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 청소년기

Search Result 124,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ssociations among Changes in Cellular Phone Dependency over Time, Parental Support, and Social Withdrawal in Adolescence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의 변화와 부모 지지, 사회적 위축 간의 관계)

  • Choi, Jung-Ah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4.11a
    • /
    • pp.373-37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기의 휴대폰 의존의 시간의 흐름에 따른 발달적 변화를 확인하고, 부모 지지 및 사회적 위축과 이러한 변화 사이에 어떠한 종단적 관계가 있는지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한국아동 청소년패널조사(KCYPS) 중학교 1학년 1~3차년도 자료에 대하여 잠재성장모형을 구성하여 이에 대한 실증적 검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중학교 1학년에서부터 3학년까지 휴대폰 의존 정도는 선형으로 증가하는 패턴을 보였으며, 1차년도의 부모지지는 휴대폰 의존의 초기치에, 그리고 휴대폰 의존 초기치와 변화율은 각각 3차년도의 사회적 위축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도출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청소년기 휴대폰 의존에 대한 예방 및 개입과 관련된 함의가 제시되었다.

  • PDF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에 매개효과

  • Choe, Pil-Yeol;Byeon, Sang-Hae
    • 한국벤처창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2022.11a
    • /
    • pp.67-70
    • /
    • 2022
  • 최근 코로나19가 발생한 2020년부터 청소년의 문제행동은 지능화, 다양화되고 범죄와 폭력의 비중은 높아지고 있다. 청소년의 절도, 사기, 장물, 횡령 등과 같은 초범의 재산 범죄가 44.8%(2015)에서 45.1%(검찰청, 2020), 언어 및 신체의 학교폭력 피해자가 45.2%(2015)에서 54.1%(교육부, 2021)로 나타나 청소년 문제행동에 대한 심각한 실정을 알 수 있다. 청소년기의 범죄와 폭력은 욕망을 충족하기 위한 수행과 목표 달성의 도구적 행위이며 고위험군의 외현화 문제행동이다(Cornish & Clarke, 2002). 외현화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외현화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인지적 정서조절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고등학교 학생 9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SPSS ver. 25.0과 Hayes(2013)가 개발한 Process Macro를 사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기부적응심리도식이 높을수록 외현화 문제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F=41.871, p<.001). 둘째, 초기부적응심리도식과 외현화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F=111.594, p<.001). 따라서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현화 문제행동을 예방 및 감소, 초기 부적응심리도식의 완화를 위해 인지적 정서조절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상담 및 교육프로그램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의의가 있다.

  • PDF

Factors Influencing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During Adolescents and Early Adulthoods (청소년기 및 초기 성인기의 성지식과 성인지 감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Hae Su Na;Sun Goo Lee;Kang Min Baek;Woo Young Im;Seung-Gul Kang;Seong-Jin Cho;Kyoung-Sae Na;Jae Myeong Kang;Seo-Eun Cho;Seung Min Bae
    • Korean Journal of Psychosomatic Medicine
    • /
    • v.31 no.1
    • /
    • pp.25-32
    • /
    • 2023
  • Objective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vel of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and factors influencing on them among Korean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Methods : 129 questionnaires from high school and college students with consent forms, collected from July to December of 2022, were analyzed. After identification of participants' gender, age, major, their report of the practicality of sex education, and their experience of violence or sexual assaults, participants' level of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were compared. Results : Females showed higher gender sensitivity, regardless of age and group (p=0.004). The early adulthood group (≥19 years old) showed higher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compared to those adolescents (<19 years old). Among college students, those who majored in health science were identified with higher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compared to non-health science major students(p<0.001; p=0.005). Conclusions : This study reveal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according to sex, age, and majors in adolescents and early adults. Therefore, it seems to be necessary to consider the differences in sexuality knowledge and gender sensitivity among age, sex, and majors when establishing public policy or legislation for sex crimes, including digital sex crimes.

Identifying latent classes about the changing trajectories of child maltreatment by child developmental period (아동발달시기별 아동학대 변화궤적 유형 비교 연구)

  • Han, Jihyeon;Choi, Okchae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hild Welfare
    • /
    • no.59
    • /
    • pp.183-208
    • /
    • 201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groups depending on the change trajectory of child maltreatment in childhood and early adolescence. For this study, the data from waves two through six (2011-2015) of the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KCYPS) were used. Participants included first-grade (n=2,300) and fourth-grade (n=2,325) elementary school students. A latent class growth model (LCGM) using Mplus 7.21 was adopted to classify the types of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child maltreatment.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physical abuse, childhood from the second to the sixth grades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creased, low maintenance, increased, and no maltreatment type. In addition, early adolescence from the fifth grade of elementary school to the third grade of middle school was also classified into the same types. Second, in emotional abuse, childhood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decreased, increased, and no maltreatment type. Early adolescence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decreased, low maintenance, increased, and no maltreatment type. Third, in neglect, childhood was classified into four groups: maintenance, low decreasing, low increasing, and no maltreatment type. Early adolescence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maintenance, low increasing, and no maltreatment type. According to the change of child maltreatment by developmental period, physical abuse continued from childhood to early adolescence, whereas emotional abuse and neglect increased in early adolescence compared to childhoo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classifying latent classes depending on maltreatment types.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were suggest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The Exploratory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the Families with Early Teens (초기 청소년기 가족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 Lee, Jung-Yeon;Lee, Chang-Sook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 /
    • v.12 no.2
    • /
    • pp.161-171
    • /
    • 2003
  • 초기 청소년기 자녀를 둔 부모는 사춘기에 대한 지식의 부족, 사춘기 자녀의 사고유형에 대한 이해부족, 그리고 세대차이로 인해 자녀양육에 상당한 문제를 지니고 있다. 본 연구는 부모-자녀간의 관계를 개선하고 그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돕기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1315PEP" 프로그램의 구체적인 주제는 부모로서의 자신의 모습 바라보기, 자녀의 세계 이해하기, 인성유형 상호 이해하기, 자녀의 독립과 자율성 격려하기, 훈육기술 익히기, 그리고 문제해결하기 등이다.

  • PDF

Socialization of Prosocial Behavior in Early-Adolescence: The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edness (종단 사회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친사회성의 사회화 과정 탐색: 사회적 관계성의 조절효과)

  • Kim, Jingu;Kang, Eunyoung
    • Korean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 /
    • v.17 no.1
    • /
    • pp.1-16
    • /
    • 2020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peer socialization processes on early adolescents' prosocial behaviors in friendship networks. A longitudinal social network model (SIENA) was used to disentangle socialization process in prosocial behavior. Participants were fourth and fifth graders in South Korea from 39 elementary school classrooms (N=1,040, 48% girls). According to results, students select friends based on similarity in prosocial behavior (peer selection) was found in both prosocial behaviors. Peer influence effects were also observed in prosocial behaviors. Also, moderating effect of social relatedness was significant. In classes with high social relatedness, influence effect of prosocial behavior was significant. As a contrast, prosocial behavior was not socialized in classes with the low social relatedness. Results suggest that peernetwork play a critical role in the co-evolution of friendships, and prosocial behaviors. Findings yielded the importance of the socialization process and promoting healthy peer socialization environment.

Effects of Family Cohesion and Self-Efficacy on School Adjustments in Adolescence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대한 가족응집력과 자기효능감의 영향)

  • Choi, jung-ah
    • Proceedings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283-284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기~후기 청소년기의 학교적응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 및 개인 요인과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족요인으로서 가족응집력과 개인요인으로서 자기효능감, 그리고 학교적응 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2010 한국청소년건강실태조사(Korean Survey on the Health of Youth and Children in 2010)를 통하여 9,844명의 제주도를 제외한 전국 초등학교 4~6학년생과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에 대하여 구조방정식모형을 이용하여 그 적합도와 주요 변수들 간의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설정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응집력은 자기효능감과 학교적응에 각각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며, 자기효능감 역시 학교적응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가족응집력과 학교적응 사이에서의 자기효능감은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매개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학령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입 방안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 PDF

Multilevel Modeling Analysis of Developmental Changes in Early Adolescent Aggression and Family Factors (초기 청소년기 공격성의 발달적 변화와 가족 영향 요인에 대한 다층모형 분석)

  • Choi, Jung-Ah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 /
    • v.14 no.2
    • /
    • pp.294-307
    • /
    • 2014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jectory of early adolescent aggression and to assess the effects of perceived family factors on i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hanges in aggression over time and the effects of three family factors,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conflict, on the changes using multilevel modeling. The data from Korea Youth Panel Survey(KYPS) of fourth graders who were followed over five years were analyzed.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average increase followed by a slight decrease in aggression over time; that is, the data followed a quadratic trend. Parental attachment, parental monitoring, and family conflict had significant time-independent effects on aggression, while only family conflict had a significant time-dependent effect on aggression. These results imply that family factors need to be emphasized in plann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programs to reduce aggression during adolescence.

최신의학상식 - 이어폰 사용과 소음

  • Kim, Gyu-Sang
    • KOREAN ASSOCIATION OF OCCUPATIONAL HEALTH NURSES
    • /
    • v.19 no.4
    • /
    • pp.25-32
    • /
    • 2012
  • 최근에는 산업장 근로자나 노인에게 주로 발생되던 청력손실이 청소년에까지 점차 확대되면서 청소년의 청력뿐 아니라 청소년의 청력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환경 및 요인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그 중 외국어 공부나 음악감상용으로 청소년들 사이에 생활필수품처럼 널리 이용되고 있는 휴대용 카세트가 청소년의 소음성 난청원으로 매우 위험하다는 연구결과가 제시되어 학부모, 교사, 전문가에 의해 청소년 청력상태에 대한 조사와 청력손실을 유발하는 위험요인에 대해 많은 연구가 실시되었다. 청소년기에 취미/오락활동, 가정내 기계 기구, 음악, 교통 등의 소음에 상시적으로 노출될 수 있다. 직업적으로 소음에 노출된 적이 없는 청소년에게서 소음성 난청이 발생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고 있는데, 청소년의 소음성 난청은 큰 소리를 내는 장난감과 개인용 음향기기, 콘서트장, 밴드활동 등의 음악과 관련이 있으며 이외에 모터사이클, 모터 스포츠 등의 레저 활동과 관련이 있다. 이러한 소음은 작업장 소음에 의한 초기 청력손실처럼 3~6 kHz 역의 청력손실을 특징적으로 보여준다. 이 글에서는 주요 취미활동과 관련하여 MP3 등 개인용 음향기기와 헤드셋 착용 근로자의 소음 노출 수준과 이에 따른 청력영향을 살펴보고, 소음저감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