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파리과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2초

한국산 Mycodrosophila 속 (초파리과)의 2 신종 (Two New Species of the Genus Mycodrosophila (Diptera , Drosophilidae) from Korea)

  • 강영선;이택준;방규환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26-28
    • /
    • 1966
  • 저자들은 1964년 경기도 광릉의 소리봉 일대에서 채집된 표본을 정리하였던 바 Mycocrosophila 속의 신종 2종을 얻었기에 신고하는 바이다. Mycodrosophila biceps sp.nov. 국명 : 쌍흑-버섯초파리(신칭) Mycodrosophila planipalpis sp. nov. 국명' 광능-버섯초파리(신칭) Mycodrosophila 속은 현재까지 약 40 종이 기재되었으며 한국에서는 9 종이 알려져있다. 이번에 저자들이 2 종을 추가하여 한국산 Mycodrosophila 속은 모두 11 종이된다.

  • PDF

Raf 신호에 의한 초파리 fascin의 조절 (Regulation of the Drosophila Fascin by Raf Signaling)

  • 표정훈;최나현;이신해;김영신;유미애
    • 생명과학회지
    • /
    • 제19권7호
    • /
    • pp.866-870
    • /
    • 2009
  • Fascin은 액틴결합 단백질로 형성을 포함한 많은 발생과정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Fascin은 암세포에 대한 생체표지인자로도 잘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fascin 유전자의 발현조절기전은 현재까지 잘 알려져있다. 그러나 이러한 fascin 유전자의 발현조절기전은 현재까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Raf 돌연변이 초파리에서 이미 보고 되어있는 초파리 fascin 돌연변이 초파리의 휘어진 등털 표현형을 관찰함으로써 초파리 fascin 유전자의 발현이 Raf신호체계에 의해 조절되는 가를 조사하였다. RT-PCR과 Western blot의 실험 방법으로 Raf 유전자 돌연변이 초파리에서 fascin의 발현이 감소되어 있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GAL4-UAS계로 Raf를 과발현시킨 초파리에서 fascin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세포의 증식과 이동 연구모델계로 잘 알려져 있는 초파리의 혈액세포에서 이러한 조절기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들은 fascin유전자의 발현이 Raf 신호체계에 의해 조절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인간 및 초파리 단백질을 대상으로 한 도메인 조합 기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 검증 (Validation of Domain Combination Based Protein-Protein Interaction Prediction Method Using Human and Fly Proteins)

  • 장우혁;한동수;김홍숙;이성독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05년도 가을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2)
    • /
    • pp.235-237
    • /
    • 2005
  • 도메인 조합 기반의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 예측 기법(DCPPIP)은 효모 단백질에 대하여 뛰어난 정확도를 보여준다. 그러나 다른 종에서의 예측 정확도 및 기법의 유효성은 아직까지 검증되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초파리 및 인간 단백질을 이용한 예측 정확도 검증 및 이종간의 상호작용 예측 실험의 결과를 기술한다. 초파리와 인간 단백질의 실험에서는 각각 10,351개와 2,345개의 상호작용 단백질 쌍이 사용되었다. 초파리와 인간의 상호작용 단백질 쌍 중 $80\%$$20\%$를 각각 학습집단 및 실험집단으로 사용하였으며. 상호작용이 없는 단백질 쌍의 학습집단은 1배에서 5배까지 변화시키면서 예측 정확도를 관찰하였다. 정확도는 실험집단 중 학습집단과 도메인이 완전히 혹은 부분적으로 겹치는 쌍들에 대하여 계산하였다. 이 결과 초파리에서는 약 $77\%$의 민감도와 $92\%$의 특이도가 확인되었고 인간 단백질에 대하여는 약 $96\%$의 민감도와 $95\%$의 특이도를 보여주었다. 이종간의 상호작용 예측 실험은 효모, 초파리, 효모+초파리에 해당하는 학습집단 각각을 바탕으로 Human, Mouse, H. pylori, E. coli, C. elegans 등의 단백질 상호작용 예측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학습집단의 도메인이 실험집단의 도메인과 많이 겹칠 수륵 높은 정확도를 보여주었으며, 도메인 집단간의 유사도를 나타내기 위해 고안한 Domain Overlapping Rate(DOR)는 상호작용 예측 정확도의 중요한 요소임을 찾아 내었다.

  • PDF

야생초파리의 번식처로 이용되는 제주도산 버섯 (Mushrooms Utilized as Natural Breeding Sites by Wild Drosophilids on Jeju Island, Korea)

  • 김원택;오덕철
    • 한국균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34-140
    • /
    • 2003
  • 1999년에서 2000년까지 해발 $200{\sim}1000m$에 이르는 제주도 한라산 일대에서 성숙한 야생버섯을 채취하여 야생초파리류가 번식처로 이용하는지의 여부를 조사하였다. 조사한 버섯 중에서 2목 12과 19속에 속하는 35종에서 초파리가 번식하였다. 이중 번식초파리가 동정된 버섯은 2목 8과 11개속에 속하는 14종이었다. 나머지 21종의 버섯에서는 초파리 유충(또는 번데기)만 발생하여 종이 확인되지 않았다. 35종 버섯중 34종은 주름버섯목(Agaricales)에 속하였고 노루털버섯(Sancodon scabrsoum) 1종만 민주름목(Aphylloprales)에 속하였다. 과 별 분포로는 35종 중 무당버섯과(Russulaceae)가 10종, 광대버섯과(Amanitaceae) 6종, 송이버섯과(Tricholomataceae)와 주름버섯과(Agaricaceae)가 각각 4종 그물버섯과(Boletaceae)가 3종 독청버섯과(Strophariaceae)가 2종 이었고 나머지 6과는 각 1종씩 이었다. 속 별로는 무당버섯속(Russula)이 8종, 광대버섯속(Amanita)이 6종, 주름버섯속(Agaricus)이 4종, 그리고 젖버섯속(Lactarius)의 2종순이었고 나머지 속은 각 1종씩 이었다. 버섯 크기별 초파리의 선호성은 갓의 지름이 5cm이상의 비교적 큰 버섯을 선호하였다. 버섯에서 번식하는 초파리는 총 14종이었고, 이중 버섯초파리속(Mycodrosophila)이 1종, 등초파리속(Hirtodrosophila) 이 5종, 그리고 초파리속(Drosophila)이 8종으로 가장 많았다. 두띠노랑초파리(Drosophila bizonata)와 여섯줄등초파리(Hirtodrosophilia sexvittata)는 6종의 버섯에서 번식하였고, 가시별초파리(D. unispina)가 3종, 기타 다른 초파리는 2종 흑은 1종의 버섯에서 번식하였다. 이번 조사의 결과와 여러 문헌을 종합해볼 때 이번에 밝혀진 것 보다 더 많은 종류의 버섯이 초파리와 번식적인 면에서 상관관계를 가질 것으로 판단된다.

Superoxide Dismutase유사활성을 지닌 식물체가 Oxidative Stress를 받고 있는 초파리의 수명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 Extracts with Superoxide Dismutase-like Activity on Survival of Fruit Flies under Oxidative Stress)

  • 한대석;곽재혁;김상희;김석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865-869
    • /
    • 1996
  • 초파리를 이용하여 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이 높다고 알려진 식물체 12 종의 효능을 평가하였다. 평가방법으로는 초파리 체내에서 superoxide를 발생시켜 초파리를 죽게 하는 paraquat (Pq)를 초파리 식이에 공급하고 상기 식물체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때 초파리의 배양시간에 따른 생존율을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Pq와 함께 마늘, 상치, 키위, 팽이버섯 추출물을 동시에 공급하였을 때 이들은 산소상해를 받고 있는 초파리에 비해 효과를 나타내지 못하였다. 그러나, 이들 식물체를 함유한 배지에 10일간 미리 적응시킨 후 식물체를 계속 공급하면서 60 mM 농도로 Pq를 함께 공급하였을 때 배양 1일 후 Pq 처리구의 생존율은 약 11%였으나 식물체 첨가구의 생존율은 $35{\sim}63%$로 높게 나타났다. 즉, 미리 적응시키면 SOD 유사활성이 있는 식물체는 초파리가 활성산소에 노출되더라도 산소독성에 예방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한편, 초파리를 20 mM의 Pq가 첨가된 배지에 노출시켜 산소상해를 입히고 생존한 초파리만을 모아 60 mM의 Pq와 식물계 추출물이 함께 첨가된 배지로 옳기고 2일 후 생존율을 측정하였을 때 Pq첨가구 초파리의 생존율은 32%였으나 상치, 키위, 팽이버섯, 양파, 감, 고사리, 폴리플라워 첨가구 초파리의 생존율은 $64{\sim}82%$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이들 식물체는 산소상해에 대하여 일종의 치유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조사한 식물체 중 미나리, 표고버섯, 느타리 버섯, 브로콜리는 치유효과를 발휘하지 못하였다.

  • PDF

증가된 글루타민에 의해 초래되는 뇌신경질환의 초파리 모델에 대한 연구 (Expression of Expanded Polyglutamine Disease Proteins in Drosophila (Drosophila Polyglutamine Disease Models))

  • 신상민;백경훈;진동규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8권4호
    • /
    • pp.425-432
    • /
    • 2005
  • 목 적 : 폴리글루타민 질환은 해당 발현단백질의 연속되는 글루타민 아미노산 서열이 신장되기 때문에 일어나는 질환군이다. 현 연구는 폴리글루타민 질환 형질전환 초파리 모델들이 환자들 에서와 유사한 장애를 나타내는지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 법 : 폴리글루타민 질환 (SCA3) 형질전환 초파리를 대상으로 벽을 기어오르는 운동 능력을 검사하였다. 또한 유전학적인 방법을 통해서 아폽토시스를 억제하는 bcl-2 유전자와 화학적 샤페론이 뇌신경의 퇴행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였으며 향후의 연구를 위해 척수소뇌 운동실조증 타입 2 (SCA2) 질환을 발현하는 형질전환 초파리를 생산하였다. 결 과 : SCA3 형질전환 초파리에서 신장된 폴리글루타민 배열을 지니는 질환성 초파리의 경우 신경계에서 해당 단백질을 발현하였을 경우 전형적인 운동 능력 상실을 나타냈다. 아폽토시스를 억제하는 유전자인 bcl-2를 함께 발현했을 경우, 신장된 단백질의 유독한 영향을 약화시키지 못했지만, 화학적 샤페론인글리세롤의 경우 적어도 눈에서의 유독한 영향은 억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진에 의해 개발된 SCA2 형질전환 초파리의 경우 유해 단백질의 발현 정도가 낮아서 정확한 분석이 어려웠다. 결 론 : SCA3 형질전환 초파리는 환자들에서 발견되는 운동실조증을 보였다. 글리세롤과 같은 화학적 샤페론이 현재 치료가 전무한 이 종류의 질환군의 치료에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장줄기세포 조절 연구를 위한 초파리 장세포의 일차배양 (Primary Cultures of Drosophila melanogaster Gut Cells for Studies of Intestinal Stem Cell Regulation)

  • 윤영일;황재삼;구태원;한명세;안미영;윤은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21-626
    • /
    • 2012
  • 초파리는 발생과 질병연구를 위한 모델 곤충으로 널리 이용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도 초파리를 모델곤충으로 한 장질환 연구의 일환으로 다양한 병원균 감염 및 장질환 유발시 어떻게 장줄기세포가 작용하는지를 이해하기 위해 초파리 장세포의 일차배양 방법을 확립하였다. 초파리 성충으로부터 장을 해부하고 다양한 효소를 처리하여 장세포를 분리한 후 배양하였다. 배양세포의 생존여부는 현미경 검경 및 MTS assay에 의해 확인한 결과 배양 후 9일째 최대 증식되었고 14일까지 생존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장줄기세포 및 장내분비세포의 존재도 immunostaining에 의해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구축된 초파리 일차배양 장세포는 다양한 유전자에 의한 장줄기 세포 조절연구뿐만 아니라 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질병을 연구하는 도구로 매우 유용할 것으로 추측된다.

AMPK γ 유전자의 표피세포극성 유지기능 규명 (AMPK γ is Required for Maintaining Epithelial Cell Structure and Polarity)

  • 고형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5호
    • /
    • pp.621-626
    • /
    • 2011
  • AMPK는 catalytic ${\alpha}$ subunit과 regulatory ${\beta}$${\gamma}$ subunit으로 구성된 인산화 효소로, 그 동안 생체 내 중요 대사 조절자로써 연구되어 왔으나, 최근 유전학 연구를 통해 지금까지 밝혀지지 아니한 새로운 생체기능을 가짐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 초파리 유전학 기법을 활용하여 AMPK ${\gamma}$ subunit 유전자가 결손된 모델 초파리를 제작 하여 연구한 결과, AMPK ${\gamma}$ 유전자 결손 시 초파리 embryo의 표피형성이 심각하게 저해됨을 발견하였고, 조직학적 실험을 통해 표피세포의 극성이 AMPK ${\gamma}$ 유전자 결손 초파리에서 손상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포극성을 조절하는 중요 분자인 MRLC의 인산화 또한 AMPK ${\gamma}$ 유전자 결손 시 저해되었으며, AMPK ${\gamma}$ 유전자 재도입 시 MRLC인산화와 표피세포의 극성이 모두 회복됨이 확인되어, 초파리 표피세포의 극성유지에 AMPK ${\gamma}$ 유전자가 필수적 임을 확인하였다.

이차원 전기영동과 펩타이드 지문 검색법을 이용한 초파리의 프로테옴 분석 (Proteome Analysis of Drosophila melanogaster Used 2-DE and MALDI- TOF-MS)

  • 박정원;차재영;송재영;김희규;김범규;전병삼
    • 생명과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27-433
    • /
    • 2005
  • 초파리는 유전학, 발달 생물학, 행동 유전학, 노화 연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연구에 이용 되어져 왔다. 최근 초파리 전체 유전자의 염기서열이 보고되었으며, 유전자의 기능 분석과 발현 단백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야생형 초파리에서 추출한 단백질을 이차원 전기영동을 통해 400여개 이상의 단백질 스폿으로 분리하였으며, 각 스폿을 적출하여 트립신으로 처리하여 얻어진 펩타이드 단편을 MALDI-TOF-MS를 이용한 펩타이드 지문 검색으로 질량을 측정하였다. 측정된 질량을 초파리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분리한 단백질을 동정함으로써 59개의 유전자에서 발현되는 65개의 단백질 스폿을 동정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향후의 발생단계, 외부 자극, 노화 등에 관련되는 특이적 단백질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한 Mdr49A 유전자의 살충제 교차저항성 기능 구명 (Molecular Mechanism of ABC Transporter Mdr49A Associated with a Positive Cross-Resistance in Transgenic Drosophila)

  • 성건묵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9권4호
    • /
    • pp.341-348
    • /
    • 2020
  • ATP-binding cassette (ABC) transporter는 다양한 기질을 세포 밖과 세포 안으로 수송하는 대표적인 수송단백질이다. 곤충에서 ABC transporter는 살충제에 대한 저항성을 발달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현재까지 모델곤충인 초파리를 대상으로 ABC transporter의 살충제 교차저항성에 관한 연구는 많이 수행되어오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ABC transporter에 속하는 Mdr49A 유전자가 여섯 종류의 살충제에 보이는 교차저항성 기작을 형질전환 초파리를 이용하여 구명하였다. 초파리 91-R과 91-C 계통은 공통된 조상으로부터 유래되었으며 91-R은 60년 이상 DDT에 노출되었지만 91-C는 어떠한 살충제에도 노출되지 않고 유지되어 왔다. 91-R 계통의 MDR49A 단백질에서 유래된 3개의 아미노산 돌연변이를 형질전환 초파리에 과발현 시켰을 때 carbofuran에 대해서 2.0~6.7배 그리고 permethrin에 대해서 2.5~10.5배의 교차저항성을 나타낸 반면 다른 약제, abamectin, imidacloprid, methoxychlor, prothiofos에 대해서는 어떠한 교차저항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는 Mdr49A 유전자의 과발현과 더불어 3개의 아미노산 돌연변이는 두 개 약제, carbofuran과 permethrin에 대해 교차저항성 기능을 한다고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