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학교 6학년

Search Result 1,366, Processing Time 0.03 seconds

The Influence of the Application of Peer Instruction in Science Class on Participation Degree and the Debating Ability of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er Instruction을 활용한 과학수업이 초등학교 3학년 학생들의 수업참여도 및 토론 능력 신장에 미치는 영향)

  • Kim, KyuHwan
    •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 /
    • v.42 no.3
    • /
    • pp.352-370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Peer Instruction can continuously help improve third-grade students' participation and their ability to debate in Science classes. There were multiple-choice questions relating to the discussions and debating class and Peer Instruction of the entire third grade Science curriculum which had been applied for six months. Also, after looking into the class participation and the debating ability, there was a degree of increase. As a result, there were five areas in class participation which are class preparation, class activity, expressing oneself, class expansion, and class dedication; all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the six areas of the discussion skill: logic, analytical skill, listening skill, receptiveness, regularity, and initiative. As it shows, both of these areas show a significant statistical effect on the application of Peer Instruction and confirm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change in the participation and the discussion skills.

Design of Web-based Project Learning Models in Computer Education (컴퓨터 교육을 위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설계 모형 탐색)

  • Jang, Young-Jin;Lee, Mi-Wha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6.01a
    • /
    • pp.249-254
    • /
    • 2006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제재를 주제로 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 학습과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제이론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 모형을 설계하여 초등학교 컴퓨터 교과의 주제를 중심으로 웹 기반 프로젝트 학습을 설계하였다. 설계 단원은 초등학교 6학년 컴퓨터 교과(재량교과)의 '정보의 이해와 윤리', '컴퓨터 기초', '소프트웨어의 활용' 영역을 예비 학습으로 학습하고, 주제별로 그룹별 프로젝트 활동을 함으로써 학습자 중심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 PDF

Case Study on the Development of STEAM Instruction Material for Mathematics Subject-Based Advanced Technology and ICT Teaching Tools (초등수학 교과 기반 첨단 기술 및 ICT 교구 활용형 융합교육 자료 개발에 대한 사례 연구)

  • Lee, Jong-hak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 /
    • v.25 no.4
    • /
    • pp.333-352
    • /
    • 2022
  • This study is aimed at developing the STEAM instruction materials for mathematics subject-based advanced technology and ICT teaching tools. In order to develop the STEAM materials, a PDI model in which the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steps were simplified to Improvement was used. The developed STEAM materials were revised and supplemented by a group of experts. The subject of the STEAM class material developed in this study is 『Graph! The bridge that connects the past, present and future』 , 『You are the same but different!』 , 『Creating a virtual reality three-dimensional space together』 , 『And making interesting figures』 and 『Cover the roof of the turtle ship!』 . As a sugges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development study, various STEAM education materials should be developed and shared so that STEAM education can be performed in the elementary education field. And for the spread and settlement of STEAM education, the cultivation and expansion of STEAM education capabilities of on-site elementary school teachers or pre-service teachers will be an absolute prerequisite. And this suggests the need for a continuous and long-term approach to follow-up research on STEAM education.

Examining the Students' Generalization Method in Relation with the Forms of Pattern - Focused on the 6th Grade Students - (패턴의 유형에 따른 학생들의 일반화 방법 조사 - 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

  • Lee, Muyng-Gi;Na, Gwi-Soo
    • School Mathematics
    • /
    • v.14 no.3
    • /
    • pp.357-375
    • /
    • 2012
  • This research intends to examine how 6th graders (age 12) generalize various increasing patterns. In this research, 6 problems corresponding to the ax, x+a, ax+c, ax2, and ax2+c patterns were given to 290 students. Students' generalization methods were analysed by the generalization level suggested by Radford(2006), such as arithmetic and algebraic (factual, contextual, and symbolic) generalization. As the results of the study, we identified that students revealed the most high performance in the ax pattern in the aspect of the algebraic generalization, and lower performance in the ax2, x+a, ax+c, ax2+c in order. Also we identified that students' generalization methods differed in the same increasing patterns. This imply that we need to provide students with the pattern generalization activities in various contexts.

  • PD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Addiction and School Life Adjust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생 아동들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 Kim, Kyung-Bin;Lee, Moo-Sik;Na, Baeg-Ju;Hong, Jee-Young;Hwang, Ji-Hye
    • Proceedings of the KAIS Fall Conference
    • /
    • 2010.05b
    • /
    • pp.1205-1208
    • /
    • 2010
  • 본 연구는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인터넷 사용에 대한 교육적 지도방안과 인터넷 중독 예방프로그램 개발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자료는 2009년 7월 1일에서 7월 24일까지 제주특별자치도에 위치한 초등학교 6개교(동지역 4개교, 읍지역 2개교)를 무작위 추출하여 5, 6학년 학생 총 1195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12.0 한글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카이제곱검정,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의 통계적 방법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대상자의 인터넷 중독 정도는 고위험군 55명(5.5%), 잠재적위험군 49명 (4.9%), 정상군 900명(89.6%)으로 나타났으며, 둘째,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를 분석한 결과 성별, 형제자매 유무, 학교성적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대상자의 컴퓨터 사용 특성에 따른 인터넷 중독 정도는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 인터넷 이용용도, 하루 인터넷 사용 시간, 부모컴퓨터 사용 여부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넷째, 인터넷 중독과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학교생활 부적응인 경우는 '고위험군' 32명(58.2%), '잠재적위험군' 24명(50.0%), '정상군' 257명 (28.7%)으로 고위험군과 잠재적위험군이 정상군보다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다(p<0.01). 다섯째, 인터넷 중독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학교생활 적응 정도, 성별,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 인터넷 이용용도, 인터넷 이용 상황, 어머니 직장 유무, 거주 지역, 부모 컴퓨터 사용여부, 최초 인터넷 이용시기이었다.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을 때, 남학생, 하루 인터넷 사용시간이 3시간 이상, 인터넷 이용 용도가 '게임', '스트레스가 쌓였을 때' 인터넷을 이용하는 경우, 어머니 직장이 있는 경우, 거주 지역이 동지역, 부모님이 컴퓨터를 사용할 줄 모르는 경우, 최초 인터넷 이용 시기가 취학 전인 경우가 인터넷 중독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학교생활 적응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변수는 인터넷 중독 점수, 학교성적, 가정경제수준, 거주지역, 인터넷 이용용도, 학년이었다. 인터넷 중독 점수가 낮을수록, 학교성적이 높을수록, 가정경제수준이 잘 살수록, 거주지역이 동지역, 인터넷 이용용도가 '정보검색, 홈페이지관리/메신저', 5학년인 경우에 학교생활 적응을 더 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생활 적응 정도가 낮을수록 인터넷 중독 점수가 높게 나타나고 있고, 인터넷 중독 경향이 높을수록 학교생활 적응 수준이 낮게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동들은 하루중 대부분의 시간을 학교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에 학교생활 적응은 아동들이 건전한 성인으로 성장하는데 중요한 요인이 된다. 또한, 인터넷사용률 증가와 최초 인터넷 이용 연령층이 점점 낮아지고 있음에 따라 인터넷 중독률이 자연스럽게 점점 높아질 것으로 예측되어진다. 따라서, 가정과 학교가 연계하여 아동들의 인터넷 사용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며, 인터넷 중독경향이 높은 아동들이 학교생활 적응을 잘할 수 있도록 인터넷 중독 치료 및 예방교육 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다 하겠다.

  • PDF

Investigating Sixth Graders' Understandings of Science-Technology-Society-the Environment (STSE) Relationship and Challenges of STSE Teaching (6학년 아동들의 과학-기술-사회-환경(STSE)의 관계에 대한 인식과 STSE 교육의 과제에 대한 고찰)

  • Kim, Mi-Jung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 /
    • v.26 no.3
    • /
    • pp.309-320
    • /
    • 2007
  • 과학교육에서는 과학과 기술과 관련된 사회적 또는 환경 문제의 증가를 더 이상 간과할 수가 없게 되었고, 이로 인해 과학-기술-사회-환경(Science-Technology, Society-the Environment: STSE)교육을 통한 실천적 과학 소양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는 환경 내용을 다룬 초등학교 6학년 2학기 과학 단원, 3. 쾌적한 환경을 학습하는 과정에서 환경 중심 STSE 교육의 어려움과 그 가능성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두 개의 반 아동 86명은 단원 학습에 참여하는 동안 설문, 그리기와 쓰기, 면담에 참여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아동들의 과학-기술-사회-환경의 관련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 지식의 실천적 소양이라는 측면에서 분석되었다. 결과로는 첫째, 과학-기술-사회-환경의 관계에 대한 아동들의 인식은 현대 사회가 가지고 있는 가치관과 복잡하게 얽혀 있었으며, 이 안에서 과학/기술의 발전은 사회 발전과 환경 문제의 두 측면에서 다소 상반적인 관계를 보였다. 둘째, 환경 문제에 대한 아동의 인식은 높은 반면 실천적 소양의 측면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셋째 과학-환경 지식은 환경 문제 인식과 문제 해결에 그다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실천적 과학 소양을 위한 과학-기술-사회-환경 교육의 문제점과 어려움에 대해 논의한다.

  • PDF

The Survey of Children's and Their Parent's Satisfaction for School Lunch Program in Elementary (초등학교급식 운영에 대한 학생과 학부모의 만족도 조사연구)

  • Kim, Eun-Mi;Jeong, Mi-Kyoung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 /
    • v.35 no.6
    • /
    • pp.809-814
    • /
    • 2006
  • The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their parents with the school lunch program by foodservice system was assessed by questionnaire. The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survey were 1,136 students, first-6th grade elementary school children and 1,140 parents in Seongnam area. The result was as follows: the satisfaction score for school lunch program by foodservice system was rated as 'high'. Students' and parents' satisfaction score were 3.63 point and 3.62 point (5-point Likert rating scale), respectively. Difference of satisfaction score by grades was that high grade students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low grade students' (P<0.001). Five grade students' score was 3.23 point and 2 grade students' score was 4.04 point. Children's favorite food types were meat, dessert, cooked rice and fried food. The least preferred food types were green and seasoned vegetable, kimchi, soup and fish. Students felt shortage of favorite foods and a lot of dislike foods. Parents answered that thorough sanitary management (22.5%) and use of good quality foodstuffs (11.5%)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improvement of the school lunch program.

A Review on Teaching Elementary School Mathematics Though Storytelling (스토리텔링을 통한 초등학교 수학학습에 대한 고찰)

  • Jeong, In Su;Park, Sung Sun
    • Journal of Elementary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 /
    • v.17 no.3
    • /
    • pp.541-554
    • /
    • 2013
  • Recently, storytelling was emphasized in mathematics education for students to have interest in mathematics and active attitude about the mathematics. Storytelling can provide a meaningful mathematical context that motivates children to learning mathematics actively. And also, the power of storytelling for engaging children in mathematics learning was evident in the many research. According to this trend, the new mathematics textbook applying storytelling was developed. Already this textbook applying storytelling was used in grade 1-2 in 2013. Grade 3-4 will use this new textbook in 2014 and grade 5-6 will use new textbook in 2015. This study reviewed the mathematics educational meaning of storytelling and discussed the educational rationale of introducing the storytelling in mathematics education, and offered practical teaching method for applying storytelling in mathematics instruction.

  • PDF

Effects of Self-Assertiveness on Self 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in Elementary Students (초등학생의 자기표현과 자기효능감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 Lee, Kyoung-Sook;Lee, Kyung-Hee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7 no.2
    • /
    • pp.71-81
    • /
    • 2017
  •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among self assertiveness, self efficacy, school adaptation and related factors. Data collection from July 11, 2015 July 20 were enrolled in two elementary school. The questionnaire was filled out by 905 elementary students from 3rd to 6th grade in cities of Busan and Ulsan. Self assertiveness for the elementary student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elf efficacy and school adaptation. Also, self efficacy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hool adaptation of elementary student. Amo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actors affecting school adaptation were student-teacher's relationship, school grade, gender, friendship, confidence, self-control, preferred task difficulty, body language and contents of expression significantly accounted for 57.5%. The most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school adaptation was confide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