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기화재진압

검색결과 58건 처리시간 0.021초

초고층 복합빌딩의 방재센터의 방재정보센터 적용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pplying of the Disaster Information Center of High-rise Complex Building)

  • 김정훈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5-116
    • /
    • 2023
  • 최근 초고층 건축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고, 더욱이 건설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초고층 복합빌딩의 계획과 건설이 더욱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화재 등과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거주자의 대피 및 소방공무원의 화재진압 활동이 어려워 국가적 재난으로 확대될 위험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고층 복합빌딩에서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거나 발생하는 사고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등 재난관리를 통합적으로 하기 위한 방재정보센터의 운영이 무엇보다 중요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초고층 복합빌딩의 개념과 문제점에 분석하고, 방재정보센터의 특성 및 향후 방안을 고찰하였다.

  • PDF

소형선박용 무인기관실 초기화재 진압시스템 개발 (Developing of an extinguishing system for a fire at an early stage in Unmanned Engine Room for small vessels)

  • 김성윤;김동석;김유택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마린엔지니어링학회 2006년도 전기학술대회논문집
    • /
    • pp.333-334
    • /
    • 2006
  • Extinguishing a fire at an early stage is most important to prevent spreading of a fire in Unmanned Engine Room. The most proper fire extinguish system was analyzed after examining the Automatic spread Extinguish System, which is mostly installed in Unmanned Engine Room, reproduced in the condition of real Unmanned Engine Room.

  • PDF

메타버스를 활용한 관광형 스마트시티의 재난 대비 방법 (Disaster Preparedness Method for Tourism-type Smart City using Metaverse)

  • 김성;박영세;하영석;석광호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2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5-416
    • /
    • 2022
  • 전주는 가장 한국적인 도시답게 모든 사적과 여 채가 있는 한옥마을의 건물이 모두 목재와 기와로 지어진 한옥으로 밀집되어 있어서 화재와 지진, 풍수해 시에 소방차나 구조차의 진입에 어려움이 있다. 이로 인해 초기 화재 진압 시간이 지연됨에 따라 인명피해와 함께 국보와 사적지가 전소될 수 있어 인명과 문화재 보전을 위해 소방시설의 확충과 안전관리가 절실하게 필요하다. 이에 재난 대비를 위한 방법으로 소방 드론을 활용하는 것이 최적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메타버스 플랫폼인 로블록스를 활용하여 스마트시티-전주를 구현하였고, 소방드론을 활용할 수 있는 드론 소방서를 제안하였다.

  • PDF

화재수신기 기반의 화재감시로봇을 위한 프로토콜 설계 (Protocol Design for Fire Receiver­based Fire Detection Robots)

  • 임종천;이재민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452-459
    • /
    • 2018
  • 기존의 화재 관련 소방로봇들은 원격조종기로 제어되어 화재현장에서 화재 상황을 감시하거나 화재를 진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화재 발생 후 골든타임 안에 로봇을 준비하고 투입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어 소방로봇으로서의 역할을 충분히 다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자율 주행 화재감시로봇을 활용하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여 화재 신호 발생 시 출동한 로봇이 화재 현장의 동영상을 촬영하여 방재 담당자에게 영상을 전달함으로써 실제로 화재가 발생했는지 또는 오보인지를 확인 할 수 있도록 정확하고 빠른 판단 기회를 제공하고 동시에 화재를 초기 진압함으로써 대형 사고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자율이동 화재감시로봇의 구성과 이 로봇이 화재수신기와 연동하는데 필요한 통신 프로토콜을 제안한다. 실시간으로 다수의 화재감시로봇을 제어할 수 있는 통신 프로토콜을 설계하며 화재수신기와의 통신을 무선 Wi-Fi를 이용하여 이더넷 네트워크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도록 계층적 네트워크로 구성한다. 설계하는 화재감시로봇과 화재수신기간의 무선통신을 구현하고 필드시험을 통하여 동작의 유효성을 확인한다.

국내 대규모 데이터센터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 분석 (Fire and Evacuation Simulation Analysis of Large-Scale Domestic Data Centers)

  • 김동민;고은성;박형균;곽지현
    • 한국재난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재난정보학회 2023년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 /
    • pp.347-348
    • /
    • 2023
  • 본 논문에서는 실제 규모 데이터센터의 3D 모델링을 기반으로 대상 공간별 화재 시나리오를 선정하여 화재 및 피난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FDS와 Pathfinder는 full coupling 방식을 사용할 수 없는 한계가 있으며 semi coupling의 경우 가시화에는 도움이 되나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재실자의 피난 상황 시 경로에 대한 안전성과 화재 위험 노출 정도를 시각적으로 분석하는 것이 가능한 semi coupling과 시뮬레이션 결과 데이터 분석을 병행하여 수행하였다. 전산실의 경우 서버의 기능상실 한계 온도가 32도이기 때문에 서버 기능 정지 상황에 도달하는 시간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였다. 전산실은 업무 및 고객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데이터들을 저장하기 위해 항시 기동 되어야 하는데 전산실 내 화재가 발생할 경우 1~2분 이내 서버 기능이 정지되는 상황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서버가 안전하게 계속 동작하기 위해서는 전력 계측 및 제어 케이블 열화, 서버 장치의 건전성이 유지되어야 하며 초기 화재를 빠르게 감지하여 진압하여야 한다. 피난 시뮬레이션의 경우 가시도를 상실하게 되는 시간이 약 195초(5m 미만) 인근으로 인원이 해당 층을 완전히 벗어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약 125.6초였던 것을 보면 대피하기에 충분한 허용 피난시간(ASET)을 확보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소방취약지 모델의 구성과 정립프로세스 논의 (Discussion on Formulation Process and Configuration of Fire-Fighting Vulnerable Zone Model)

  • 김성곤;장은미;최갑용;김희태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2권3호
    • /
    • pp.71-77
    • /
    • 2014
  • 화재, 폭발 등의 재난현장은 예측할 수 없는 수많은 위험 요소들이 존재하고 있으며 촌각을 다투는 인명 구조나 초기에 불길을 잡지 못하면 막대한 피해로 이어지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특히, 출동 후 5분이내 현장에 도착하는 소방대원은 제한적인 정보와 즉각적인 현장 투입으로 인해 사고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인지하며 임무를 수행하는데 한계가 있어 효율적인 작전 수립 및 전개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으며 우발적인 상황 대처로 소방대원 스스로의 생명을 위태롭게도 한다. 이와 같은 한계 및 위험을 경감시키며 효율적인 진압 및 구조 활동을 전개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사고 현장 및 환경에 대한 상황 정보를 효율적으로 인지하고 활용 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가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국내외 연구는 주로 대형 화재와 같은 재난이 발생할 경우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예상되는 공간적 영역에 대한 화재취약성 관점에서의 연구가 주로 수행되었으며 소방 활동 관점에서의 공간적 취약성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응 방안을 연구한 사례는 매우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화재 진압을 위한 소방 활동에 초점을 맞추어 출동에서부터 진압 구조까지의 소방 활동 전주기를 대상으로 소방 활동 저해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소방취약지 모델을 개발하였다. 또한, 기존 연구의 화재 취약 공간과 본 논문에서 제시하고 있는 소방 취약 공간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해 소방취약지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소방취약지 모델의 목적성 및 적용성을 구체화 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전국 시도 소방본부 관할구역에 대한 소방취약지 유형 분석, 소방 활동 성능 개선을 위한 정책 수립 및 의사 결정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식소화기용 이융성금속 감지부 헝상에 따른 열감응 특성에 관한 연구 (Heat Response According to Fusible Metal Shapes in Automatic Fire Extinguishers)

  • 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4호
    • /
    • pp.64-69
    • /
    • 2003
  • 주택화재 특히 아파트 저층부나 일반주택은 자동화설비 대신 수동식소화기에 의존하고 있어서 사람이 없거나 노약자만 있을 시에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 따라서 화채로 인한 희생을 줄이기 위해서는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자동으로 진압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를 위하여 자동감지장치가 탑재된 경제성 있는 자동식소화기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자동식 소화기의 핵심 기능인 열감지부의 최적 성능을 찾기 위하여 감지부 형상과 가열속도에 따른 작동온도와 응답특성 관계를 규명하였다. 자동감지소화기의 감지부의 이융성금속과 캡의 경우 두 재질 모두 열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임에도 불구하고, 각각의 미소한 두께변화는 주변 대기의 가열속도가 낮을수록 작동온도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융성금속 및 캡의 두께를 얇게 할수록 선형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작동시간을 최고 40초까지 단축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융성금속 응용 자동감지형소화기의 소화성능 특성에 관한 연구 (Fire Suppression Performance of a New Automatic Fire Extinguisher with Fusible Metal Detectors)

  • 박용환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7
    • /
    • 2003
  • 통상 소형 건물이나 일반주택은 자동화설비 대신 수동식소화기에 의존하고 있어서 사람이 없거나 노약자만 있을 시에는 화재에 매우 취약하다. 이에 대한 대책으로 발생한 화재를 초기에 자동으로 진압할 수 있도록, 자동감지장치가 탑재된 경제성 있는 자동식소화기가 개발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에 대한 소화 특성을 현장 화재시험을 통하여 규명하고 그 실용화 방향을 제시하였다. 실험 결과, 제반성능은 우수하였으나, 열감지부인 이융성금속의 작동시간이 공간크기에 따라 크게 변화하고 5분을 초과하는 경우도 발생하므로, 이를 $ 12\m^2$이내의 공간에 대하여 작동시간을 3분 이내로 단축하기 위해서는 용융온도가 더욱 낮은 금속을 사용하고, 설치 위치도 1.5 m 이하보다는 천장부로 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나타났다.

효과적인 복합 소방 관제 모듈의 설계 및 구현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A effective Complex Fire Detector Module)

  • 공병철;이순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1079-1084
    • /
    • 2010
  • 기존의 소방 관제 모듈들은 단순 경보 기능만을 수행하나, 설치비용이 높고, 유지보수 및 시스템 확장이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을 갖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화재 감지 수신기에 부착하여 화재 감지 수신기의 진단 점검과 자기 진단 점검을 수행할 수 있으며 확장성 있는 복합 소방 관제 모듈을 개발하여 기존 소방 관제 시스템의 신뢰성과 안정성 및 경제성을 높였다. 본 모듈에서 제공하는 화재 발생 시간과 위치 정보는 화재의 초기진압을 가능하게 하여 인명과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 수 있으며, 소방 관련 이력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하여 화재 예방에도 기여할 수 있다.

원칩형 PLC를 이용한 IT 기반 방재용 자동화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Development of Disaster Prevention Automation System on IT using One-chip Type PLC)

  • 곽동걸
    • 전력전자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97-104
    • /
    • 2011
  • 본 논문은 건물 내에서 발생되는 각종 화재 및 재해를 자동으로 신속히 감지한 후 현지에 설치된 방재설비들을 자동으로 동작시켜 화재 및 재해를 초기진압하고, 이들 재해상황들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원격지 상황실의 중앙관리시스템에서 모니터링되는 고속 고정밀의 IT 기반의 방재용 자동화시스템을 개발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방재용 자동화시스템은 소형.경량 및 고감도 고정밀의 원칩형 PLC (one-chip type PLC)가 적용되어, 각종 재해 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분석하고 재해발생시 조기진압을 위한 현장의 방재용 구동장치들을 작동시킨다. 또한 검출된 데이터들은 RS232c 및 블루투스에 의한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원격지 상황실에 데이터 전송 및 긴급 경보신호를 송출시키고, 모니터링 프로그램을 구동시킨다. 제안한 IT 기반의 방재용 자동화시스템은 화재와 각종 재해에 대한 예방과 신속한 조치로 인명과 재산의 손실을 최소화 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