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 페놀화합물

검색결과 544건 처리시간 0.031초

올리브 잎 분획물의 항균활성 및 아질산염 소거능 (Antimicrobial Activities and Nitrite-scavenging Ability of Olive Leaf Fractions)

  • 이옥환;이희봉;손종연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204-210
    • /
    • 2004
  • 올리브 잎의 식품 가공 시 활용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올리브 잎 80%에탄을 추출물과 용매 분획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총 페놀, 페놀성 화합물, ACE 저해작용, 아질산염 소거능, 항균활성 등을 측정, 비교하였다. 올리브 잎 80% 에탄을 추출물의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5.81%이었고 총 페놀함량은 14.8%이었다. 부탄올층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7.49%로 에틸아세테이트 층(7.13%)과 함께 유의적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고 헥산층이 1.50%로 가장 낮았다. 총 페놀 함량의 경우에도 부탄올층에서 17.5%로 가장 높았고 헥산층(3.4%)과 클로로포름층 (4.3%)은 유의적으로 낮았다. 올리브 잎의 주요 페놀성 물질은 oleuropein 이었으며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 에틸아세테이트층의 oleuropein의 함량은 각각 102.11$\pm$0.02, 173.35$\pm$0.03, 152.71$\pm$0.03mg/100g으로 부탄올층에 가장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항균력은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Bacillus cereus, Staphylococcus aureus, Escherichia coli, 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하여 강한 항균력을 보인 반면 헥산층과 클로로포름층에서는 항균력을 보이지 않았다. 올리브 잎 80% 에탄올 추출물과 각각의 분획물에 대한 ACE 저해효과는 매우 약하게 나타났다. 아질산염 소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층과 에틸아세테이트층에서 각각 72.8%, 76.0%와 75.4%이었고 헥산, 클로로포름 및 물층은 각각 45.8, 43.9, 47.8%의 효과를 보여 유의적으로 낮은 효과를 보였다.

증숙처리에 따른 재래생강 및 중국종자생강의 항산화 및 기능성물질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Functional Compounds in Korean Conventional and Chinese Seed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Following Steam Treatment)

  • 김수진 ;김종신 ;김민지 ;강지연 ;최현정 ;김소연 ;이하은 ;권태혁 ;강미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64-272
    • /
    • 2023
  • 본 연구에서는 재래생강과 중국종자생강 간의 증숙 시간별 총 페놀화합물, 총 플라보노이드, ABTS 및 DPPH 라디칼 소거능, gingerol, shogaol 함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 화합물, ABTS radical 소거능의 경우 대체적으로 증숙 6시간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다가 그 이상으로 증숙할수록 오히려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생강 중에서는 재래생강인 WO-2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증숙 시간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생강의 gingerol 함량은 대조군에서 WO-2가 1,351 mg/k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증숙 시간에 비례하여 gingerol의 함량은 감소하고, shogaol의 함량은 증가하였는데 증숙 8시간에서 WO-2가 생강 중에서도 가장 높았으며, 또한 종자별로도 재래생강이 중국 종자생강보다 shogaol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 재래생강이 중국종자생강보다 기능성 함량이 높음을 확인하였으며 증숙 처리된 재래생강을 활용하여 다양한 식품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게르마늄을 첨가하여 재배한 콩나물에서 영양성분의 함량 분석 (Quantity Analysis of Nutrients in Soybean Sprouts Cultured with Germanium)

  • 김은정;이경임;박건영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150-1154
    • /
    • 2002
  • 게르마늄을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이 일반 콩나물과 비교하여 영양성분의 차이가 있는지를 관찰하였다. 수분함량은 일반 콩나물이 84~87.8%이었으나 게르마늄 콩나물은 88.7~90.2%로 약간 높았다. 회분 함량도 16~24%로 세 품종 모두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으나(p<0.05) 단백질의 함량은 약간 낮게 나타났다. 총 식이섬유소의 함량은 일반 콩나물과 비교하여 게르마늄 콩나물에서 7~10%높았으며 세 가지 품종모두에서 수용성 및 불용성 식이섬유소의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총 비타민 C의 함량은 세 품종 가운데 서목태에서 가장 높았으며, 게르마늄 처리시 일반 콩나물에 비하여 17%증가되었다. 서목태에서 총 페놀 함량은 일반 수돗물이나 지하수로 재배한 콩나물과 비교하여 게르마늄 용해수로 재배한 콩나물에서 20~40%더 많이 함유되어 있었다. 콩나물에서 무기질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재배 일수가 경 과함에 따라 대부분의 무기질 함량은 증가되었으며 특히 나트륨의 함량은 급격하게 증가되었다. 또한 일반 콩나물에 비해 게르마늄 콩나물은 칼슘과 철분의 함량이 높았으며 일반 콩나물에는 전혀 함유되어 있지 않은 게르마늄이 155ppm함유되어 있었다. 따라서 게르마늄을 처리하여 재배한 콩나물은 처리하지 않은 콩나물에 비하여 일반성분을 비롯하여 식이섬유소, 페놀화합물, 비타민 및 무기질의 함량이 높아 영양적으로 우수한 콩나물로 여겨진다.

첨차(Rubus suavissimus S. Lee)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okies prepared with Chinese Sweet Tea Leaf (Rubus suavissimus S. Lee) Powder)

  • 홍여주;이영식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182-194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첨차를 분말화하여 쿠키에 첨가하고, 그 품질 특성 및 항산화특성을 측정하여 저열량 쿠키의 최적 배합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첨차 분말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쿠키의 퍼짐성과 수분함량, 수용성 고형분 함량, 경도 측정 결과값이 높아졌으며, 쿠키 반죽의 pH는 감소하였다. 색도 측정 결과 첨차 분말 첨가량에 따라 L값과 황색도가 감소하였고, 녹색도가 증가하였다. 쿠키의 항산화특성으로 첨차 분말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총 페놀성화합물과 DPPH 자유 라디칼 소거능 모두 증가하였으며,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0.976). 기호도 조사 결과 6% 첨가구에서 전반적인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6% 이상 첨가구에서 첨가량에 따라 값이 감소하였다(p<0.001). 따라서 첨차를 첨가하여 설탕의 사용량을 감소시킨 쿠키의 제조가 가능하며, 6%의 첨가 수준을 설정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복분자 열매에 대한 화학적 조성 및 생리활성 비교 (Chemical Components and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ies on the Fruit of Natural Bogbunja (Rubus coreanus Miquel))

  • 신공식;박필재;부희옥;고정연;한성수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09-117
    • /
    • 2003
  • 복분자 열매의 생리활성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재배복분자와 야생복분자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재배복분자 완숙과와 야생복분자 미숙과에서 각각 222, 190mg/g 이었고, 다당체 함량은 야생 북분자 미숙과가 320 unit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의 전자공여능은 야생복분자 미숙과가 100 $\mu\textrm{g}$/mL 농도에서 95% 이상으로 높은 활성을 보여 미숙과가 완숙과에 비해 높은 전자공여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활성은 야생복분자 미숙과가 81%, 재배복분자 완숙과가 77%를 나타내어, 총페놀성 화합물과 같은 추세를 보였으며, 과산화지질 형성억제능은 모든 처리구에서 대조구인 $\alpha$-tocopherol과 같은 억제수준을 나타내었다 복분자 열매의 고혈압 완화효과로써 ACE 활성 저해율은 야생복분자 미숙과와 재배복분자 완숙과가 추출농도 1% 범위에서 98% 이상의 높은 ACE 활성 저해율을 보였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인진쑥 열수추출물의 항산화적 특성 (Antioxidant Characteristics of Artemisis capillaris Hot-water Extract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성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419-427
    • /
    • 2014
  • 인진쑥(Artemisia capillaris Thunbl)의 항산화적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반응표면분석법에 의하여 열수추출특성을 모니터링하여 최적 추출조건을 설정하였다.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에 대한 최적조건은 $94.50^{\circ}C$, 2.06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25.03 ml/g, 전자공여능에 대한 최적조건은 $91.82^{\circ}C$, 2.90 hr 및 20.88 ml/g으로 나타났고, 아질산염 소거능(pH 1.2)에 대한 최적조건은 $97.36^{\circ}C$, 2.75 hr 및 15.19 ml/g등으로 각각 나타났다. 각 변수에 대한 회귀식을 도출하여 인진쑥의 총 페놀성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및 아질산염 소거능(pH 1.2)에 대한 최적 추출조건을 superimposing 한 결과, 추출온도 $90{\sim}95^{\circ}C$, 추출시간 2.5~3.5 hr 및 시료에 대한 용매비 17~24 ml/g의 범위로 각각 예측되었다.

구아바 잎의 가공방법에 따른 품질특성 (Quality Properties of Guava (Psidium guajava L.) Leaves Processed Using Different Methods)

  • 홍춘숙;윤성란;이기동;김미옥;김현구;권중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4권6호
    • /
    • pp.605-610
    • /
    • 2007
  • 구아바 잎을 이용한 가공제품개발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구아바 잎을 발효, 증숙 및 볶음 처리하여 품질특성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의 경우 볶음 처리한 것이 높게 나타났으며,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전자공여능은 증숙 처리한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반적인 기호도에 있어서는 발효 및 증숙 처리한 것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데침 및 증숙 처리 시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살펴본 결과,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 tyrosinase 저해활성 및 전자공여능은 처리시간이 길어질수록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으며, 증숙 처리한 것이 데침 처리한 것에 비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데침 및 증숙 처리된 구아바 잎의 관능검사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구아바 잎의 떫은맛으로 인해 전반적으로 관능평점이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구아바 잎을 사용한 가공제품 개발에서는 떫은맛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의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메타세콰이어나무 열매와 잎의 영양성분 및 항산화 활성 (Nutrients and Antioxidative Activities of Metasequoia glyptostroboides)

  • 배영일;이주원;하태정;황승하;신창식;정창호;김일훈;심기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363-368
    • /
    • 2013
  • 메타세콰이어 나무 열매와 잎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하여 화학성분 및 항산화 활성을 조사하였다. 열매와 잎의 가용성 무질소물의 함량은 각각 69.04% 및 50.47%로 나타났으며, 열매의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19.95 mg/GAE g이었고, 잎의 총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은 21.75 mg/GAE g으로 열매보다 잎에서 높은 함량을 보였다. 열매와 잎에 많이 함유되어 있는 무기성분으로는 Ca(2,136.08와 304.85 mg/100 g), K(1,355.53와 1,144.04 mg/100 g) 및 P(426.30와 350.50 mg/100 g)이었다.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proline이 상대적으로 높았으며, 필수아미노산 중에서는 leucine이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고, methionine과 cystine은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메타세콰이어 열매와 잎의 열수 추출물을 이용하여 라디칼 소거활성 및 환원력을 조사한 결과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으며, 특히 잎 열수 추출물에서 높은 항산화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메타세콰이어나무 잎의 폴리페놀성 화합물은 천연항산화제와 같은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동양배 품종별 유과기와 수확기 과실의 항산화 활성 (Antioxidant Activities of Young and Mature Fruit in Three Asian Pear Cultivars)

  • 박연옥;최장전;최진호;김명수;임순희;이한찬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0권2호
    • /
    • pp.208-213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원황', '황금배', '추황배' 등 신육성 품종을 이용하여 유과기와 수확기의 과실 및 부위별 항산화 활성을 비교하였다. 품종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유과기 과실이 수확기 과실에 비해 1.5-2.5배 많았는데 특히 '추황배'의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수확기 과실의 부위별 총 폴리페놀 화합물과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과피, 과심, 과육의 순으로 측정되었다.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유과기가 수확기보다 활성이 높았으며 두 시기 모두 '추황배'의 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하였다. 또한 수확기 과실 부위별 DPPH radical 소거능과 $ABTS^+$ 양이온 소거활성은 과피가 가장 높았고 과심, 과육 순으로 나타났다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한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의 페놀 화합물 함량 및 항산화 효능 연구 (Studies on the Phenolic Compound Content and Antioxidant Efficacy of Rubus idaeus (Raspberry) Cultivar 'Willamette' Fruit Extract Using n-Hexane and Ethyl Acetate)

  • 박규근;윤여필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29-337
    • /
    • 2020
  • 본 연구는 willamette 품종의 동결건조라즈베리분말, n-hexane 및 ethyl acetate를 이용하여 라즈베리 추출물(Rubus idaeus (Raspberry) fruit extract, RIFE)을 제조한 다음 페놀 화합물 함량, 철 이온 환원능력, 그리고 라디칼 소거 능력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은 10% 농도까지 세포독성을 보이지 않았다. 해당 농도로 실험을 수행한 결과 총 페놀 화합물 함량은 375.3 ppm,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43.46 ppm이 포함된 것을 확인하였고,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reagent를 이용한 철 이온 환원능력은 FeSO4 0.532 mM에 해당하는 환원능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항산화 소재의 대표적 원료인 L-ascorbic acid와 비교하는 라디칼 소거능 실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1-diphenyl- 2-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력은 94.5 ± 0.7%를 나타냈고,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 라디칼 소거능은 99.4 ± 2.82%를 나타냈으며, nitric oxide (NO) 라디칼소거능은 88.5 ± 0.4%를 나타냈다. 표준인 L-ascorbic acid 용액과 비교할 때 25 - 50 ppm 사이의 효능을 지닌 DPPH 라디칼 소거능 / 100 ppm에 근접한 효능을 지닌 ABTS 라디칼 소거능 / 1,000 ppm 이상의 효능을 지닌 NO 라디칼 소거능을 가졌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willamette 품종 라즈베리추출물이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로 적용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