 방법이다. 따라서 본연구에서는 머신러닝 기법인 DNN기법을 통해 미계측지역에 적용 가능한 지역화 Low-flow indices를 산정하고자 한다. 먼저, Low-flow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수집하고 인자들간의 상관분석, 다중공선성 분석을 통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수를 선정하여, 머신러닝 모형에 입력자료를 구축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 예측기법인 다중회귀분석 결과와 비교하여 머신러닝 기법의 효용성을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fish habitats suitability by vegetation density and flow changes (식생밀도와 흐름 변화에 따른 어류 서식처 적합도 분석)

  • Choi, Mikyoung;Kang, Tae Un;Jang, Chang-Lae;Kim, Zoo H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493-493
    • /
    • 2022
  • 본 연구는 식생밀도와 흐름에 따른 수치모형(Nays2D)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서식처 적합도 분석 모델(PHABSIM:Phsical Habtiat Suitability Model)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하상 지형 변화가 어류 서식처 적합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한다. 금강 부용리 인근 2km를 대상으로 2차원 모형인 Nays2D를 적용하여 흐름(댐 방류량, 2년 빈도 유량, 100년 빈도 유량 등)과 식생밀도(식생미반영, 현재 밀도, 밀도 감소, 밀도 증가 등)에 따른 하상변동 모의를 실시하였고, 모의 결과값(단면 표고, 유속, 수위)을 물리적 서식처 평가 모델인 PHABSIM의 입력자료로 활용하였다. 피라미 서식을 위한 적정 유속과 수심의 서식처 적합도 지수를 이용하여 각 시나리오 별가중가용면적(WUA: Weighted Usable Area)을 산정하여 비교 분석하여, 식생밀도에 따른 단면 구조의 변화가 WUA 면적과 피라미 서식처 적합도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그 결과, 수목 밀도를 미반영한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PHABSIM의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가중가용면적이 가장 높았고, 식생 밀도를 증가시킨 하상변동 모의 결과를 입력 자료로 활용하였을 때 WUA값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피라미의 서식처 적합도 측면에서 식생이 적어 특정 유량에 따른 하상변동의 폭이 커지면서 저수로 최저하상과 고수부 하상과의 표고차가 상대적으로 낮은 하상 단면이 피라미의 서식처 측면에서 유리할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 PDF

Study of tsunami sensitivity analysis to fault parameters for probabilistic tsunami hazard assessment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THA)를 위한 단층 파라미터에 대한 지진해일의 민감도 분석)

  • Jeong, Hyun-Kee;Kang, Jun-Ho;Cho, Yong-Si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2.05a
    • /
    • pp.274-274
    • /
    • 2022
  • 확률론적 지진해일 재해도 평가(PTHA)는 최근 지진해일에 대한 연구에서는 관심을 많이 받고 있는 주제로 여러 국가에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단층매개변수의 민감도 분석은 일본(Goda et al., 2014), 미국(Sepúlveda and Liu, 2016), 뉴질랜드(D. Burbridge et al., 2015) 등에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졌으며 현재도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민감도 분석은 PTHA를 진행하기 위한 선행 과정으로 파향선 추적을 통한 대상지 설정 및 연구 대상 단층을 선정한 후 로직트리를 만들기 위해 각 단층 매개변수의 범위와 단위 폭을 제시한다. 해당 연구는 세 가지 단층 매개변수에 대한 지진해일 초기파와 파고에 대한 민감도 분석을 실행했다. 주향각은 초기파와 지진해일고에 대해서 임의의 변동을 보이지만 변동 폭은 다른 두 매개변수들과 비교하여 가장 크다. 경사각과 슬립각은 단층의 수직 움직임을 변화시키며 이를 통해 초기파의 변동을 예측할 수 있다. 초기파의 변동과 모양을 분석함으로써 수치 계산이 가설과 유사한 결과를 보임을 확인하였다. 경사각과 슬립각에 의한 지진해일고의 변화는 최저 지진해일고가 초기파의 총 에너지와 연관된다는 결론에 이른다. 지진해일 재해도는 해안지역에 도달하는 최종 파고와 관련이 있으므로 각 매개변수의 단위 폭은 지진해일고의 결과를 통해 선정되었다. 민감도 분석은 제시한 주향각, 경사각, 슬립각의 단위 폭을 이용하여 로직트리의 분기 수를 감소시켜 수치 계산 시간을 줄임으로써 PTHA의 효율성을 증대시킨다.

  • PDF

An Analysis of Historical Precipitation data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수자원 계획을 위한 과거 강수량자료의 분석)

  • 이동률;홍일표
    • Water for future
    • /
    • v.27 no.3
    • /
    • pp.71-82
    • /
    • 1994
  • A statistical characteristics, relations of calendar and water year, and frequencies of precipitaion which are necessary for water resources planning were analyzed with long historical data(1905-1991 years). And the analysis of precipitation of the drought periods in 1967-1968 years was carried out. The study basins are the five major rivers in Korea. As a results of this study, annual precipitation shows an increasing trend but its variation h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rellations of calendar and water year precipitation is presented, it shows that there are little difference of the total precipitation between them. The annual minimum series of total precipitation for the periods of 3, 6, 9, and 12 months by water year are constructed, and frequency precipitation for each periods using 2-parameter lognormal distribution is presented. The analysis of the precipitation in 1967-1968 years shows in a natural river basins that it would be a moderate drought, if dry seasons(Oct-May) or wet seasons(Jun-Sep) has 75 percents of historical mean precipitation of the same periods. And if it has less than 60 percents of historical mean precipitation, it would be a severe drought.

  • PDF

Comparison of bracket bond strength in various directions of force (교정용 브라켓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에 따른 결합강도의 비교)

  • Lee, Hyun-Jung;Lee, Hyung-Soon;Jeon, Young-Mi;Kim, Jong-Ghee
    • The korean journal of orthodontics
    • /
    • v.33 no.5 s.100
    • /
    • pp.359-370
    • /
    • 200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bond strength of orthodontic brackets bonded to metal bar with chemically cured adhesive (Ortho-one, Bisco Co, USA) in various types and directions of force application. Three types of metal bracket with different bracket base configurations; Micro-Loc base(Tomy Co, Japan), Chessboard base(Daesung Co, Korea), Non-etched Foil-Mesh base(Dentaurum, Germany); were used in this study. Peel, shear, tensile bond strengths were measured by universal testing machine and compared each other. The peel force directions applied were $0^{\circ},\;15^{\circ},\;30^{\circ},\;45^{\circ},\;60^{\circ},\;75^{\circ},\;90^{\circ}$ And then, in consideration of the different surface area of the bracket bases, the bond strength Per unit area were calculated and compared.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bond strengths according to the types and the directions of the forces were greatest at the shear forces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 groups(p<0.01). 2. As the peel force direction grew higher in degree, peel bond strength decreased. The Patterns of peel bond strength change according to force direction was similar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s. The minimum bond strength was 60 degree-peel bond strengths in all three bracket base configurations. 3. In Micro-Loc base group, minimum peel bond strength$(_{60}PBS)$ was in $29\%$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52\%$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In Chessboard base group, $_{60}PBS$ was in $34\%$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61\%$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In Non-etched Foil-Mesh base group, $_{60}PBS$ was in $34\%$ level of shear bond strength and $55\%$ level of tensile bond strength. 4. The bond strengths per unit area were lowest in Non-etched Foil-Mesh base group and highest in Chessboard base group(p<0.05). However,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shear bond strength, tensile bond strength, $75^{\circ}\;and\;90^{\circ}$ per unit area between Micro-Loc and Chessboard base groups.

A Study on Distribution of Soil Microarthropods in Pinus rigida Plantations following Strip-Cutting (대상벌채(帶狀伐採)한 리기다소나무 조림지(造林地)의 토양미소절지동물(土壤微小節肢動物) 분포(分布)에 관(關)한 연구(硏究))

  • Oh, Kwang-In;Cho, Hi-Doo;An, Ki-Wan;Jang, Seog-Ki;Chung, Jin-Chul;Kim, Choon-Si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90 no.3
    • /
    • pp.257-265
    • /
    • 2001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composition and distribution of the soil microarthropods in Pinus rigida plantations following strip-cutting from May 1998 to April 1999.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dividuals of soil microarthropods found during the research periods were 181, 904 and were identified into 21 orders in 7 classes. The classes were Arachnida, Insecta, Malacostra, Pauropoda, Diplopoda, Chilopoda and Symphyla. 2.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soil microarthropods was 82,962 individuals at the control area, 62,688 individuals at the reserve area and 36,254 individuals at the cutting area. The microarthropods in the control area were 2 times higher than those in the cutting area. 3. Although the major dominant taxa, Acari and Collembola, decreased in densities at the cutting area, the density reduction in Acari was higher than that in Collembola. This resulted in the increase of Collembola in terms of the relative abundance at the cutting area. 4. Among the total soil microarthropods, Arachnida was 59.74%, followed by Insecta of 39.82%. Such two groups comprise 99.56% of soil microarthropods. 5. According to the relative population density, Acari was 99.18% in Arachnida and 59.25% in the total and Collembola 93.99% in Insecta and 37.42% in the total. Therefore, individuals of Acari and Collembola was 96.67% of the total individuals. And the next abundant groups were Hymenoptera (0.95%), Diptera (0.64%) and Pseudoscorpiones (0.39%). 6. The population density of the soil microarthropods fluctuated seasonally, showing the bimodal pattern, being high in fall and spring. The highest density occurred in November and the lowest in July.

  • PDF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ea Surface Temperature in Jinju Bay in the South Coast of Korea (진주만 해역 수온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 Choo, Hyo-Sang;Yoon, Eun-Chan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rine Environment & Safety
    • /
    • v.21 no.4
    • /
    • pp.315-326
    • /
    • 2015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s of surface water temperature in Jinju Bay for the period of 2010~2011 were studied using the data from temperature monitoring buoys deployed at 17 stations in the south coast of Korea. Water temperature shows the maximum late in January and the minimum early in August. Seasonal variation of water temperatures at the north part of the bay is smaller than the middle and the south. In summer, the lowest and the highest of maximum water temperature are distributed around Jijok Channel which is located at the south of the bay. The fluctuations of water temperatures at Noryang and Daebang Channel are smaller than others because of vertical mixing caused by passage of strong tidal currents. Wind and strong currents affect on the stratification of the surface water layer near Daebang Channel. High temperatures come in frequently around the north area when eastward constant flows appear at neap tide as blowing westerly in the springtime at Noryang Channel. Spectral analyses of temperature records show significant peaks at 7~20 day periods at Noryang Channel, 7~20 day and semidiurnal at the west coast of Changsun Island and Jijok Channel and 7~20 day and diurnal at the middle of the bay. Temperature fluctuation at Noryang Channel shows high coherence and has leading phase with those at other stations in the bay. However, the phase of temperature fluctuation at Noryang Channel falls behind that at Daebang Channel. Daebang Channel has an influence on the temperature fluctuation only at the west and middle part of the bay. Cross-correlation analyses for the temperature fluctuation show that Jinju Bay could be classified into six areas; Noryang Channel, the area of convergence and divergence at the north, Daebang Channel, the west coast of Changsun Island, the mixing area at the middle of the bay and the south inside of the bay,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