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등학교 어린이

Search Result 199, Processing Time 0.071 seconds

A Study on Search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정보탐색행태에 관한 연구)

  • SaKong, Bok-Hee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
    • v.38 no.3
    • /
    • pp.353-381
    • /
    • 2007
  • The primary questions addressed by this research are the followings: Have the OPAC interfaces of elementary school libraries been designed user-friendly; What difficulties do OPAC searchers experience in using OPACs; How do they perceive the system after searching it; Finding the answers of those questions the problems of OPAC as a searching tool were grasped and recommendations were suggested in order to improve the system. An experiment was conducted and 35 elementary school students performed 5 searching tasks. The searching behavior of OPAC searchers was analyzed thoroughly. The data of their perceptions about the system was collected through a questionnaire after completing the tasks.

  • PDF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 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 Hue, Youn-Sun;Im, Seung-Bin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 /
    • v.38 no.5
    • /
    • pp.1-11
    • /
    • 2010
  • The outdoor space of an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familiar and most educational area for children.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has demanded a new role and direction for these outdoor spaces. The construction of children-friendly spaces, however, lags behind. The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s very meaningful at a time when many outdoor spaces have difficulties in reflecting the varied and specific demands of children. This study realized the necessity for a design that includes a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in construction the outdoor spaces of elementary schools. Through reference study and a theoretical approach of related laws, this study established a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ess model and applied it to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The design process included playing games and providing interesting tools to increase the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suggesting and presenting their opinions more freely. The design process of this study is described in five steps(eliciting interest in and recognition of the target space, Understanding children's expectations and the expressing thereof, Establishing factors for planning, Visualizing and arranging spaces, and Decision-making and building a final design plan). This process was applied to the planning and design of an outdoor space for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In this study, it is clear that the design of the participators and experts have a different purpose. Thus, the process of the design has more meaning than the final product.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an improvement in both tangible and intangible designs will be seen. Using a participatory design process, this study successfully improved the facilities and arrangement planning of an outdoor space. At the same time, it also enhanced the interest and participation of children in the process of creating the kind of school they desi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has suggested an effective model to reflect the demands of children, the true users of the outdoor space, and the results were actually applied to elementary school outdoor planning and designing. This study enhanced the awareness of school members in the process of building the school's outdoor space.

Influences of Computer Use on the Eye-Sights of Higher Grades Pupils in Primary Schools (컴퓨터 사용이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시력에 미치는 영향)

  • Nam, Jae-Cheol;Lee, Soo-Jeong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457-465
    • /
    • 2004
  • 한국정보문화진흥원에 따르면 국내 전체 가구 컴퓨터 보급률은 매년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전체 국민의 인터넷 이용률 및 계층별 인터넷 이용률 모두 매년 증가하고 있어 사회 전반의 정보화가 크게 진전되고 있다. 이로 인한 어린이들의 컴퓨터 사용도 급격하게 늘어나고 있어 이제는 컴퓨터 사용에 따른 시력장애는 단지 어른들에만 해당되는 것은 아니다. 버컬리 대학의 P.Hoenig이 수행한 한 연구는 컴퓨터로 많은 시간을 보내는 어린이와 근시에는 밀접한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컴퓨터를 사용하는 성인 70% 이상이 컴퓨터 시력 증상(CVS)을 겪고 있으며 이 증상은 걷기 전부터 컴퓨터를 접해온 많은 어린이들에게도 나타날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1] 한편 컴퓨터가 직접적으로 아이 시력을 떨어뜨리지 는 않으며 어린이들이 컴퓨터를 어떻게 사용하는가에 따라서 시력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본 연구는 컴퓨터의 사용시의 여러 요인이 초등학교 고학년 어린이들의 시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다각적인 설문조사를 통해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어린이들의 컴퓨터 사용시간의 증가는 VDT 증후군의 증가와 시력저하로 이어지고 있고, 학부모들의 어린이들의 컴퓨터 사용 대한 무관심도 시력저하의 요인이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따라 어린이들의 컴퓨터 사용시의 시력보호 방안도 제시하였다.

  • PDF

van Hiele 모델에 의한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에 관한 연구(0 수준과 1 수준의 조작활동 중심으로)

  • 최창우
    •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 /
    • v.1 no.1
    • /
    • pp.59-71
    • /
    • 1997
  • 기하학적 사고력 개발이라는 우리의 목표는 궁극적으로 보다 낮은 수준의 학생들에게 보다 높은 수준으로 나아가게 하는 경험을 주는 것이다. 학생들이 보다 높은 수준에서 추론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들이 보다 낮은 수준에서 충분하고 효율적인 학습 경험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분수에서 이루어지는 것처럼 기계적인 암기식으로 사물을 학습함으로써 수준(단계)을 뛰어 넘으려고 노력하면은 그들이 학습한 것에 관한 많은 것을 기억할 수 없을 것이다. 조작에 관한 보다 풍부한 경험과 시각적으로 입체감을 주는 설명을 들은 어린이들이 보다 훌륭한 공간 추론을 할 수 있을 것이라 믿는다. 본 고에서는 기하학적인 사고의 개발에 관한 van Hiele 모델이 초등학교에서 기하 수업의 토론을 위한 기초로서 사용되어졌다. 그 모델의 수준들이 묘사되었고 일반적으로 초등학교 아동들의 사고는 0수준과 1수준이라 는 것이 밝혀졌다. 단지 극소수의 아동들이 2수준의 사고에 도달해 있을 것이다. 그러나 만약 초등학교에서의 수업이 기하학적인 개념을 구성하는데 주안점을 둔다면 보다 많은 어린이들이 2 수준의 사고를 보여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0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형태에 초점이 맞추어져있고 1 수준의 어린이들은 도형의 성질을 이해하는데 에 있다. 2 수준의 사고자는 도형의 포함관계를 이해하고 비공식적으로 추론 할 수 있다. 처음 세 수준에서의 활동들에 대한 지침이 주어져 있으며 0 수준과 1수준에 연관되는 다수의 활동들을 묘사했다. 0수준의 어린이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그들이 2차원 및 3차원의 도형 둘 다를 시각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이다. 1 수준에서 사고하는 학습자들을 위해 묘사된 활동들은 2차원 및 3차원 도형의 성질들을 강조했다. 아울러 본 고에서 언급한 활동들은 상호교수에의 접근을 반영했다. 그러한 접근방식은 학습자들로 하여금 그들의 활동과 의견으로부터 개념을 구성하게 해주며 그들의 활동 결과에 대해 다른 사람들과 의사소통 함으로서 개념을 명확하게 다듬어지게 해줄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평가 활동들이 본고의 마지막 부분에 주어져있다. 그러한 활동들은 교사들에게 어린이들의 기하학적인 사고수준을 결정하게 해주며 학습자들로 하여금 수업시간 이외에 보다 높은 사고수준으로 나아가게 해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

Awareness and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n Children's Favorite Foods (초등학생의 어린이 기호식품에 대한 의식과 섭취 실태 조사)

  • Kim, Jong-Gyu;Jung, Min-Ji;Kim, Joong-Soon
    • Journal of Food Hygiene and Safety
    • /
    • v.31 no.3
    • /
    • pp.176-185
    • /
    • 2016
  •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elementary school children's awareness on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their consumption behavior of the foods. This study also focused on the association between the variables and gender/grade.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with direct interview among three hundreds and six elementary school children (188 boys and 118 girls) from 13 schools of a city of Korea,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Among the overall proportion, more than 20% of the respondents did not know children's favorite foods and/or have no information source on the foods. More than 60% of the respondents consumed children's favorite foods more than 1 to 2 times a week. Only 16% respondents got information on children's favorite foods at home and 37% at school.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p < 0.05) between gender/grades and knowledge/route of information on children's favorite foods. Boys had more knowledge than girls (p < 0.05), however they showed worse attitude on children's favorite foods and consumed more the foods. The higher grade children had more knowledge, better attitude and various routes of information on children's favorite foods (p < 0.05), but consumed more the fo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a discrepancy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behavior. This study also indicate that school food-service program and food hygiene/safety education in school and at home should be improved. Strong implementation of laws for regulation of selling adulterated food around elementary school may be another step in controlling consumption of the food by school children.

Status and Improvement Plans for Sidewalk Safety Facilities (Barrier) in Child Protection Area (어린이보호구역 내 보도안전시설(방호울타리) 설치 현황 및 개선 방안)

  • Bong-Chul Joo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isaster and Security
    • /
    • v.16 no.4
    • /
    • pp.137-145
    • /
    • 2023
  • Accidents involving deaths of children and pedestrians continue to occur in child protection zones, also known as school zones. Over the three years from 2019 to 2021, 11 child deaths occurred in school zones in Korea. In December 2022, a fatal accident occurred among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a school zone near an elementary school in Gangnam-gu, Seoul. In April 2023, an accident occurred in which an elementary school student died in a school zone near Seo-gu Middle School in Daejeon and an elementary school in Yeongdo-gu, Busan. Until recently, child deaths continued to occur on sidewalks in child protection zones. It is time to closely review the status of safety facilities installed in school zones and related regulations. We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current status of safety facilities and related regulations installed on sidewalks in child protection zones in Korea, and identified matters necessary for institutional improvement regarding safety facilities for sidewalks in child protection zones.

An Analysis of the Percep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on Educational Graphic Novels (학습만화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와 사서교사의 인식 분석 연구)

  • Lim, Yeojoo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 /
    • v.46 no.4
    • /
    • pp.341-360
    • /
    • 2012
  • This study is part of a larger project that investigated the patterns of children's use of educational graphic novels (EGNs), a publication format that has been popular among young readers in Korea since 2000. In-depth interviews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uncovered tension and gaps between these adult professionals and children's enjoyment of the format. Interviewees' views on EGNs ranged from limited tolerance to a potential candidate for high-interest / low-vocabulary reading. All teachers and school librarians urged for guidelines and criteria for selecting and evaluating EGNs for children.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Web-Based Reading Activity Management System (웹 기반 독서활동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구현)

  • Kim, Ho-Geun;Yang, Chang-M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167-176
    • /
    • 2004
  • 어린이들은 독서 활동을 통해 새로운 지식을 얻고, 생활의 즐거움을 얻으며, 사고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이 때문에 학교에서는 독서교육을 강조하고 있고 정부에서도 모든 학교에 도서관 설치 운영 계획을 추진하고 있으며 사이버 도서관이 갖추어져 운영되고 있다. 사이버 도서관의 운영은 독서교육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으나 초등학교 어린이들이 즐겨 참여할 수 있고 독서 교육에 효율적인 구조로 운영되는 사이트를 찾기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독서 활동에 자기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독서교육을 할 수 있는 독서활동 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축한다.

  • PDF

Design of Learning management system using Home Robot (홈 로봇을 활용한 초등학교 학습도우미 시스템 설계)

  • Choi, Jae-Seong;Kim, Dong-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8a
    • /
    • pp.381-388
    • /
    • 2004
  • 가까운 미래의 가정에서는 여러 기능을 가진 로봇이 등장하여 사람과 늘기도 하고 집도 지키는 방범활동도 수행하는 등 공상과학영화 속의 일들이 현실로 다가올 것이다. 핵가족화와 맞벌이 부부의 증가로 어린이들이 혼자 집에 있는 시간이 많아졌으며 이에 불안을 느낀 학부모들은 자녀들을 학원 등의 사설교육기관에 맡겨 사교육비의 증가가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그러나 가정에서 부모와 떨어져 있는 동안의 어린이의 생활을 보여주거나 학습을 도와주는 로봇이 가정에 있다면 부모들은 안심하고 직장생활에 더욱 충실하게 될 것이며 사교육비의 감소현상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가정용 로봇이 서비스하게 될 기능들 중에 초등학교 어린이의 학습을 도울 수 있는 기능에 초점을 맞추어 설문을 통해 요구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홈 로봇과 사용자간의 메뉴를 크게 일정관리, 학습관리, 학습, 메신저 등의 카테고리로 분류하여 각 항목별로 세부 서비스 내용을 체계화하였다. 로봇을 활용한 학습 도우미 시스템의 설계는 앞으로 무한한 부가가치를 창조하게 될 로봇산업의 발달과 새로운 형태의 교육을 가능하게 하는데 큰 기여를 하게 될 것이다.

  • PDF

Design of Hangeul Orthography Instruction system in Elementary Schools (초등학교 한글 맞춤법 학습시스템 설계)

  • Hong, Sung-Ik;Kim, Dong-Ho
    • 한국정보교육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04.01a
    • /
    • pp.187-194
    • /
    • 2004
  •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글쓰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한 결과 각 학년마다 공통적으로 오류를 범하는 글자가 있었다. 수업시간 또는 수업 후에 개개의 어린이들에게 맞춤법지도를 하고 올바른 한글 사용법을 가르쳐야 하겠지만 여건상 모든 어린이들을 상대로 지도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 따라서 공통적으로 오류를 범하는 글자를 조사하고 올바른 표현법으로 수정하여 학습자료로 제작하면 맞춤법 지도에 특별한 시간을 할애하지 않더라도 학습자 개개인이 개별학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웹을 이용하여 올바른 한글 맞춤법에 대하여 인터넷과 컴퓨터라는 공간에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받지 않고 상호작용이 가능하도록 구현하여 한글맞춤법 학습활동이 자기 주도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있으며 나아가 올바르게 한글을 사용하도록 태도를 형성하는데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