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지 생태계

검색결과 79건 처리시간 0.024초

화소 및 객체기반 분석기법을 활용한 생태계서비스 가치 추정 결과 비교 (Comparison of the Estimated Result of Ecosystem Service Value Using Pixel-based and Object-based Analysis)

  • 문지윤;김윤수
    •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
    • 제33권6_3호
    • /
    • pp.1187-1196
    • /
    • 2017
  • 오늘날 생태계가 인간에게 제공하는 기능과 서비스의 가치를 측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으나, 지금까지 수행된 연구들의 대다수는 Landsat이나 MODIS와 같은 중저해상도의 위성영상을 활용해 왔다. 최근 들어 가용할 수 있는 고해상도 위성영상이 많아지는 데 비해 고해상도 영상을 활용한 생태계서비스 가치 추정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좀 더 정밀하게 분석하고자 최근 들어 가장 많은 변화가 발생하였던 세종시 지역에 대한 고해상도 KOMPSAT-3 영상을 활용하여 화소 및 객체기반 분류를 수행한 후, 생태계서비스 가치 추정 결과를 비교하였다. 화소 및 객체기반 토지피복분류 결과, 화소기반 분류에서 산림과 초지는 상대적으로 과소평가되고 농경지와 시가지는 과대평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나지의 경우에는 화소기반 분류 결과에서는 증가하였고 객체기반 분류 결과에서는 감소하여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이러한 토지피복 분류 결과를 토대로 연구지역 전체의 생태계서비스 가치를 추정한 결과, 2014년 기준 연간 약 818만(화소기반 결과) 달러와 863만(객체기반 결과) 달러에서 2016년에는 약 780만(화소기반 결과) 달러와 862만(객체기반 결과) 달러로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지역적 차원에서의 지속가능한 도시 개발 및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정책 등을 수립하는 데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인공습지의 식생 모니터링을 통한 유지관리 방안 (Maintenance Plan through the vegetation monitoring of artifical wetland)

  • 이대웅;김정욱;홍승진;정주영;김형수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5년도 학술발표회
    • /
    • pp.629-629
    • /
    • 2015
  • 습지는 다양한 생태계가 형성되어있고, 토양과 물의 정화기능, 폭우방지 및 홍수 완화 등 인간이 살아가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이처럼 중요한 기능을 제공하는 습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지만 그에 따른 습지관리 방안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실정이다. 특히, 습지 조성 후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기 위해서는 습지의 생태환경을 모니터링 하여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비내섬(남한강), 옥포지구(낙동강), 세도지구(금강) 3개의 인공습지를 대상으로 생태환경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모니터링 결과, 비내섬 습지는 천이초기단계에서 개척자식물이 유입되는 등 향후 천이도중상태의 이차초지로 천이될 것으로 판단되며, 옥포지구 습지는 안정된 천이과정을 보이고 있으나, 안정화 단계에 도달할 때 까지 지속적으로 변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세도지구 습지는 인위적 교란요인이 적기 때문에 미소입지별로 식생천이에 따라 다양한 식생이 형성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결과 향후 봄, 여름이 추가된 사계절을 장기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식물상 데이터를 구축할 수 있다면 더 정량적인 식성천이 분석을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PDF

AHP기법을 적용한 생태계서비스 InVEST 모형 서식지질 기준 설정 (Establishing Habitat Quality Criteria for the Ecosystem Services InVEST Model Using AHP Techniques)

  • 신해선;장정은;이상철;권혜연;김경록;장진;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67-78
    • /
    • 2024
  • 생태계서비스란 자연생태계가 인간에게 주는 혜택을 통틀어 일컫는 용어이다. 생태계서비스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다양한 모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InVEST는 대표적인 생태계서비스 모형이며 그 중 서식지질 평가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국립공원을 대상으로 서식지질 평가가 실시되고 있다. 서식지질 평가를 위해서는 서식지질 초기값으로 위협인자에 대한 민감도 평가가 이뤄져야 하는데, 이는 국가 및 적용분야에 따라 판이하다. 그래서 그동안 진행된 국립공원 서식지질 평가를 바탕으로 전문가 설문(AHP)을 실시하여 서식지질 초기값인 민감도의 기준을 조정하였다. AHP실시 결과 자연초지, 경지정리가 안된 밭 등 10개 항목이 상향조정되었으며, 하천, 호소 등 8개 항목이 하향조정되어 총 18개 항목이 조정되었다. 조정된 민감도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형인 북한산국립공원과 계룡산국립공원, 사적형인 경주국립공원, 해상해안형인 한려해상국립공원 그리고 산악형인 지리산국립공원과 설악산국립공원을 대상지 서식지질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국립공원내 분포하는 시가화건조지역과 수역에 대한 부분이 서식지질 평가에 반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이 기준을 이용하여 자연공원의 서식지질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낙동강 하류 삼각주지역 갈대초지의 생산구조와 에너지저장에 관한 연구 (Productive Structure and energy Storage of the Delta of Nak Dong River)

  • 장남기;강호감
    •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 /
    • 제4권3호
    • /
    • pp.220-225
    • /
    • 1984
  • 1. 낙동강(洛東江) 하류(下流) 갈대군락(群落)에서 유기탄소(有機炭素)의 생성(生成), 분해(分解) 및 축적(蓄積)을 이론적(理論的) 분석(分析)에 의(衣)해서 평가하였다. 2. $m^2$당(當) 낙엽(落葉)의 유기물(有機物), 유기탄소(有機炭素)의 함량(含量)은 각각(各各)이였으며 초지상(草地床)의 함량(含量)은 1154.96g과 669.93g 이었다. 3. 시별(尸別) 유기물(有機物), 유기탄소(有機炭素)의 함량(含量)은 광합성부(光合成部)에서는 120-140cm에 가장 많았으며, 비광합성부(非光合成部)에서는 0-20cm에 가장 많았다. 4. 안정(安定)된 상태(狀態)의 초지생태계(草地生態系)에서 년(年) 낙엽(落葉) 총생산량(總生産量)과 토양(土壤)의 윗부분(F, H 및 A층)의 비(比)로 결정(決定)된 분해상수(分解常數) k는 0.884이었다. 5. 낙동강(洛東江) 하류(下流) 갈대군락(群落)에서 유기탄소(有機炭素) 50%. 95%, 99%가 분해(分解)되는데 걸리는 시간(時間)은 각각(各各) 0.784, 3.394. 5.656년(年)이었다.

  • PDF

제주도 조간대 및 초지대 생태계의 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분포와 군집구조- (Community Structure of the Ecosystem on the Intertidal Zone and Grass Land in Cheju Island -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 이정재;장익창;조운삼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0-28
    • /
    • 1989
  • A study on the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n the intertidal zone of Cheju Island was carried out from June 1988 to May 1989. The macroinvertebrates collected and identified were composed of 7 phyla, 14 classes, 29 orders, 71 families and 135 species in this study. The dominant species of the upper tidal zone were Nodilittorina granularis and Heminerita japonica, those of the middle tidal zone were Monodonta neritoides and Lunella coronata coreensis, However, Monodonta neritoides and Chlorostoma arhyrostoma lischkei were dominant in the lower tidal zone. Community dominant indices were significantly high in the upper tidal zone. Macuoinvertebrates species which have the ability of resistance to the physical factors such as, strong waves and exposure to the hot sunlight were mainly distributed on the intertidal zone of Cheju Island. Th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species among seasons was not significant, but thao among zones was quite apparent and the lower the zone, the more abundant.

  • PDF

잔디초지 생태계에 있어서 생산자와 소비자에 의한 DNA의 축적과 분해의 평형 (The Balance of the Storage and Decay of DNA by Producers and Decomposers in the Ecosystem of a Zoysia japonica Grassland)

  • 장남기;김정석;이병설;강경미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75-283
    • /
    • 1996
  •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storage and decomposition of the titter DNA of a Zoysia japonica grassland on Mt. Kwanak. The loss constant k of litters was 0.167. The times required for the decomposition of half, 95% and 99% of accumulated DNA on the grassland floor were 3.8, 16.6 and 27.6, respectively. The amount of DNA which is turned to living organism in the ecosystem is higher than that of crude protein. In the case of crude protein, the decay constant k was 0.181. The times needed for the decomposition of half, 95% and 99% of accumulated crude protein on the Z. japonica grassland floor were 3.8, 16.6 and 27.6 years, respectively. Key words: Zoysia japonica, Mt. Kwanak, Litter DNA, Crude protein, Decomposition, Accumulation.

  • PDF

수생식물 생태계에 있어서 낙엽의 구성성분의 유실률 II.낙동강 삼각주 지역의 갈대초지에 있어서 낙엽의 N,P,K,Ca 및 Na (The Removal Rate of the Constituents of the Litters in the Aquatic Plant Ecosystems II. N, P, K, Ca and Na of the Litter in Phragmites longivalvis Grassland in the Deltaof the Nakdong River)

  • 장남기;안병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43-350
    • /
    • 1995
  • Samples from the L, F, H and $A_1$ horizons of the Phragmites longivalvis grassland were collected in a delta of the Nakdong River and the removal rates of N, P, K, Ca and Na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study can be abstracted as follows; The removal fractions of N, P, K, Ca and Na of the litter were 0.56, 1.22, 1.95, 0.65 and 0.53, respectively. The half times of N, P, K, Ca and Na required for the remove or accumulation of the litter on the grassland floor were 1.23, 0.57, 0.36, 1.06 and 1.32 years, respectively. The increasing order of the turnover parameters of the elements was Na, N, Ca, P and K.

  • PDF

수생식물 생태계에 있어서 낙엽의 구성성분의 유실률 I. 낙동강 삼각주지역의 갈대 초지 (The Removal Rate of the Constituents of the Litters in the Aquatic Plant Ecosystems I. Phragmites longivalvis Grasslands in a Delta of the Nakdong River)

  • 장남기;오경환
    • 아시안잔디학회지
    • /
    • 제9권4호
    • /
    • pp.331-342
    • /
    • 1995
  • An investigation was performed to reveal the removal rates of organic constituents of the litters in a Phragmithea longivalvis grassland in a Delta of the Nakdong River, The removal rates of the inorganic and organic materials are determined by the mathematical models. The removal rates and time required to decay up to a percentage of each organic constituent were calculated using these new models. The removal rates of cold water soluble fractions, other carbohydrates, hot water soluble fractions, cellulose, crude fat, lignin and crude protein were 2.67, 1.39, 1.25, 1.02, 0.92, 0.49 and 0.47, respectively, The periods required to reach half time to the steady state of the removal and accumulation for cold water soluble fractions, other carbohydrates, hot water soluble fractions, cellulose, crude fat, lignin and crude protein of the litter were 0.26, 0.50, 0.55, 0.68, 0.75, 1.41 and 1.48 years, respectively.

  • PDF

비무장지대(DMZ)의 생태적 가치와 국제자연보호지역 (The Ecological Values of the Korean Demilitarized Zone(DMZ) and International Natural Protected Areas)

  • 조도순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2권1호
    • /
    • pp.272-287
    • /
    • 2019
  • 엄밀한 의미의 비무장지대(Demilitarized Zone : DMZ)는 한국군사정전협정에 의해서 설정된 폭 4km, 길이 248km의 좁은 띠로 이루어진 육상지역으로서 서쪽으로는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장단반도의 임진강 하구로부터 시작해서 동쪽으로는 강원도 고성군 현내면의 동해안까지 이른다. 그러나 비무장지대에 인접한 민통선지역(민북지역)과 한강 하구와 서해안의 민통선지역의 생태계도 어느 정도 비무장지대의 생태계와 유사하므로 비무장지대와 민통선지역을 합쳐 일반적으로 "비무장지대 일원의 생태계"라고 부르고 있다. 비무장지대 일원의 식물상은 총 1,864종류로 파악되며 이는 우리나라 전체 관속식물 종류의 약 42%에 해당한다.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 식물상, 동물상은 수많은 지뢰와 출입의 제약 때문에 정밀한 조사가 거의 불가능하다. 2001년 경기도 파주시 장단면 경의선 남북 연결 철도 건설 구간의 비무장지대 내부 식생을 조사한 결과 산림 식생은 신갈나무, 상수리나무, 굴참나무 등 참나무류가 주로 우점하는 2차림으로서 구조가 매우 단순하였고 비무장지대의 나머지 반은 과거의 묵논에 형성된 억새, 물억새, 달뿌리풀 등의 장경초지로 이루어져 있었다. 비무장지대의 대부분이 원시림으로 덮여 있을 것이라는 예상과는 전혀 다르게 비무장지대 내부의 식생은 이와 같이 군사적인 활동에 기인한 빈번한 산불로 대부분 구조가 단순한 2차 천이 초기의 산림이거나 과거의 농경지에 형성된 묵논 습지 및 초지로 되어 있다. 비무장지대의 법적 보호 장치로는 통일 후 2년 동안만 한시적으로 적용되는 환경부의 자연유보지역이 유일하다. 따라서 비무장지대의 보전을 위해서는 천연보호구역, 명승, 국립공원 등 국내법에 따르는 자연보호지역 지정이 우선되어야 한다. 국제적인 협력을 얻기 위해서는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유네스코 세계유산, 람사르 국제습지의 지정에 비무장지대가 포함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필요가 있다. 비무장지대의 세계유산 신청 시에는 지난 60여 년간 산불에 의해서 2차림과 묵논 습지가 유지되어온 독특한 생태적 경관적 가치를 내세울 수 있다. 아무런 자연 보전 대책 없이 통일이 이루어질 경우 비무장지대 생태계는 순식간에 6.25전쟁 직전 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통일 후에도 비무장지대 생태계를 현 상태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지뢰 존치, 철조망 존치, 도로와 철도의 터널 및 교량화, 산불 유지 등의 대책이 논의되고 준비되어야 한다.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Tscherskia triton) (설치목; 비단털쥐과)의 분포 현황 및 서식지 특성 (The Distribution and Habitat Characteristic of Tscherskia triton (Rodentia; Cricetidae) in Jeju Island, Korea)

  • 박준호;김강일;김만호;오홍식
    • 환경생물
    • /
    • 제36권3호
    • /
    • pp.412-423
    • /
    • 2018
  • 연구는 2014년 5월부터 2016년 11월까지 제주도에 서식하는 비단털쥐 (Tscherskia triton)의 분포와 서식지 유형을 밝히기 위하여 이루어졌다. 조사결과, 4개 지점에서 9개체의 비단털쥐가 포획되었고, 4개 지점에서 서식이 확인되었다. 이들 지역의 서식지 유형은 대부분 자연형과 경작지 또는 휴경지형이었고, 일부 지역은 약간의 도심형이 공존하는 지역이었다. 자연형의 경우 대부분 숲과 관목림, 초지대로 이루어져 있었다. 고도별로는 저지대인 102 m에서 산간지대인 742 m까지 다양하게 분포하였으나 1,000 m 이상의 고산지대에서는 확인되지 않았고, 주변에는 대부분 하천, 건천 또는 습지가 있는 곳으로 나타났다. 비단털쥐의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주로 자연식생 및 식재림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다소 온전하거나 온전하지 못한 층위구조를 가진 대부분 상층 식생이 분포하는 지역 또는 장경초지나 관목림의 분포가 비교적 넓은 지역이었다. 서식이 확인된 지역은 대부분 도로와 산림소로가 위치하고 있어 비단털쥐는 인위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지역에도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라산 국립공원은 보존대상지역이라 개발에 의한 서식지 훼손은 거의 없으나 소형포유류의 선호도가 높은 초지대는 생태계 교란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비단털쥐의 안정적인 개체군 밀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중산간지역의 보전과 저지대 초지대 보호를 통한 다양한 서식지의 유형이 유지되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