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 flavonoid

검색결과 914건 처리시간 0.032초

칠면초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tive Effect of Suaeda japonica Ethanol Extract and Solvent Partitioned Fractions)

  • 이경석;김재춘;손석민;이기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0권6호
    • /
    • pp.804-808
    • /
    • 2011
  • 본 연구는 염생식물이라는 특성으로 인해 갯벌이 발달한 우리나라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칠면초의 항산화활성을 검토하고자 이루어졌다. 70% ethanol로 추출한 추출수율은 9.74%였으며 이를 hexane, chloroform, ethyl acetate, butanol, water로 순차 분획한 수율은 water 층이 원물대비 8.73%로 가장 높은 수율을 보였고 대체적으로 극성이 높을수록 높은 분획 수율을 나타내었다. 하지만 분획물간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산화력을 hydroxyl radical 소거능, hydrogen peroxide 소거능, xanthine oxidase 소거능 등을 측정하여 합성항산화제인 BHA와 비교한 결과 BHA의 80~90% 가량의 활성을 보여주었다.

북극 지의류로부터 분리한 미생물 배양 추출액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Bacterial Culture Extracts Isolated from Arctic Lichens)

  • 김미경;박현;오태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333-338
    • /
    • 2012
  • 지의류는 곰팡이, 조류 및 남조균류의 공생체이다. 본 연구팀은 최근 북극 지의류로부터 분리한 몇몇 미생물 종의 항산화 활성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그들의 높은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Cladonia sp., Sterocaulon sp., Umbilicaria sp. 및 Cetraria sp. 총 4종류의 지의류로부터 5종의 미생물을 새롭게 분리하였고 배양 후, 다양한 용매 추출법으로 그들의 항산화능을 조사하였다. DPPH와 ABTS 자유 라디컬 소거능 측정법 및 FRAP 분석 등을 수행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함량과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분석 역시 수행하였다. 지의류 유래 미생물 배양 추출액 중, Burkholderia sordidicola S5-B(T) 유사 미생물 종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액은 DPPH 분석에서 대조군인 아스코르빈산 (51.3%)에 비해 72.9%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을 뿐만 아니라, 높은 플라보노이드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지의류 유래 미생물 종들은 잠재적으로 천연 항산화제의 원천소재로서 이용가능할 것이다.

아로니아, 블랙커런트, 마키베리의 기능성 성분 및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active Constituents and Biological Activities of Aronia, Blackcurrant, and Maquiberry)

  • 정해정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8호
    • /
    • pp.1122-112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아로니아, 블랙커런트, 마키베리의 생리활성을 비교하기 위하여 총폴리페놀, 총플라보노이드, 총안토시아닌 함량, DPPH radical 소거능,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활성, 환원력, tyrosinase 저해 효과, 아질산염 소거능 등을 측정하였다. 총폴리페놀 함량은 마키베리가 73.66 mg GA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다음으로 아로니아 59.26 mg GAE/g, 블랙커런트 43.70 mg GAE/g 순이었다. 총플라보노이드 함량도 같은 경향을 나타내어 마키베리 28.08 mg/g, 아로니아 24.26 mg/g, 블랙커런트 16.82 mg/g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안토시아닌 함량은 마키베리가 12.82 mg/g으로 가장 높았고, 아로니아와 블랙커런트가 각각 9.52 mg/g과 8.95 mg/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마키베리는 DPPH 및 ABTS radical 소거능, FRAP, 환원력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고, 시료 농도 5 mg/mL에서는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한 ascorbic acid보다 우수한 효과를 보여주었다. 그다음으로는 아로니아가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블랙커런트는 대부분의 기능성 실험 결과 가장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키베리는 천연 항산화제 및 건강 기능성 식품재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한 막걸리의 항산화 및 항비만 활성 (In vitro antioxidant and lipase inhibitory activities of Makgeolli supplemented with Jeju Camellia Mistletoe (Korthalsella japonica Engl.) during fermentation)

  • 고은혜;박은미;김민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3호
    • /
    • pp.235-239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0, 1, 2, 및 4% (w/v)의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를 첨가하여 발효시킨 막걸리의 함량 및 항산화 활성 그리고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함량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의 첨가 결과 DPPH, hydrogen peroxide, nitric oxide 및 superoxide onion 라디칼 소거 활성과 환원력은 상당한 증가를 보였다. 또한,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은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 첨가에 의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제주 동백나무 겨우살이가 막걸리의 항산화 및 pancreatic lipase 저해 활성을 향상시키는 물질로 사료된다.

맥문동의 물추출액 및 에탄올추출액 이용 음료의 산화방지 활성 (Antioxidative Activity of Beverage with Water and Ethanol Extracts of Maegmundong (Liriope platyphylla))

  • 이경애;박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785-791
    • /
    • 2014
  • 맥문동의 물추출액 및 70% 에탄올 추출액을 이용한 음료의 산화방지 활성과 유리아미노산, 무기질, 총사포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분석하였다. 산화방지 활성은 전자공여능과 ABTS 라디탈 소거능으로 측정하였다. 맥문동 에탄올추출액 이용 음료는 물추출액 이용 음료에 비해 총사포닌,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았으나 두 음료의 전자공여능과 ABTS 라디칼 소거활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다. 두 음료에는 6종의 필수 아미노산(이소루신, 루신, 리신, 메티오닌, 트레오닌, 발린)을 포함하여 20종의 아미노산 및 그 유도체가 함유되어 있었다. 맥문동 물추출액 이용 음료와 에탄올 추출액 이용 음료의 주 유리 아미노산은 아스파라긴(58.30, 60.68 mg%), 메티오닌(15.10, 13.95 mg%), 프롤린(12.31, 14.00 mg%), 알라닌(11.05, 11.46 mg%)이었으며 가장 많이 존재하는 무기질은 포타슘(238.68, 244.32 mg%)이었다.

국내 시판되는 식초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Vinegars Commercially Available in Korean Markets)

  • 이선미;최용민;김영화;김대중;이준수
    • 산업식품공학
    • /
    • 제13권3호
    • /
    • pp.221-225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19종 식초 및 식초음료에 대해 항산화활성과 항산화성분의 함량을 측정함으로써 그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발사믹식초가 372.53mg/100mL로 가장 높았으며, 주로 음료용 식초가 조리용 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발사믹 식초가 114.40mg/100mL로 가장 높았으며, 주로 음료용 식초가 조리용 식초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낸 반면에, 유기산 함량에서는 빙초산이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식초의 유기산 함량과 항산화 성분 활성은 상관관계가 없었으며 이는 식초의 유기산이 항산화활성에는 관여하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항산화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난 식초는 발사믹 식초였으며, 주로 음료용식초가 조리용식초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식초의 항산화활성에 주로 기여하는 물질은 폴리페놀 화합물로 생각된다.

율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y of ethanol extracts and fractions from Castanea crenata inner shell)

  • 박찬휘;강현;이성규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9권2호
    • /
    • pp.150-154
    • /
    • 2022
  • 본 연구에서는 율피 추출물 및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in vitro실험을 통하여 조사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율피의 70% 에탄올 추출물에서 39.76 ㎍/mL였고 분획물 중에서는 ethyl acetate 층의 함량이 323.92 ㎍/mL으로 가장 높았다(p < 0.05).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결과 폴리페놀 측정 결과와 유사하게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함량이 13.12 ㎍/mL으로 가장 높았다(p < 0.05). DPPH 라디칼 소거능 측정 결과 ethyl acetate 분획물의 RC50 값이 2.27 ㎍/mL으로 양성 대조군인 ascorbic acid보다 낮은 RC50 값을 나타내었다(p < 0.05). 모든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율피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 중 ethyl acetate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율피를 기능성 소재로서 활용하는데 기초 자료로 쓰일 것으로 기대되며, ethyl acetate 분획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장미과 식물 줄기의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류 함량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Antioxidant Effect and Total Phenolics Content in Rosaceae Plant Stem)

  • 이준영;유주한;김상욱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2호
    • /
    • pp.2129-2134
    • /
    • 2014
  • The antioxidant activities and total phenolics of four Rosaceae species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orbus commixta Hedlund,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yrus pyrifolia (Burm.f.) Nakai were determined. Phenolic content (polyphenol and flavonoid),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and 2,2-azino-bis (3-ethylnezthiazoline-6-sulfoic acid) (ABTS)] and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ere evaluated. Total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were highest in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and lowest in Pyrus pyrifolia (Burm.f.) Nakai. Phenolic contents of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was $331.45{\pm}7.78$ and $90.4{\pm}3.5mg{\cdot}g^{-1}$.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found to be lowest in Sorbus commixta Hedlund whereas Sorbaria sorbifolia var. stellipila Maxim and Pourthiaea villosa (Thunb.) Decne showed relatively good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Ferrous ion chelating effect was highest in Pyrus pyrifolia (Burm.f.) Nakai ($1.05{\pm}0.04mg{\cdot}ml^{-1}$) and lowest in Sorbus commixta Hundlund ($4.22{\pm}0.71mg{\cdot}ml^{-1}$).

제주 동백나무 어린 잎의 페놀류 함량과 항산화 효능 (Phenolic content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young leaves of Camellia japonica L. in Jeju)

  • 정동원;김민영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4호
    • /
    • pp.307-311
    • /
    • 2017
  • 본 연구는 제주 동백나무 어린 잎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페놀류 함량 및 항산화 활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메탄올 추출물과 에탄올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74.9과 46.1 mg GAE/100 g 및 30.6과 21.4 mg RE/100 g이었다. 또한 추출물들은 DPPH, superoxide와 nitric oxide 라디컬 소거능, chelating 및 환원력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로 동백나무 어린 잎이 높은 항산화 효능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차후 기능성 식품 및 약물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진도산 울금(Curcuma longa L.)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활성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urmeric (Curcuma longa L.) Extracts in Jindo Korea)

  • 오다영;김한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393-401
    • /
    • 2019
  • The present study were conducted to determine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antioxidant effects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ducing powe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nd Fe2+ (ferrous ion) chelating capacity] of 70% methanol, chloroform:methanol, 2:1 volume ratio (CM) and ethyl acetate extract of turmeric (Curcuma longa L.). Bioactive compound of tannin $0.125{\pm}0.007mg$ Catechin Equivalent (CE)/g dry weight. Turmeric extracts yield were 70% methanol 16.54%, CM 5.64% and ethyl acetate 4.14%, respectively. Antioxidant activity of the samples exhibited a dose-dependent increase. Results showed that extraction solvent had significant effects on total flavonoid content and antioxidant effects of ethyl acetate. But ferrous ion-chelating capacity of 70% methanol extract was higher than CM and ethyl acetate extract.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turmeric can be utilized as a valuable and potential nutraceutical for the functional food indus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