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최대 양자수율

Search Result 27,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of LED Lamps (LED 램프의 광합성유효광양자속이 오이접목묘의 엽록소형광, 엽록소함량, 활착 및 생장에 미치는 영향)

  • Kim, Hyeong Gon;Lee, Jae Su;Kim, Yong Hyeon
    • Journal of Bio-Environment Control
    • /
    • v.27 no.3
    • /
    • pp.231-238
    • /
    • 2018
  •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s affected by photosynthetic photon flux (PPF) of LED lamp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Four PPF levels, namely 25, 50, 100, $150{\mu}mol{\cdot}m^{-2}{\cdot}s^{-1}$ were provi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ight intensity on the chlorophyll fluorescence, chlorophyll content, graft-taking and growth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Air temperature, relative humidity, and photoperiod for graft-taking were maintained at $25^{\circ}C$, 90%, $16h{\cdot}d^{-1}$, respectively. Maximum quantum yield (Fv/Fm) of rootstock as affected by PPF was found to be 0.84-0.8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change in Fv/Fm. Even though Fv/Fm of scion measured at 2 days after grafting was lowered to 0.81-0.82, after then it grad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PPF. At 4 days after grafting, the chlorophyll content extracted from sc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PPF. Graft-taking ratio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was 90-95% as PPF was ranged from $25{\mu}mol{\cdot}m^{-2}{\cdot}s^{-1}$ to $100{\mu}mol{\cdot}m^{-2}{\cdot}s^{-1}$. However, the graft-taking ratio of grafted seedlings healed under PPF of $150{\mu}mol{\cdot}m^{-2}{\cdot}s^{-1}$ was decreased to 80%. Maximum PPF measured required for smooth joining of rootstock and scion was assumed to be $100{\mu}mol{\cdot}m^{-2}{\cdot}s^{-1}$. At healing stage of grafted cucumber seedlings, Fv/Fm of scion decreased and at least two days after grafting were required for rooting of grafted seedlings. Chlorophyll fluorescence response of rootstock and scion was linked to light irradiation. Therefore, it was concluded that physical environment including light and humidity during healing process of grafted seedlings should be controlled more precisely to facilitate root formation and to prevent scion from lowering Fv/Fm. Further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ot development and joining of vascular bundles of grafted seedlings on the chlorophyll content of scion.

Growth and Photochemical Reactions of South Korea Two Broad-leaved Evergreen Species according to Light Intensity (광량에 따른 자생 상록활엽 2종의 생육 및 광화학반응)

  • Jang, Bo Kook;Lee, Cheol Hee;Oh, Chan-Jin;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7-57
    • /
    • 2019
  • 실내 수준에서 조사되는 광량조건에 따른 자생 상록활엽 2종의 생육과 광화학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3년생 사철나무(Euonymus japonicus Thunb.) 및 2년생 돈나무[Pittosporum tobira (Thunb.) W. T. Aiton] 실생묘로 유리온실에서 재배하면서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내 광량은 10, 50, 100 및 200 PPFD(${\mu}mol{\cdot}m^{-2}{\cdot}s^{-1}$)로 달리하여 8주간 재배하였으며,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조건은 고정되었다. 생육특성 및 광화학반응의 요인들이 측정되었으며, 동일기간 동안 유리온실에서 재배된 식물을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실험의 결과, 사철나무는 100, 200 PPFD의 광량에서 대조구에 비해 초장, 줄기직경, 엽수 및 엽장의 생육반응이 우수하였으며, 엽록소함량은 100 PPFD 이상의 광량에서 감소하였다. 또한 100 PPFD 이상의 광량에서 스트레스지수(Fm/Fo), 최대양자수율(Fv/Fm) 및 전자전달효율(ETo/RC)이 감소하였으며, 이는 대조구와도 유사한 경향이었다. 돈나무는 모든 광량조건에서 줄기직경과 엽폭을 제외하고 대조구와 관계없이 생육반응이 일정하였다. 그러나 스트레스지수와 최대양자수율은 10 PPFD 처리구에서 가장 낮게 조사되었고, 비광학적 에너지의 손실(DIo/RC)은 2.53으로 가장 높았다.

  • PDF

Growth Responses of Two Lauraceae Species under Indoor Light Intensity (실내 광량조건에서 녹나무과 2종의 생육반응)

  • Jang, Bo Kook;Lee, Cheol Hee;Oh, Chan-Jin;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55-55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내에 조사되는 다양한 광량하에서 녹나무과 목본 2종을 재배하면서 생육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참식나무[Neolitsea sericea (Blume) Koidz.]와 후박나무(Machilus thunbergii Siebold & Zucc.)의 3년생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험공간은 광량을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달리하였으며,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 조건이 동일하게 유지되는 밀실로 조성되었다. 각 광량조건 하에서 8주간 재배된 식물의 생육특성 및 광화학반응이 조사되었으며, 유리온실에 동일 기간동안 재배한 식물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참식나무는 광량에 관계없이 초장을 제외한 전반적인 생육반응이 유사하였으며, 엽록소함량(SPAD)은 광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최대양자수율(Fv/Fm) 및 스트레스지수(Fm/Fo)는 200 PPFD에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는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후박나무는 대조구와 비교하여 모든 광량조건에서 초장이 감소하였으며, 특히 10 PPFD에서는 잎의 탈락에 따른 관상가치가 저하되었다. 엽록소함량은 100, 200 PPFD 광량에서 감소하였으며, 대조구도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유리온실의 대조구와 100, 200 PPFD 광량에서 최대양자수율, 스트레스지수 및 PSII 성능지수(Pi_Abs)의 유의한 차이가 확인되었다.

  • PDF

Growth Responses of Two Evergreen Species (Rosaceae) Native to Korea according to Indoor Light Conditions (실내 광조건에서 자생 상록 장미과 2종의 생육반응)

  • Lee, Ha Min;Lee, Cheol Hee;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61-61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실내 광조건에서 자생 장미과 상록 활엽 목본 2종의 생육반응을 조사하였다. 식물재료는 다정큼나무[Rhaphiolepis indica var. umbellata (Thunb.) Ohashi]와 비파나무[Eriobotrya japonica (Thunb.) Lindl.]의 3년생 실생묘를 사용하였다. 실내 광량은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설정되었으며,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 주기는 일정하게 유지하였다. 실내에서 8주간 재배한 다음 유리온실에서 동일 기간동안 재배된 대조구와 생육 및 광합성 능력 등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다정큼나무의 생육은 200 PPFD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줄기직경은 광량과 정비례하는 경향이었다. 엽수는 대조구에 비해 고 광량(100, 200 PPFD)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결과를 보였다. 처리 별 최대 양자수율(Fv/Fm) 및 광계II 성능지수(Pi_Abs)는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광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비파나무는 재배기간 동안 광량에 관계없이 생육변화가 크지 않았으나, 엽록소함량은 200 PPFD에서 가장 많았다. 한편 10 PPFD에서는 모든 개체의 잎 고사에 따른 관상가치가 하락하였다. Fv/Fm은 200 PPFD에서 대조구와 유사한 수준이었으며, Pi_Abs는 저광량(10, 50 PPFD) 조건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수치였다.

  • PDF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Porphyra yezoensis Ueda Measured in situ by Diving Pulse-Amplitude Modulated (PAM) Fluorometry on the Southwest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남서해역에서 양식되는 방사무늬김(Porphyra yezoensis Ueda)의 Diving-PAM에 의한 광합성 특성)

  • Kim, Jeong Bae;Lee, Won-Chan;Kim, Hyung Chul;Choi, Hee-Gu;Park, Jung-Im;Cho, Yoonsik;Park, Hwan Hee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 /
    • v.30 no.3
    • /
    • pp.210-218
    • /
    • 2012
  •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s, stable isotope values and photosynthetic rates of Porphyra yezoensis were studied at the main purple lavers production areas on southwestern coast of Korea. The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leaf length, leaf width and weight of Porphyra blades were between 11.6~16.3 (average 13.8) cm, 4.6~6.3 (average 5.4) cm, $1.1{\sim}2.6(average\;1.86)g\;DW\;m^{-2}$, respectively. Photosynthetic pigment of Chl a concentration of Porphyra blades was between $2.18{\sim}17.77(average\;9.65)mg\;DW\;Chl\;a\;m^{-2}$.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s of Porphyra blades was between $201{\sim}317(average\;240)mg\;DW\;g^{-1}$, $39.8{\sim}50.0(average\;43.5)mg\;DW\;g^{-1}$ and C/N ratio 5.0~6.7 (average 5.5). The range of average ${\delta}^{13}C$ and ${\delta}^{15}N$ values of Porphyra blades was between - 25.6 to - 24.0 (average - 24.7)‰ for ${\delta}^{13}C$, and 1.3 to 4.1 (average 2.1)‰ for ${\delta}^{15}N$.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of seaweeds measured by pulse amplitude modulation (PAM) fluorometry was used as an indicator of photosynthetic activity. We use Diving-PAM fluorometry to examine photosynthetic rates of the seaweeds Porphyra yezoensis at each station. Maximum quantum yield of Porphyra blades was between 0.46~0.55 (average 0.52), the variance of the effective PS II maximum quantum yield of the station was broadly similar. Maximum relative electron transport rate (rETRmax) of Porphyra blades was between $4.71{\sim}5.84(average\;5.33){\mu}mol\;electrons\;m^{-2}\;s^{-1}$, the changes of maximum relative electron transport rate (rETRmax) of Porphyra yezoensis were similar to those of PS II maximum quantum yield. Photosynthetic efficiency (${\alpha}$) was between 0.027~0.045 (average 0.036). Minimum saturating irradiance ($E_k$) range was $139{\sim}180(average\;156){\mu}mol\;photons\;m^{-2}\;s^{-1}$. Minimum saturating irradiance ($E_k$) made a difference by station within the area on southwestern coast. Carbon and nitrogen concentrations and photosynthetic rates of Porphyra blades production areas on southwestern coast were broadly similar. The photosynthetic characteristics showed low photosynthetic rates because the low maximum quantum yields and low maximum relative electron transport rate.

Growth Response according to Indoor Light Levels of Two Evergreen Conifer Species Native to Korea (자생 상록 침엽수 개비자나무와 비자나무의 실내 광량에 따른 생육반응)

  • Lee, Ha Min;Lee, Cheol Hee;Oh, Chan-Jin;Cho, Ju Sung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19.10a
    • /
    • pp.60-60
    • /
    • 2019
  • 개비자나무[Cephalotaxus harringtonia (Knight ex Forbes) K. Koch]와 비자나무[Torreya nucifera (L.) Siebold & Zucc.]의 3년생 실생묘를 유리온실에 재배하면서 실험재료로 사용하였다. 실내의 광량을 측정하여 10, 50, 100 및 200 PPFD (${\mu}mol{\cdot}m^{-2}{\cdot}s^{-1}$)로 설정하였다. 광량을 제외한 광주기(12/12 h), 온도($25{\pm}1^{\circ}C$), 습도($55{\pm}3%$) 및 관수(1회/3일)주기를 일정하게 유지시킨 밀실에서 8주간 재배하였다. 유리온실에서 재배중인 식물과 광량별 처리구의 초장, 줄기직경, 엽수, 엽장, 엽폭, 엽록소함량(SPAD) 및 광화학반응을 평가하였다. 개비자나무의 생육결과, 모든 광량조건에서 줄기직경과 엽록소함량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초장, 엽폭의 경우 대조구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스트레스지수(Fm/Fo), 최대양자수율(Fv/Fm) 및 광계II 성능지수(Pi_Abs)는 대조구에 비해 모든 광량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10 PPFD의 광량을 제외한 처리구에서 재배된 비자나무의 초장, 줄기직경, 엽장, 엽폭은 대조구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한편, 엽수와 엽록소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우수하였다. Fm/Fo, Fv/Fm, Pi_Abs 및 비광학적 에너지의 손실(DIo/RC)은 모든 광량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측정값을 나타냈다.

  • PDF

Annual Moisture Content Variation of Pinus banksiana and Quercus glauca (방크스소나무와 종가시나무의 연중함수율(年中含水率) 변이(變異))

  • Hong, Byung-Wha;Moon, Chang-Kuck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Forest Science
    • /
    • v.36 no.1
    • /
    • pp.5-8
    • /
    • 1977
  • Monthly and partial variation of moisture contents of Quercus glauca Thunb. and Pinus banksiana Lamb. are investigated. There are monthly and partial insignificant variations of air dried moisture contents in both woods. But in moisture contents in green, former showed minimum rate at middle part, maximum at upper one, seasonally minimum in spring and maximum in autumn, latter showed minimum at lower part, maximum at upper one, seasonally minimum in winter and maximum in summer.

  • PDF

A Study of the Photoelectrochemical Effects of Squaraine Aggregate in Monolayer (스쿠알렌 집합체의 광전기화학적 효과에 관한 연구)

  • Young Soon Kim;Kock-Yee Law;David G. Whitten
    •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v.37 no.7
    • /
    • pp.642-647
    • /
    • 1993
  • Monolayers of pure surfactant squaraine, DSSQ(4-distearyl amino phenyl-4'-dimethylaminophenylsquaraine), were deposited on $SnO_2 $ electrodes by the Langmuir-Blodgett film technique. The DSSQ film exhibits ${\lambda}_{max}$ at ∼530 nm. The absorption is significantly red-shifted from the solution of DSSQ (633 nm in chloroform), suggesting that the squaraine chromophores form aggregates in the LB film. The photogeneration of the squaraine aggregates is studied by measuring the photocurrents in photoelectrochemical cells consisting of the squaraine of the aggregates is found to parallel its absorption spectrum and quantum efficiency as high as 0.3% has been observed. While the photocurrent was attenuated exponentially when stearic acid layers (up to 8 layers) are inserted between the squaraine layer and the electrode, it is nearly extinguished when the squaraine layer is over-coated with 2 layers of stearic acid. A model for the observation is proposed and the roles of the electrolytes and oxygen on the photogeneration process will be discussed.

  • PDF

The Effects of Air Temperature and Age on Soundness of Abies koreana Seeding (대기 온도와 연령이 구상나무 유묘의 건전도에 미치는 영향)

  • Seung-Beom Chae;Han-Na Seo;Hyo-In Lim
    • Proceedings of the Plant Resources Society of Korea Conference
    • /
    • 2020.12a
    • /
    • pp.50-50
    • /
    • 2020
  • 기후변화의 영향으로 자생지에서 고사하고 있는 구상나무 유묘의 대기온도와 연령에 따라 건전도를 파악하고자 지리산 구상나무 실생묘를 대상으로 엽록소형광을 측정하였다. 2020년 7, 8, 9월에 걸쳐 월별 1회씩 연생별(1, 2, 3, 5, 6년생) 20개체를 대상으로 13시, 19시에 개체당 3회 반복 측정하였다. 측정 당시 평균대기온도는 24.6, 26.9, 20.6℃이었으며 잎을 20분간 광을 차단 후 Fv/Fm값을 측정하였다. Fo는 식물이 암적응 된 상태에서 포화광을 조사하기 직전의 형광 초기값이며, Fm은 식물이 암적응 된 상태에서 포화광을 통해 유도된 최대 형광수치를 의미한다. Fv는 Fm-Fo이며, 광화학 반응의 최대 양자수율로 식물의 잎이 광합성을 수행할 수 있는 잠재력을 의미하고 식물의 광합성 활성과 건전도에 대한 지표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건강한 잎의 Fv/Fm값이 0.8을 기준으로 낮은 값은 광계II의 반응 중심이 손상을 잎은 경우이거나 스트레스 환경에 있는 경우이다. 13시 측정 결과 8월 측정값 중 1년생과 3년생이 0.8 이하로 측정되었고 그 외에는 전부 0.8 보다 높게 나타났다. 19시 측정 결과 8월에 1, 2, 3년생이 0.8 이하로 측정되었으며, 9월에는 1년생의 경우를 제외하고 모두 0.8 보다 높게 나타났다. 1, 2, 3년생은 8월의 높은 온도에 영향을 받아 고산지대에 자생하는 구상나무의 특성상 고온에 대한 스트레스를 받은 것으로 판단되며, 연령이 비교적 높은 5, 6년생은 온도변화에 비교적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엽록소형광 측정의 결과를 근거로 3년생 이하의 개체는 온도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반면, 5년생 이상의 개체는 비교적 안정적으로 건전도가 유지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