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원배

Search Result 19, Processing Time 0.019 seconds

Contingency and the Argument of Explanation-Requirement (우연성과 설명의 요구 논증)

  • Kim, Sea-Hw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4 no.1
    • /
    • pp.103-118
    • /
    • 2011
  • In his paper "The Existence of Mathematical Objects and Contingency" Professor Choi deals with the debate between Hartry Field and Hale/Wright. In this famous debate, Hale/Wright and Field argue back and forth about whether some explanations for the contingency of mathematical objects need to be provided or not. In this paper, I raise 3 objections to Professor Choi's critical analysis of this debate.

  • PDF

The Uncontested Principle and Wonbae Choi's Objections (논란 없는 원리와 최원배 교수의 반론)

  • Lee, Byeong-D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5 no.2
    • /
    • pp.273-294
    • /
    • 2012
  • In my previous article "An Inferentialist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An Inferentialist Account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Hasuk Song's Objections", I argued that the so-called Uncontested Principle is not uncontestable. According to the Uncontested Principle, an indicative conditional '$A{\rightarrow}C$' logically implies a material conditional '$A{\supset}C$'. In his recent paper "On the Recent Controversies surrounding the Uncontested Principle" Wonbae Choi presents three objections to my claim. First, my denial of the Uncontested Principle implies rejecting modus ponens. Second, my denial of the Uncontested Principle is tantamount to taking the truth-conditions of an indicative conditional as weaker than those of a material conditional, which are usually taken to be the weakest among conditionals. Third, my view that we can warrantedly assert '$A{\rightarrow}C$' even when 'A ${\therefore}$ C' is inductively justified is based on a misunderstanding of the way in which indicative conditionals are justified. In this paper I argue that Choi's objections are all based on misunderstandings of my view. First, I do not deny the validity of modus ponens (as a form of deductive reasoning). Second, the fact that the inductive warrantability of 'A ${\therefore}$ C' does not imply the truth of '$A{\supset}C$' does not show that the truth-conditions of an indicative conditional is weaker than those of a material conditional. Third, Choi's claim that a contingent conditional '$A{\rightarrow}C$' is true only when 'C' can be deductively derived from 'A' in conjunction with a hidden premiss is not well grounded, nor does it fit the facts.

  • PDF

The Uncontested Principle and Modus Ponens (논란 없는 원리와 전건 긍정식)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5 no.3
    • /
    • pp.375-392
    • /
    • 2012
  • In a previous paper I argued that the denial of the uncontested principle results in the denial of modus ponens. In his reply Byeong Deok Lee explicitly says that he does not deny the validity of modus ponens though he still does not accept the uncontested principle. In this paper I show that his view is untenable.

  • PDF

Two Kinds of Indicative Conditionals and Modus Ponens (두 가지 종류의 직설법적 조건문과 전건 긍정식)

  • Lee, Byeongdeok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6 no.1
    • /
    • pp.87-115
    • /
    • 2013
  • In my previous article "The Uncontested Principle and Wonbae Choi's Objections", I argued that the validity of modus ponens (as a deductive inference) is compatible with the claim that the Uncontested Principle is controversial. In his recent paper "The Uncontested Principle and Modus Ponens", Wonbae Choi criticizes my view again by making the following three claims: First, even though I do not take an inference of the form 'If A then (probably) C. A. $\therefore$ C' as an instance of modus ponens, this form of inference can be taken to be such an instance. Second, there is no grammatical indicator which allows us to distinguish between an indicative conditional based on a deductive inference and an indicative conditional based on an inductive inference, so that inferences based on these conditionals should not be treated as different types of inferences. Third, if we allow an indicative conditional based on an inductive inference, we thereby violate the so-called 'principle of harmony', which any logical concept should preserve. In this paper, I reply that his criticisms are all implausible.

  • PDF

"프로슬로기온" 3장 논증의 새로운 해석?

  • Chon,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1
    • /
    • pp.99-107
    • /
    • 2007
  • 최근 김세화는 "프로슬로기온" 3장에 나오는 논증을 새롭게 해석하는 방안을 제시했다고 주장한다. 그에 따르면, 그가 제시한 논증 III 은 3장에 대한 기존의 해석과 다르며, 3장에 대한 또 다른 가능한 해석인 논증 IV보다도 더 낫다. 여기서 나는 논증 III은 기존의 해석과 견주어 볼 때 새롭다고 하기 어려우며, 나아가 그가 원하는 결론을 얻고자 한다면 도리어 논증 III보다 논증 IV를 택해야 함을 보인다.

  • PDF

반 멕기의 반례와 해결책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1 no.1
    • /
    • pp.67-89
    • /
    • 2008
  • 반 멕기는 전건긍정규칙의 반례라고 하는 것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그것이 과연 진정한 반례인지를 두고 많은 논의가 있었다. 이 논문에서 나의 목적은 조금 다르다. 나는 여기서 반 멕기의 반례가 생겨나는 구조를 밝히고자 한다. 우선 나는 내 자신이 구성한 반례를 하나 제시할 것이다. 그런 다음 반례가 생겨나는 기본 구조를 찾아내고, 이런 분석이 다른 반례에도 그대로 적용된다는 점을 보임으로써 나의 제안이 옳은 분석이라는 점을 확증하기로 한다. 이를 통해 최종적으로 우리는 반례가 만들어지는 메커니즘을 분명히 할 수 있을 것이다. 나는 석기에는 조건문에 대한 특정한 이해가 들어 있다는 점을 보일 것이다. 반례가 생겨나는 구조를 파악하고 나면 반례의 해결책을 마련하는 일은 그다지 어렵지 않다. 끝에서 나는 그런 해결책을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 PDF

전건 긍정 규칙의 반례에 대한 카츠의 비판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5 no.1
    • /
    • pp.63-79
    • /
    • 2001
  • 반 멕기는 전건 긍정 규칙(modus ponens)에 대한 이른바 반례들을 제시하고, 이런 예는 전건 긍정 규칙이 '엄밀히 타당한'것은 아님을 보여준다고 주장하였다. 그런데 최근 들어 카츠는 이런 반 멕기의 주장을 논박하고 있다. 이 논문은 카츠의 이런 논박이 어느 정도 성공적인지를 검토하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반 멕기의 반례가 제시되고, 그 다음 카츠의 반박이 자세히 분석되고 정식화된다. 이런 정식화에 바탕을 두고 카츠의 논증이 평가되며, 그 결과 카츠의 논증이 흠이 있음이 드러난다. 이런 이유로 논자는 카츠의 논박이 반 멕기가 내세운 전건 긍정 규칙의 반례를 무효화하지 못했으며, 따라서 반례는 여전히 유효하다고 주장한다.

  • PDF

흄의 원리와 암묵적 정의

  • Choi, Won-Bae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0 no.2
    • /
    • pp.23-46
    • /
    • 2007
  • 이 논문의 목적은 "왜 프레게는 공리 V 대신 흄의 원리를 기본 원리로 삼지 않았을까?"라는 물음에 답하는 데 있다. 이 물음은 프레게 철학의 해석에 관한 물음이기도 하지만, 최근의 새로운 논리주의의 기획이 정당한가를 묻는 물음이 기도 하다. 이 물음에 답하기 위해, 나는 프레게 철학의 틀 안에서 흄의 원리를 공리로 삼는 방안과 정의로 삼는 방안을 차례로 살펴보았다. 우리 논의를 통해 흄의 원리를 공리로 간주하는 방안은 프레게의 논리주의 기획이나 공리관과 어울리지 않으며, 그것을 정의로 간주하는 방안 또한 그의 정의관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점을 밝힌다. 나아가 흄의 원리를 기수 개념의 암묵적 정의로 간주하려는 시도가 해결해야 할 문제가 어떤 것인지를 규명하였다.

  • PDF

A New Interpretation of the Argument in Proslogium 3! ("프로슬로기온" 3장 논증의 새로운 해석!)

  • Kim, Sea-Hwa
    • Korean Journal of Logic
    • /
    • v.11 no.2
    • /
    • pp.199-209
    • /
    • 2008
  • In a recent paper, Wonbae Choi raises two objections to my interpretation of the argument in Proslogium 3. The first one is that my interpretation is not new, and the second one is that there is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which is better than mine. I defend my interpretation against them. I also touch on a related issue which can be derived from his second objection.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