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총 단백질

검색결과 1,344건 처리시간 0.025초

한국 진도개와 삽사리 혈액 단백질의 비교연구 1. 혈청 단백질의 구성

  • 김종봉;옥현숙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96-101
    • /
    • 1992
  • 전기영동에 의하여 진도개와 삽사리의 혈청 단백질을 분석하였다. 이들의 혈청 단백질 전기영동상은 5개의 분획으로 나눌 수 있었다. 진도개의 총 혈청단백질은 8.40$\pm$1.63(g/dl)이었으며 albumin과 globulin의 비(A/G)는 0.81 $\pm$ 0.25이었다. 삽사리의 총 혈청단백질은 8.23 $\pm$2.20(g/dl)이었고 A/G는 0.78 $\pm$ 0.23이었다. 연령에 따라 Y-globulin의 양이 가장 크게 변했으며 진도개와 삽사리의 albumin과 globulin의 비는 다른 품종의 개들보다 낮았다.

  • PDF

녹두 발아중 단백질 전기영동 패턴의 변화 (Changes of Protein Pattern of Mungbean Seeds, Phaseolus aureus During Germination)

  • 박동연;조숙자;신용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2호
    • /
    • pp.163-167
    • /
    • 1986
  • 녹두의 발아중 수분 함량의 변화, 총 단백질과 가용성 단백질 함량의 변화, 그리고 전기영동에 의한 가용성 단백질의 변화 패턴을 조사하였다. 건조녹두의 수분함량은 12.7%이고 침지 후에는 60% 였으며 발아함에 따라서 점차 증가하여 90.7%까지 올라갔다. 녹두를 침지하므로써 급격히 총 단백질 함량과 가용성 단백질 함량이 감소하였고 발아 일수가 경과함에 따라서 점진적인 감소를 보였으며, 총 단백질과 가용성 단백질은 비슷한 감소 패턴을 보였다. 녹두의 가용성 단백질을 SDS로 처리하지 않고 전기영동 하였을때 2개의 넓은 band와 3개의 즘은 band를 얻을 수 있었고, 발아함에 따라서 2개의 넓은 band는 점차 희미해져 단백질이 분해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다른 band의 단백질들은 비교적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었다. 녹두의 가용성 단백질을 SDS-PAGE로 관찰 하였을때 19개의 분명한 band를 얻을 수 있었고 발아함에 따라서 대부분의 단백질 band는 분해되어 희미해져 갔으나 상당한 부분이 발아 7일째까지 분해되지 않고 남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여류과학자 - 생명공학연구소 단백질공학부 유명희박사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0권10호통권341호
    • /
    • pp.84-85
    • /
    • 1997
  • 단백질이 합성된 후 어떻게 고유의 3차 구조를 형성하는가에 대하여 의문을 갖고 15년간 단백질폴딩연구를 계속하고 있는 대전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생명공학연구소의 책임연구원 유명희박사. 76년 서울대 미생물학과를 졸업한 후 미국에 유학하여 81년 버클리대학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귀국한 유박사는 "앞으로 여성후학들이 공동연구로 더욱 좋은 환경 속에서 연구활동을 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을 위해 노력하겠다" 강조한다.

  • PDF

이달의 과학자 - 성균관대 약학부 이강춘 교수, 단백질 의약품에 변형물질 결합 차세대 새로운 치료제개발

  •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 과학과기술
    • /
    • 제34권4호통권383호
    • /
    • pp.22-23
    • /
    • 2001
  • 성균관대학교 약학부 이강춘 교수는 생물접합기술분야의 연구로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는 과학자이다. 이 교수가 연구하고 있는 생물접합기술은 기존의 단백질 의약품에 또 하나의 생리활성 변형물질을 결합시키는 분자구조변형을 통해 원하는 치료특성을 체내 내에서 발현토록 하는 단백질 의약품의 차세대 치료제의 개발이다.

  • PDF

고지방식이를 섭취한 흰쥐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가 지질 농도 및 식욕 관련 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hey Protein Hydrolysates on Lipid Profiles and Appetite-Related Hormones in Rats Fed High Fat Diet)

  • 박정윤;박미나;최유영;윤숭섭;전호남;이연숙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28-436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으로 유도한 식이성 비만 모델 수컷 흰쥐에게 고지방식이와 함께 유청단백질 및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을 급여하였을 때,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에 따른 체중, 장기 및 체지방, 지질 농도 및 식욕 조절호르몬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즉, 실험동물 흰쥐에게 18% 우지를 첨가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하여 질소원으로 유청단백질(whey protein concentrate 80: WPC80, 매일유업(주)) 10%를 4주간 공급한 후(control period), 4군으로 나누어서 고지방식을 기본으로 유청단백질,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whey protein hydrolysate), 유청 macropeptide fraction(whey macropeptide fraction; WH중 MW${\geq}$10,000)의 3종을 함유한 실험식이를 각각 6주 동안 급여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체중증가량 및 식이섭취량은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간의 무게는 가수분해물 섭취에 의해 감소하였으나, 신장, 고환 및 비장의 무게는 실험군간 유의적 차이가 없었다. 한편, 신장의 무게는 고단백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지방조직의 무게는 신장 주변 지방과 부고환 주변 지방 모두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의 총 지질과 중성지방은 가수분해물 섭취에 의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p<0.05). 반면, 혈청의 총 콜레스테롤과 HDL 콜레스테롤은 유청단백질 수준과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간 조직의 총 지질, 중성지방과 총 콜레스테롤은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며, 고단백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일일 분 배설량은 고단백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분 중 총 지질함량과 중성지방 함량은 가수분해물 섭취 시 그 함량이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p<0.05). 반면, 분 중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았다. 혈청 중 glucose와 insulin 농도는 가수분해물 섭취 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청 중 leptin 농도는 유청단백질 수준이나 가수분해물 섭취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혈청 중 ghrelin 농도는 고단백 식이에 의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p<0.05), 특히, 가수분해물 섭취 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의 섭취는 intact 유청단백질보다 흰쥐의 혈청과 간의 지질 농도를 저하시키고, 분 중으로의 지질배설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혈중 glucose 농도와 insulin 농도를 감소시킴으로서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시켰으며, ghrelin 감소를 통한 식욕조절 효과를 보였다. 한편, 본 연구에서 유청단백질 가수분해물이 체중감소나 조직의 지방량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데, 이것은 본 연구에서 사용된 25% 단백질 수준이 체중감소나 조직 지방량에 영향을 미치기에는 부족한 수준이라 사료되며, 단백질 수준에서의 증가 또는 보다 장기간 동안의 섭취가 수행되어진다면 식욕 촉진 호르몬 분비 감소를 통해 체중 감소에 있어서 더 유의적인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사료된다.

단백질가수분해효소를 이용한 탁주박의 가수분해 및 그 분해물의 특성 (Derivatization of Rice Wine Meal Using Commercial Proteases and Characterization of Its Hydrolysates)

  • 김창원;최혁준;한복경;유승석;김창남;김병용;백무열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3권6호
    • /
    • pp.729-734
    • /
    • 2011
  • 쌀부산물인 탁주박을 상업적으로 사용되는 8가지 protease를 최적화된 조건에서 단일 혹은 혼합 처리하여 수용성 단백질을 분리하였다. 이렇게 분리된 단백질을 Lowry, Kjeldahl 그리고 건조 방법 등 총 3가지 방법으로 분석을 한 결과 Protamex, Alcalase, Protease N이 가장 높은 분해율을 나타냈으며 이것을 이용하여 3가지 protease를 혼합하여 처리하였을 때 단일처리와 큰 차이가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효소처리를 하여 얻어진 단백질의 사이즈를 알아보기 위해 SDS PAGE를 한 결과 어떠한 밴드도 형성이 되지 않았고 이는 단백질이 마커의 최소사이즈 15 kDa보다 작은 것을 의미한다. 즉 일단 단백질보다 사이즈가 작은 polypeptide나 amino acid로써 분해된 것을 뜻하고 실제로 섭취하였을 때는 trypsin이나 chymotrypsin의 효소적인 분해 없이도 흡수할 수 있는 식품첨가물로써 활용도가 높은 단백질로 분해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아미노산의 경우 lysine의 함량이 적기 때문에 단백질의 유래가 탁주박에 존재하는 효모가 아닌 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효소 3개를 모두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체적으로 필수아미노산 8가지 중 4가지의 함량이 일반 쌀보다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것은 각 효소마다 작용하는 기질이 정해져 있고 효소의 개수가 많을수록 아미노산의 생성확률이 높아져서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효소를 모두 혼합하였을 때 가장 높아진 것으로 생각된다. 상대적으로 효소를 두 개 혹은 세 개로 혼합하였을 때 생성된 총 단백질 함량은 비슷하였지만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적었기 때문에 두 개의 효소를 혼합한 샘플들은 효소에 의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지 못한 polypeptide가 모든 효소를 혼합한 샘플에 비해 더 많이 존재 할 것으로 생각된다.

한우 난자의 체외성숙 시간에 따른 세포질 내 단백질 합성의 변화

  • 박용수;박흠대;변명대
    • 한국동물번식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동물번식학회 2003년도 학술발표대회 발표논문초록집
    • /
    • pp.32-32
    • /
    • 2003
  • 소 난자의 체외성숙 과정에서 세포질 내 단백질의 생산과 축적의 변화는 핵 및 세포질 성숙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보고가 있지만, 난자의 성숙과 관련된 특정 단백질의 종류에 대한 보고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우 난자의 체외성숙과 관련된 단백질의 생산 및 축적의 변화와 그 종류에 대해서 검토하였다. 체외성숙 시간(4.5, 9, 13.5, 18 및 24시간)에 따른 배양액 내의 단백질 합성의 변화는 2D gel electrophoresis를 이용하였고, 단백질 spot에 대해서는 peptide mass fingerprinting(PMF) 방법을 이용하였다. 또한 단백질 측정 시간에 신선 체외성숙 배양액으로 교환 후 난포란의 핵성숙과 배발달율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한우 난포란의 체외성숙 시간에 따라 배양액에서 단백질의 양 및 질적인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총 296개 단백질 spot들을 확인하였고, 그 중 30개 spot에서 유의적인 변화가 인정되었다. 또한 유의적인 변화를 보인 spot에 대한 PMF 분석을 통하여 Apolipoprotein A-1 precursor, Alpha enolase, Aldose reductase, 43kDa collectin precursor, Heat shock 27kDa protein,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 precursor, Thrombospondin 1 및 Transitional endoplasmic reticulum ATPase가 동정되었다 그리고 총 단백질 합성 경향은 0∼4.5 시간에는 감소하였고, 13.5∼18시간에 증가 한 후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단백질의 종류도 시간대별로 현저한 변화가 있었다. 한편 단백질을 측정하는 시기에 신선 체외성숙 배양액으로 교환한 후 난포란의 핵성숙 및 배발달율을 검토한 결과 18시간 체외성숙군에서 9시간째의 교환이 유의적으로 높은 핵성숙을 나타내었으나, 배발달율에서는 유의성이 인정되지 않았다. 그러나 24시간 체외성숙군에서 18시간째의 배양액 교환은 8세포기 및 배반포 발달율이 유의적(P<0.05)으로 높았다. 연구 결과로부터 소 난자의 체외성숙 시간에 따른 단백질 합성 경향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유의적인 변화를 나타낸 8가지의 단백질을 분리할 수 있었으며, 향후 이들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PDF

단백질 급원이 흰쥐 혈청 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Proteins on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in Rats)

  • 조영수;김대진;변부형;고진복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479-483
    • /
    • 1994
  • 상이한 단백질원이 흰쥐의 혈청콜레스테롤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명태로부터 조제한 어육단백질과 동물성의 카제인 및 식물성의 대두단백질을 비교 검토하였다. 실험 식이의 단백질 수준은 20%가 되도록 저지방 식이에 준비된 단백질 시료를 혼합하여 S.D. 계통 male rat에 2주간 급여한 후 혈청지질 농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혈청중의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및 총 콜레스테롤/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카제인군에서 가장 높았고 어육단백질군, 대두단백질군 순으로 낮았으며 카제인군과 다른 두 단백질군 간에는 유의성이 있었다(p<0.05). HDL-콜레스테롤 농도는 어육단백질군이 다른 두 단백질군보다 높았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트리글리세라이드 농도의 경우 세 단백질군간 유의성이 있었는데 어육단백질군은 카제인군보다 약 19mg/dl 낮았지만 대두단백질군보다는 약 6mg/dl 높았다. 어육단백질의 Lysine/Arginine비, Glycine/Methionine + Cystine비는 대두단백질의 그것들에 가까운 비율이었다.

  • PDF

한국 아동 및 청소년의 단백질 섭취와 과체중 및 비만과의 연관성: 2014-2019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overweight and obesity among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data from the 2014-201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수민;하경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56권1호
    • /
    • pp.54-69
    • /
    • 2023
  • 본 연구는 2014년부터 2019년까지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아동·청소년의 단백질 섭취와 성장지표 및 비만과의 관련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6-18세 아동 및 청소년 5,567명으로 1일 24시간 회상법 자료를 이용하여 단백질 섭취량을 평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대상자의 평균 총 단백질 에너지섭취비율은 14.5 ± 0.1%로 청소년 및 남아에서, 교육수준 및 가구소득수준이 높을수록 높았다. 단백질 섭취량을 삼분위수로 분류했을 때, 총 단백질 섭취량이 가장 높은 그룹이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에 비해 과체중 및 비만의 교차비가 1.36배 높았다. 동물성 단백질은 과체중 및 비만과 양의 연관성이 있었으나, 식물성 단백질은 유의한 연관성이 없었다. 동물성 단백질을 가장 많이 섭취한 남아와 청소년에서 가장 적게 섭취한 그룹에 비해 과체중 및 비만의 교차비가 유의하게 높았으나 지방 섭취량을 보정 한 이후에는 유의성이 사라졌다. 총 단백질 섭취량이 증가하면 동물성 단백질 섭취는 증가하지만 식물성 단백질은 감소했으며, 탄수화물 섭취량은 감소하고 지방 섭취량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동물성 단백질을 가장 많이 섭취하는 그룹의 육류 섭취횟수는 4.1회로 가장 적게 섭취하는 그룹 1.2회에 비해 약 4배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10년간 우리나라 아동 및 청소년의 총 단백질과 동물성 단백질 섭취량은 증가하였으며, 총 단백질 및 동물성 단백질의 높은 섭취는 과체중 및 비만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었다. 유년시절의 비만은 당뇨병, 심혈관질환 등과 같은 만성질환의 위험을 높이고, 성인 비만으로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 특히, 식생활은 아동비만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아동 및 청소년의 성장발달과 비만예방을 위해 전향적 연구수행을 통한 단백질 적정섭취 가이드라인 및 효과적인 영양교육 프로그램 마련이 필요할 것이다.

기능성 소재를 첨가한 우리밀 제빵 제품의 항산화 활성과 단백질 소화도 (Antioxidant Activity and In Vitro Protein Digestibility of Bakery Products prepared from Korean Wheat with Functional Ingredients)

  • 한인화;박병건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853-861
    • /
    • 2014
  • 우리밀과 수입밀로 쿠키, 머핀, 바게트를 제조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단백질 소화도를 비교하였다. 또한 쿠키와 머핀 제품에 천년초와 홍화씨를 첨가하여 총 페놀 함량, 항산화 효과 및 단백질 소화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천년초의 첨가는 우리밀 쿠키 및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에서 총 페놀 함량 및 항산화 효과를 증가시켰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홍화씨 첨가는 우리밀 쿠키의 80% ethanol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켜 기능성 소재의 첨가가 쿠키의 품질 특성을 향상시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우리밀과 수입밀로 만든 쿠키, 머핀, 바게트의 80% ethanol 추출물에서 우리밀로 만든 머핀의 총 페놀 함량이 4.53 mg QE/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나, 수입밀로 만든 머핀보다 약 1.5배 높게 나타났다. 80% methanol 추출물은 수입밀 바게트가 우리밀 바게트보다 약 1.2배 높게 나타나 용매에 따라 다른 경향을 나타냈다. 80% ethanol 추출물과 80% methanol 추출물의 총 페놀 함량을 비교하면 ethanol 추출물이 모든 시료에서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보여, 우리밀에서 더 높은 총 페놀 함량을 나타냈다. 우리밀과 수입밀의 ethyl acetate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는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머핀의 80% methanol 추출물은 우리밀이 수입밀보다 2.4배 가량 높은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그 결과, 추출 용매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우리밀 제품이 수입밀 제품보다 높은 항산화 효과를 가진다고 추정된다. 단백질 소화도에서 우리밀과 수입밀을 비교해 보면 모든 제품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단백질 소화도와 같은 품질 특성은 우리밀이 수입밀의 품질과 유사하며, 항산화 효과와 총 페놀 함량은 우리밀 제품이 우수한 결과를 보여 기능성 면에서 우수한 밀 품종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