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소자승 추정법

검색결과 234건 처리시간 0.019초

경기만 염하수로에서의 잔차류 및 수송량의 대조-소조 변동과 단면 특성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 and Spring-Neap Variation of Residual Current and Net Volume Transport at the Yeomha Channel)

  • 이동환;윤병일;우승범
    • 한국해안·해양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5호
    • /
    • pp.217-227
    • /
    • 2017
  • 경기만 염하수로에서 시 공간적으로 변화하는 총수송량과 잔차류를 산정하고자 소조기와 대조기에 염하수로의 하류(정선-1), 염하수로 중간 지점(정선-2)에서 13시간 동안 단면 유속을 관측하였다. 총수송량은 Eulerian flux와 Stokes drift의 합인 Lagrange flux로 계산하였고, 잔차류는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총수송량과 잔차류의 계산은 관측 시간별, 수평 수직 sigma 좌표계로 변환하여 수행하였다. 변환된 sigma 좌표체계는 z-level 좌표 체계와 비교하였을 때 주 방향 유속 오차가 3~5% 내외로 자료 분석에 무리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분석결과 단면 잔차류는 정선-1에서는 대조기에 주 수로 방향에서 북향, 수로 양 끝 단에서 남향하였으며, 소조기에는 수직적으로 표층에서는 창조, 저층에서는 낙조하는 이층흐름 구조를 보였다. 반면 정선-2에서는 대조, 소조 모두 남향(낙조)하였다. 한편 총수송량은 정선-1에서는 대조 시와 소조 시에 각각 $359m^3s^{-1}$, $248m^3s^{-1}$로 북향(창조), 정선-2에서 대조 시와 소조 시에 각각 $576m^3s^{-1}$, $67m^3s^{-1}$로 남향(낙조)하였다. 정선 별 공간 수송량 차이로 영종도와 강화도 사이의 조간대 지역의 순 유출량을 추정하였으며, 크기는 대조기와 소조기에 각각 $935m^3s^{-1}$, $315m^3s^{-1}$로 나타났다. 이처럼 대 소조기와 공간적 특성에 따라 잔차류와 순 수송량이 변화되는 주된 요인은 순압력구배와 Stokes drift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이다.

돼지의 이유후형질(離乳後形質)에 미치는 품종(品種) 및 환경(環境)의 효과(效果) (Effects of Breeds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ertain Postweaning Traits in Swine)

  • 상병찬;한성욱;정홍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48-55
    • /
    • 1993
  • 본 연구(硏究)는 1986년부터 1990년까지 충청남도(忠淸南道) 도립종축장(道立種畜場)에서 사육된 Landrace, Large Yorkshire 및 Duroc종의 후보종 모돈 115두의 이유후 형질(形質)에 대한 능력검정(能力檢定) 자료를 근거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품종(品種), 산차(産差), 분만년도(分娩年度) 및 분만월(分娩月)이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료요구율, 등지방층두께, 90kg도달일령 및 선발지수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였던 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이유후형질(形質)의 전체평균은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료요구율, 등지방층두께, 90kg도달일령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 각각 $922.25{\pm}17.25$g, $2.85{\pm}0.04$, $2.03{\pm}0.04$cm, $135.44{\pm}1.38$일 및 $168.33{\pm}2.42$이었다. 2. 품종의 효과(效果)에 있어서는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90kg도달일령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 고도의 유의차(有意差)(P<0.01)가 인정되었으며, 등지방두께에 있어서도 유의차(P<0.05)가 나타났다. 품종별로는 Duroc종이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90Kg도달일령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는 각각 977.23g, 132.47일 및 172.35로 가장 우수하였고, 등지방층두께는 Landrace종이 1.95cm로 가장 얇었다. 3. 산차(産差)의 효과(效果)에 있어서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은 고도의 유의차(有意差)(P<0.01)가 인정되었으며, 등지방층두께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도 유의차(有意差)(P<0.05)가 인정되었고, 산차(産差)로는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및 선발지수(選拔指數)가 3산차(産差)와 4산차(産差)에서 각각 974.92g, 177.61, 959.48g 및 1774.84로 가장 우수하였다. 4. 분만년도의 효과(效果)에 있어서는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 사료요구율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 고도의 유의차(P<0.01)가 인정되었으며, 분만월에 있어서도 일당증체량(日當增體量)에서 고도의 有意差(P<0.01)가 인정되었고, 등지방층두께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는 유의차(有意差)(P<0.05)가 있었으며, 분만월별로는 3월분만이 일당증체량 및 선발지수(選拔指數)에서 각각 968.22g, 174.54로 가장 우수하였다.

  • PDF

Holstein종 유우(乳牛)의 비유량(泌乳量) 및 유조성분(乳組成分)에 미치는 유전(遺傳) 및 환경(環境)의 효과(效果)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Lactation Yield and Milk Compositions in Holstein Cow)

  • 상병찬;서길웅
    • 농업과학연구
    • /
    • 제21권1호
    • /
    • pp.45-53
    • /
    • 1994
  • 본(本) 연구(硏究)는 1990년부터 1991년까지 국립종축원에서 사육한 Holstein종 159두에서 조사된 성적을 근거로 최소자승법을 이용하여 종모우(種牡牛), 분만계절(分娩季節)및 산차(産差)가 비유량(泌乳量)인 유량(乳量) 및 유지방량과 유조성분(乳組成分)인 유지율(乳脂率),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무지고형분율(無脂固型紛率)및 총고형분율(總固型紛率)에 미치는 효과(效果)를 추정하였던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비유량(泌乳量)에 있어서 유량(乳量)및 유지량(乳脂量)은 각각 $7,26.56{\pm}3,57.24$$230.95{\pm}43.56Kg$ 이었고, 유조성분(乳組成分)에 있어서는 유지율(乳脂率),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무지고형분율(無脂固型紛率) 및 총고형분율(總固型紛率)에 있어서 각각 $3.69{\pm}0.43$, $3.32{\pm}0.41$, $9.15{\pm}0.49$$12.75{\pm}0.96%$ 이었고, 변이계수는 유량, 유지량, 유지율 및 유단백질율에서 각각 18.68, 17.64, 11.88 및 12.34%이었다. 2. 종모우(種牡牛)의 효과(效果)에 있어서는 유량(乳量)과 유지량(乳脂量)및 유지율(乳脂率)에서 고도의 유의차 (P<0.01)가 인정되었으며,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및 총고형분율(總固型粉率)에서도 유의차 (P<0.05)가 인정되었다. 모우별(牡牛別)로는 유량(乳量)에서 B, L, 및 O 종모우(種牡牛)가 각각 7,571.22, 7,499.11 및 7,420.58Kg으로 가장 우수하였고, 유단백질율에서는 A, F 및 K 종모우가 각각 3.75, 3.64 및 3.65%로 다른 종모우에 비하여 높았다. 3. 산차(産差)의 효과(效果)에 있어서 유량(乳量)에서 고도의 유의차 (P<0.01)가 인정되었으며, 유지방량 및 유지율(乳脂率)에서는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고, 산차별(産差別)로는 유량(乳量)과 유지방량에서 3산차(産差)가 각각 7,634.54 및 274.98Kg로 가장 우수하였고, 유지율 및 유단백질율에서는 4산차 이상이 각각 3.90, 3.50%로 다른산차에 비하여 높았다. 4. 분만계절(分娩季節)의 효과(效果)에 있어서는 유량(乳量)에서 고도의 유의차 (P<0.01)가 인정되었으며 유지량(乳脂量), 유지율(乳脂率), 유단백질율(乳蛋白質率), 및 총고형분율(總固型紛率)에서 유의차(P<0.05)가 인정되었으며, 분만계절별(分娩季節別)로는 유량(乳量)에 있어서 봄과 겨울이 각각 7,310.31 및 7,364.57Kg로 우수하였고, 유단백질율에 있어서는 봄과 가을이 각각 3.68 및 3.52%로 우수하였다.

  • PDF

한우(韓牛)와 Holstein종(種) 교잡우(交雜牛)의 발육(發育) 및 비유능력(泌乳能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ifferences in Growth and Milk Production Performance between Holstein Crossbreds and Korean Native Cattle)

  • 임흥순;한성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72-81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한우(韓牛) 암소에 Holstein종(種) 수소를 교배(交配)하여 생산(生産)된 1대(代) 잡종(雜種)의 발육능력(發育能力)과 필유능력(泌乳能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3년(年)부터 1978년(年)까지, 6개년간(個年間)에 걸쳐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축산(畜産) 시험장(試險場)에서 생산사육(生産飼育)된 한우(韓牛) 빈우(牝牛)15두(頭)와 Holstein 교잡종(交雜種) 빈우(牝牛) 11두(頭)를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하였다. 체중(體重)은 생시(生時)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체형(體型)은 6개월령(個月令)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그리고 필유능력(泌乳能力)은 분만후(分晩後) 11일(日)부터 180일(日)까지 조사(調査)하였다. 교배조합(交配組合),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Harvey의 최소(最少) 자승법(自乘法)을 이용(利用)하였으며, 그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우순종(韓牛純種)은 Holstein교잡종(交雜種)에 비(比)하여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체중(體重)이 가벼웠으며 생시(生時), 6개월령(個月令), 12개월령(個月令), 24개월령(個月令) 및 36개월령(個月令)에서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2.45kg, 132.82kg, 220.68kg, 363.54kg 및 365.54kg인데 대(對)하여 Holstein교잡종(交雜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8.09kg, 146.64kg, 254.48kg, 392.04kg 및 454.46kg이었다. 2. 체중(體重)에 미치는 분만년도(分晩年度)의 효과(效果)는 생시(生時)를 제외(除外)하고 육성기(育成期)의 발육(發育)에 많은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생시(生時)부터 6개월령(個月令)까지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을과 봄에 출생(出生)한 송아지가 여름과 겨울에 출생(出生)한 송아지보다 더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산차(産次)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5 산차(産次)의 송아지가 다른 산차(産次)의 송아지보다 각(各) 월령(月令)에서 더 무거운 체중(體重)을 나타내는 경향(傾向)이었다. 4. 체위(體位)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24개월령(個月令)에 체고(體高), 십자부고(十字部高), 흉심(胸深), 흉위(胸圍), 요각폭(腰角幅)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나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는 대부분 체부위(體部位) 발육(發育)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5. 필유량(泌乳量)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月令)에 걸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고, 산차(産次)는 분만후(分晩後) 11~30일간(日間)에서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6.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일일평균(一日平均) 필유량(泌乳量)은 3.6kg, Holstein 교잡종(交雜種)은 8.26kg 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