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침습

검색결과 217건 처리시간 0.026초

경골 원위부 골절에서 최소 침습적 잠김 압박 금속판 고정술과 함께 최소 절개를 통한 골절편간 지연 나사 고정술을 시행한 경우의 치료 결과 (Clinical Outcomes of Combinations of Locking Compression Plate Fixation through Minimally Invasive Precutaneous Plate Osteosynthesis and Interfragmentary Screw Fixation in Distal Tibia Fracture)

  • 정형진;추지웅
    •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6-142
    • /
    • 2013
  • Purpose: To analyze the outcome of distal tibia fracture treated with the Distal Tibia LCP with combination of interfragmentary screw.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January 2008 and March 2012, data of 34 patients with fracture of distal tibia treated with the Distal Tibia LCP with or without combination of interfragmentary screws were reviewed. There were 17 males and 17 females with an average age of 51.8 years (range, 18~77 years). Radiographic union time and time from surgery until ability to full weight bearing were measured and compared. Callus index was measured as quotient of callus thickness and diameter of corticalis both in AP and sagittal direction. Results: 12 fractures were treated with interfragmentary screws and 22 fractures were treated with bridging plate alone. In interfragmentary fixation group, time to full weight bearing was 14 weeks versus 15.75 weeks without screw. Callus index at bearing was not significantly lesser in patients with screw compated with those without, but callus index difference at posterative 4weeks was sigficant. Radiologic union time was 11.3 weeks in interfragmentary fixation group and 12.58 weeks without screw. Conclusion: The osteosynthesis with the Distal tibia LCP with combination of interfragmentary screw seems to be more stable in postoperative 4weeks than Distal tibia LCP alone, expecting to earlier ROM exercise and rehabilitation.

크루존씨 병에서 최소침습 절개법 Le Fort III 절골술을 통한 RED II 골 신연술 후 조기 고정 1례 (A Case Report of RED II Distraction Osteogenesis and Early Rigid Fixation by Minimal Invasive Approach Le Fort III Osteotomy in Crouzon's Disease)

  • 김영석;이지나;박병윤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4권1호
    • /
    • pp.123-127
    • /
    • 2007
  • Purpose: Rigid external distraction(RED) is a highly effective technique for correction of maxillary hypoplasia in patients with cleft or syndromic craniosynostosis. Despite many advantages of RED, it also has the problem of relapse as the conventional advancement surgery. Bicoronal approach, that is the common approach to gain access to the craniofacial skeleton, had some morbidity, such as hair loss, sensory loss, wide scar and temporal hollowing. We present our clinical experience of RED distraction with minimal invasive approach and early rigid fixation to overcome these disadvantages. Methods: A 27-year-old female patient with Crouzon's disease underwent Le Fort III osteotomy and RED device application through the minimal invasive direct skin incisions. After the latent period of 5 days, distraction was undertaken until proper convexity and advancement were obtained. During the rigid retention period, inflammation occurred on the right cheek, and proper conservative managements were done including continuous irrigation. To maintain the stability of distraction, early rigid fixation was undertaken on the osteotomy sites through another skin incisions.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orthodontic treatments were performed. Serial photographs and cephalometric radiographs were obtained preoperatively, after distraction and 6 months after distraction. Results: The cephalometric analysis demonstrated postoperatively significant advancement of the maxilla and improvement of facial convexity. After 6-month follow-up period, the maxilla was stable in the sagittal plane and no relapse was found. Facial scars were not noticeable and other deformity and morbidity did not occur. Conclusion: This effective and stable technique will be a good alternative for the patients who need large amount of distraction and for adult patients with severe maxillary hypoplasia or syndromic craniosynostosis.

da $Vinci^{TM}$ 수술로봇을 이용한 심장수술 - 첫 번째 치험 보고 (First Experience of Cardiac Surgery using da $Vinci^{TM}$ Surgical System in Korea)

  • 박성용;이삭;주현철;양홍석;박영환;박한기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0권2호
    • /
    • pp.128-131
    • /
    • 2007
  • da $Vinci^{TM}$ 수술로봇(da $Vinci^{TM}$ Surgical System)은 삼차원영상시스템과 사람의 손동작을 재현할 수 있는 로봇팔을 갖추고 있어, 최소절개를 통한 제한된 공간에서도 입체시야에서 다양한 수술을 시행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최소침습적수술의 장점을 극대화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저자들은 심방중격결손에 대하여 da $Vinci^{TM}$ 수술로봇을 이용한 개심수술을 성공적으로 시행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흉강경하 최소절개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폐쇄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s through a Video-assisted Mini-thoracotomy)

  • 민호기;양지혁;전태국;박표원;최선우;박승우;민선경;이재진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5호
    • /
    • pp.568-572
    • /
    • 2008
  • 배경: 이미 여러 외과 영역에서 내시경수술이 보편화 되었고, 심장외과 영역에서도 그간 무펌프 관상 동맥우회술이나, 최소절개 또는 변형된 흉골절개 등을 이용한 최소침습수술이 꾸준히 시도되어 왔다. 하지만, 시야확보 및 체외순환을 위한 흉골절개의 필요성 때문에 이러한 변화에 둔감했던 것이 사실이다. 최근 로봇을 이용한 내시경 심장수술이 도입되는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나 고가의 장비가 필요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저자는 기존의 흉강경을 이용하여 심방중격결손의 폐쇄를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5월부터 2008년 2월까지 15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흉강경을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를 시행하였다. 수술 시 평균 연령은 $31{\pm}6$세였고 이들 중 2명을 제외하고는 모두 여자였다. 술전 심초음파상 심방중격결손의 평균 크기는 $24{\pm}5mm$였고, 삼첨판을 통한 압력차는 $30{\pm}5$ mmHg로 측정되었다. 삼첨판 페쇄부전은 3명에서는 경-중도였고 나머지에서는 경도 이하였으며, 1명에서 경-중도의 승모판폐쇄부전이 동반되었다. 수술은 우측 내경정맥과 대퇴동-정맥으로 캐뉼라를 삽관하여 체외순환을 시행하고, 유방하구를 따라 $4{\sim}5cm$의 소절개를 한 뒤 제4늑간을 통한 작업창과 흉강경으로 시야를 확보하며 심내교정을 시행하였다.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는 11명에서는 자가심낭을 이용하였고 4명에서는 일차봉합하였다. 관련 술기로는 3예의 삼첨판 성형술과 1예의 승모판 성형술을 시행하였다. 체외순환시간은 $160{\pm}47$분, 대동맥차단시간은 $70{\pm}26$분이었다. 결과: 술 후 사망 또는 주요합병증은 없었다. 3예에서 수혈이 필요하였고, 흉관제거 후 기흉이 관찰된 1예와 창상치유가 지연되었던 1예, 일시적인 부정맥의 1예 외에 별다른 합병증 없이 술 후 $5.9{\pm}1.8$일째 퇴원하였다. 술 후 시행한 심초음파 상 잔여 단락은 없었으며, 삼첨판폐쇄부전은 전예에서 경도 이하였다. 평균 추적관찰 기간은 $10.7{\pm}6.4$개월이었고 3명의 환자가 마지막 외래 방문 시 우측 가슴이나 대퇴부 안쪽의 감각이상을 호소하였으나 그 외 이상소견은 없었다. 결론: 저자들은 기존의 흉강경 장비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페쇄로 술 후 만족할만한 임상적, 미용적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그러나, 아직까지 수술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완전히 폐쇄된 공간 안에서의 수술이 아니고 작으나마 개흉이 필요하므로 향후 경험과 장비 면에서 보완이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심폐바이패스 없이 시행하는 관상동맥우회술과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의 병합요법 : 적응증 및 조기성적 (Hybrid Off-pump Coronary Artery Bypass Combined with Percutaneous Coronary Intervention: Indications and Early Results)

  • 황호영;김진현;조광리;김기봉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8권11호
    • /
    • pp.733-738
    • /
    • 2005
  • 배경: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과 최소침습성 관상동맥우회술을 병합하여 시행하는 하이브리드 관상동맥우회술(hybrid coronary artery bypass surgery; hybrid CABG)는 고위험군 환자에서 심근의 불완전한 재관류가 예상되는 경우에 수술관련 유병률을 낮추고 완전 재관류화를 이루기 위하여 적용할 수 있다. 대상 및 방법: 1998년 1월부터 2004년 7월 사이에 심폐바이패스를 사용하지 않고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한 782명의 환자 중에서 수술 전, 후에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같이 시행한 25명$(3.2\%)$의 환자들(M : F=17:8)을 대상으로 임상적 결과 및 심혈관 조영술을 통한 개존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수술 전에 중재술을 시행한 8예 중 7예는 최소절개 관상동맥우회술을 시행하기에 부적합한 병변에 대해서 경피적 관상동맥중재술을 시행하였고, 다른 1예는 급성심근경색증에서 culprit병변에 대한 응급 중재술후 관상동맥우회술이 필요했던 경우였다. 수술 후 중재술을 시행한 17예는 관상동맥의 중등도 병변($70\~90\%$ 협착)으로 수술 후 이식도관과의 경쟁혈류가 예상되었던 경우 8예, 관상동맥병변이 혈관 전체에 광범위하여 혈관문합이 불가능했던 경우 5예, 상행대동맥 석회화를 동반하면서 이용 가능한 동맥 우회도관의 부족 3예, 그리고 심근내 관상동맥의 주행 1예 등에서 관상동맥우회술 후에 대상혈관에 대한 경피적 중재술을 시행하였다. 관상동맥우회술시 평균 원위부 문합수는 평균 $2.3\pm1.0$ 개소였으며, 중재술로 치료된 병변의 수는 평균 $1.2\pm0.4$개소였다. 중재술 및 수술관련사망은 없었다. 중재술관련 합병증으로 심근경색이 발생한 경우 1예가 있었으며 수술관련 합병증으로는 일시적인 심방세동 5예, 수술전후 심근경색 1예, 일시적 신기능저하 1예가 있었다. 전례에서 수술 후 평균 $1.8\pm1.6$일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여 모든 도관의 개존율$(100\%=57/57)$을 확인하였다 수술 전 중재 술을 시행한 1개소에서는 중재술 부위의 재협착소견이 보여 수술 후 조영술시 재풍선확장술로 치료하였다. 수술 후 추적관찰(평균 $25\pm26$개월)동안 1예에서 심부전으로 사망하였다. 생존한 환자 24예에서 술 후 평균 $9.6\pm3$개월째에 관상동맥조영술을 시행하였고 이식도관이 string 징후를 보인 1예를 제외하고 모두 개존(56/57)되어 있었으며, 약물용출형 스탠트를 시행하기 이전의 12예의 중재술 중 2예에서 $50\%$ 이상의 스텐트 협착이 있었으나 흉통의 재발은 없었다. 결론: 하이브리드 관상동맥 우회 술은 수술위험도를 낮추기 위하여 최소절개 관상동맥우회술과 병합하여 시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선택적 환자들에서는 정중 흉골절개 관상동맥우회술과 병합하여 수술관련 유병률을 낮추고 심근의 완전 재관류화를 도모할 수 있었다.

흉부외과 의사에 의해 시행된 복부 대동맥류의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 -3예 보고 - (Stented Aortic Graft Insertion in an Infrarenal Abdominal Aortic Aneurysm as Performed by Cardiovascular Surgeons - Report of 3 cases-)

  • 정의석;임청;성용원;최진호;박계현;정우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41권3호
    • /
    • pp.377-380
    • /
    • 2008
  • 복부 대동맥류는 수술적 치료가 일반적으로 행해져 왔으나, 최근 스텐트 그라프트가 새로운 치료법으로 소개되고 있다. 본 병원에서 고혈압, 뇌졸중으로 및 신기능의 저하 등으로 거동이 불가능한 고위험 군의 복부대동맥류 환자에서, 흉부외과의사가 스탠트 그라프트를 시행한 경험을 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최소침습수술을 위한 복강경 매니퓰레이터 제어 (Laparoscope Manipulator Control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김수현;김광기;조영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7권7호
    • /
    • pp.685-696
    • /
    • 2011
  • An efficient laparoscope manipulator robot was designed to automatically control the position of laparoscope via a passive joint on end-effector position. The end position of the manipulator is controlled to have corresponding velocity defined in the global coordinate space using laparoscopic visual information. Desired spatial position of laparoscope was derived from detected positions of surgical instrument tips, then the clinical viewing plane was moved by visual servoing task. The laparoscope manipulator is advantageous for automatically maintaining clinically important views in the laparoscopic image without any additional operator. A laparoscope is mounted to a holder which is linked to four degree of freedom manipulator via universal joint-type passive rings connection. No change in the design of laparoscope or manipulator is necessary for its application to surgery assistant robot system. Expanded working space and surgical efficiency were accomplished by implementing slant linking structure between laparoscope and manipulator. To ensure reliable positioning accuracy and controllability, the motion of laparoscope in an abdominal space through trocar was inspected using geometrical analysis. A designed laparoscope manipulating robot system can be easily set up and controlled in an operation room since it has a few subsidiary devices such as a laparoscope light source regulator, a control PC, and a power supply.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 후 발생한 폐 색전증 - 2례 보고 - (Pulmonary Embolism Complications after Knee Arthroscopy - 2 Cases Report -)

  • 경희수;백승훈;김성중;손수민;양동렬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112-117
    • /
    • 2006
  • 심부 정맥 혈전증(deep vein thrombosis)과 폐색전증(pulmonary embolism)은 정형외과적 수술 후 발생할 수 있는 심각하고 치명적인 합병증이다. 대부분의 시술은 인공관절 치환술등 절개가 큰 시술 후에 발생한다. 반면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 같은 최소 침습적 수술의 경우, 그 위험도 및 예방적 조치에 대해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고 있다. 슬관절의 관절경적 시술 후 발생한 폐색전증의 국외보고는 다소 있으나 국내보고는 아직 없어 2례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 PDF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최근 국내 성적과 발전방향 (Endoscopic Resection of Early Gastric Cancer in Korea: Recent Results and Future Directions)

  • 이준행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9권2호
    • /
    • pp.39-45
    • /
    • 2009
  • 국내에서 조기위암에 대한 내시경절제술은 잘 선택된 환자에서 적용시 매우 좋은 성적을 보이는 치료법으로 중요한 치료로 자리를 잡았다. 그러나 내시경절제술의 적응증, 최선의 치료 술기, 합병증의 예방과 치료 및 추적관찰 등의 분야에서 아직 명확히 확립되지 못한 부분이 있다. 최근 국내에서 조기위암 내시경절제술에 대한 대규모의 다기관 연구의 성적들이 보고되지 시작하였다. 내시경 점막 절제술이 최소 침습 시술이고 수술과 달리 시술 후 장기 보존이 가능해 환자의 삶의 질이 우수하다는 점, 최근 내시경 시술과 기기의 발전으로 인해 절제 가능한 병변의 크기에 제한이 없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내시경 점막 절제술은 국내에서 조기 위암 치료의 중요한 치료 수단으로서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고에서는 조기위암 내시경 절제술에 대한 최근 국내 결과를 요약하고 향후 발전방향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 PDF

MR 환경에서 사용을 위한 5자유도 광학식 힘센서 (5-D.O.F. Force/moment Sensor using Optical Intensity Modulation in MR-field)

  • 김민규;이동혁;조남규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20-528
    • /
    • 2013
  • A 20 mm diameter of small 5-D.O.F. force sensor has been developed for applications in MR-field Optical intensity modulation was adopted for transducing to miniaturize the sensor structure. For its accurate sensing of 5-D.O.F. force/moment, the elastic detecting module was designed to respond independently to each force or moment component. And for small size, two optical transducing modules of 2-D.O.F. and 3-D.O.F. were designed and integrated with the detecting module where optical fibers were arranged in parallel to make the sensor small. It is confirmed by calibration test that the detecting modules deforms linearly and independently to the input force. The results of evaluating test show that the range and resolution of forces are ${\pm}4$ N and 0.94~7.1 mN and the range and resolution of moments are ${\pm}120N{\cdot}mm$ and $0.023{\sim}0.034N{\cdot}m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