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33초

스트레칭의 유형에 따른 근활성도 및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의 유지기간 비교 (Comparison of Maintenance Period on Muscle Activity and MVIC according to Type of Stretching)

  • 정진규;이병훈;유재영;김용남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8권8호
    • /
    • pp.1271-1276
    • /
    • 2013
  • 본 연구는 넙다리곧은근에 적용한 정적 및 탄성적 스트레칭의 유지기간을 알아보기 위하여 남성 22명을 대상으로 정적 스트레칭 군 11명과 탄성적 스트레칭 군 11명을 스트레칭 적용 전, 적용 후 30초, 1분 후, 3분 후, 5분 후, 10분 후에 중앙주파수 및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중앙주파수는 시간에 따른 변화와 군 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적 스트레칭군과 탄성적 스트레칭군 모두에서 3분후까지 감소되었다가 증가되었다.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은 시간에 따른 변화와 군 간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정적 스트레칭군은 3분후까지 감소되었다가 그 이후부터 증가되었으며, 탄성적 스트레칭군은 5분후까지 감소되었다가 증가되었다. 결론적으로 스트레칭 적용 후 시간에 따라 변화를 보였으며, 정적 스트레칭보다 탄성적 스트레칭의 효과가 조금 더 길게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을 하는 동안 장요측 수근 신근에서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과 근 구조와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MVIC and Muscle Architecture in the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uscle during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 임영은;김인걸;김태열;윤세원;서삼기;이정우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9권6호
    • /
    • pp.23-30
    • /
    • 2007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the muscle architecture in the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uscle during MVIC. Methods: The muscle area, volume were measured using a ultrasound imaging system to obtain the muscle architecture during the MVIC. For the mechanical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the MVIC was obtained using a dynamometer. Result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VIC and the muscle area (r=0.498, p<0.01) and muscle volume (r=0.602, p<0.001).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VIC and density (r=-0.429, p<0.05). The area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the muscle volume (r=0.699, p<0.001) and density (r=-0.429, p<0.05). In addition,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volume and muscle density (r=0.555, p<0.01). Conclusion: There is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MVIC and the muscle architecture in the extensor carpi radialis longus muscle during the MVIC.

  • PDF

골격근에서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과 근 두께와의 관계 (Maximal Voluntary Contraction and Muscle Thickness Relationship in Skeletal Muscle)

  • 정진규;김양호;김태열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25-37
    • /
    • 2004
  • To provide reflection diagnostical basic-data by ultrasonography intended for 38 male/female students used by ultrasound imaging system and dynamometer, compared the MVIC and muscle thickness take an accurate measurement of elbow flexor and knee extensor of thickness and MVIC, in confirmity with distinction of sex and then analysised of correlation in muscle thickness-MVIC, MVIC-weight, weight-muscle thickness, it shows statiscally significant difference MVIC and muscle thickness according to sex. Also there is a high interrelation between two. As well as it shows that there is a different between sex in the MVIC of same thickness and MVIC of same weight. This difference will be related with preportions of muscle fiber type in view of the results by preceded research, it needs to be prerequisite analysis of difference in sex with a great variety of ways hereafter.

  • PDF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Muscle Activity on Muscle Architectural of Medial Gastrocnemius in Chronic Stroke Patient Based on Ankle Joint Degree)

  • 김태곤;배세현;김경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991-3998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관절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MAS(modified Ashworth scale) 2등급인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근육 두께, 우모각, 근섬유속 길이,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측정은 초음파 영상 촬영장치와 동력계로 이완 시(resting)와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 시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 근육 두께는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얇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얇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서는 이완 시보다 근육 두께가 유의하게 얇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우모각은 마비측이 정상측에 비해 유의하게 작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커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우모각이 유의하게 커짐을 알 수 있었다(p<.001). 근섬유속 길이는 마비측이 정상측보다 유의하게 짧은 것으로 나타났고(p<.001), 발목이 저측굴곡 될수록 짧아짐을 알 수 있었다. MVIC에는 이완 시보다 근섬유속 길이가 유의하게 짧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p<.001). 본 연구를 통해 만성 뇌졸중 환자에서 발목 각도에 따른 근 수축이 내측 비복근의 근 구조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영상구조적 특성을 평가하는 것은 임상적 진단과 치료에 매우 유용한 자료라 생각된다.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 비교 (The Comparison of Low Intensity Eccentric Exercise and Dynamic Stretching on Delayed Onset Muscle Soreness)

  • 이수영;김지윤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0호
    • /
    • pp.4676-4685
    • /
    • 2012
  • 본 연구는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구에 참여하기 5개월 전부터 하지에 규칙적인 운동을 하지 않았던 18명의 20대 건강한 여성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상자들은 전체 3그룹인 대조군, 저강도 원심성 운동군 그리고 동적 스트레칭군에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측정변수로는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 초음파 영상을 통한 근 두께, 근 통증 척도, 무릎관절 가동범위이며 지연성 근육통 유발 전, 유발 후 24시간, 48시간, 72시간에 각각 측정되었다. 저강도 원심성 운동군과 동적 스트레칭군의 운동 프로그램은 지연성 근육통 유발 4주 전에 일주일에 3회씩 각각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과 근 통증 척도에서만 그룹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저강도 원심성 운동은 동적 스트레칭에 비해 근 통증 척도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5). 그러므로 저강도 원심성 운동과 동적 스트레칭이 지연성 근육통의 증상 중 근 통증에 효과적임을 제시하며 또한 저강도 원심성 운동이 동적 스트레칭보다 근 통증을 빠르게 감소시킴으로써 근 통증에 더 효과적임을 제시하고자 한다.

수의적 운동에 의한 정상근과 경직근의 최대 등척성 수축력 변화 (The Change of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ure of the Normal and Spastic Muscles in Voluntary Exercise)

  • 임상완;최은영
    • 대한임상전기생리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1-12
    • /
    • 2005
  • This study aimed at examining the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caused by voluntary exercise and at comparing its aspects of decrease and restoration in their different repeated application, as to the quadriceps muscles of thigh in the subjects composed of patients with spastic hemiplegia and normal adults. Using isokinetic exercise analyser(Biodex Medical Systems Inc., Biodex System 3PRO, U.S.A.), experiment was conducted as to the normal group composed of fifteen adults and the patient group composed of fifteen patients with spastic hemiplegia. As to each group, MVIC(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muscle of thigh caused by voluntary exercise and the aspects of decrease and restoration of the isometric contraction were examined with the method to induce isometric exercise, and their SDI(strength decrement index) and SRI(strength recovery index) were also calculat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As for decrease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both groups showed slow decrease in voluntary exercise, but the normal group showed rapid decrease later phase. 2. As for SDI,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uld be observed in comparison between groups. 3. As for restoration of maximal isometric contraction, both groups showed slow restoration in voluntary exercise, but the normal group showed rapid restoration early phase. 4. As for SRI, comparison between group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voluntary exercise. These results lead us to the conclusions that spastic muscle is characterized by slow decrease and restoration of MVIC in comparison with normal muscle in voluntary exercise.

  • PDF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에 의한 중추신경원의 활동전위 변화 (Changes of Action Potential of Central Neuron by 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 문달주;김계엽;정진규;김수현;김태열
    • The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 /
    • 제18권3호
    • /
    • pp.37-45
    • /
    • 2006
  • Purpose: This study analyzed changes in spinal neuron and action potential of motor unit depending on voluntary contraction on spinal neuron adaptation. Methods: It selected 80 university students in their twenties and divided into experimental groups of 25% MVIC (I), 50% MVIC (II), 75% MVIC (III) and 100% MVIC (IV) depending on maximum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 (MVIC) and performed isometric exercise of plantar flexor muscle to each experimental group with given contraction for 20 times. It measured Mmax, H/Mmax, Hmax latency, V/Mmax, V wave latency before and after exercise, compared method and volume of contraction. Results: H/Mmax rati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among groups (p<0.01) and there was difference in I and IV groups. V/Mmax rati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omparison among experimental groups (p<0.05) and there was difference in I and IV groups. When voluntary contraction level was maximum, changes were greatest. However, no significantly difference was to Mmax, H latency and V wave latency.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mplitude changes of voluntary contraction level, spinal neuron and supra-spinal neuron had a dose connection that the more contraction level, the better central activation seem to decrease highly for a short time.

  • PDF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무릎관절 각도별 스쿼트 융합운동이 넙다리네갈래근의 근력에 미치는 효과 (A Effect of the Squat Convergence Exercise Among Knee Joint Angle on Quadricpes Strength in the Patien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 조상희;이수영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43-52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넙다리네갈래근 중 안쪽빗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강화를 위해 효과적인 스쿼트 운동자세를 제시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무릎넙다리통증증후군이 있는 20명의 환자로 본 연구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대상자들은 무릎관절 굽힘 각도 $45^{\circ}$, $60^{\circ}$, $90^{\circ}$ 자세에서 정적인 스쿼트 융합운동을 30초 동안 총 5회 실시하였다. 측정변수는 넙다리네갈래근의 최대 수의적 등척성 수축력(MVIC), 넙다리네갈래근 각(Q 각)과 넙다리 둘레이며, 무릎관절 자세에 따라 스쿼트 운동 전후로 측정되었으며 그 변화률을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넙다리네갈래근의 무릎관절 각도별 MVIC 변화율은 $90^{\circ}$ 무릎관절 굽힘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p<.05), Q 각과 넙다리 둘레의 변화율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따라서 무릎통증증후군 환자의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를 위해서 무릎관절 $90^{\circ}$ 굽힘된 스쿼트 자세가 효과적임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