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초기강우

Search Result 509, Processing Time 0.028 seconds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Changes for Antecedent Precipitation and Initial Rainwater (선행강우와 초기우수의 수질변화 특성)

  • Park, Jun-Hee;Cdoi, Hyun-Il;Jee, Hong-Ke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1289-1292
    • /
    • 2010
  • 용수부족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댐건설 등의 생태계의 교란을 일으키는 방안을 배제하고 친생태적인 우수이용 등의 대체수자원을 개발하여 수자원 이용효율을 높이는 방안이 중요시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초기우수의 수질특성과 대기의 상태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수문학적 요인인 선행강우에 따른 수질변화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시료채취기간은 2001년 11월 22일에서 2003월 7월 06일까지 발생한 5mm 이상 호우사상을 대상으로 26회 에 걸쳐 초기 우수를 채집하여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 중 봄 12회, 여름 7회, 가을 2회, 겨울 5회였다. 강우량 규모는 5~10mm인 호우가 5회, 10~20mm인 호우가 9회, 20mm~30mm인 호우가 5회, 30mm~50mm 인 호우가 2회, 50mm~100mm인 호우가 3회, 100mm~200mm인 호우가 2회였으며, 이를 채취하여 탁도, 증발잔유물, BOD, NH3-N, ${SO_4}^{-2}$, 전기 전도도 등의 항목을 측정하였다. 우수수질은 강우가 지속됨에 따라 급격히 개선되었으며, 이에 대한 상관관계도 높게 분석되었다.

  • PDF

A Study on the Time Distribution Comparison of frequency Based Rainfall and Estimation of Design Flood (확률강우의 시간분포 비교와 설계홍수량 산정에 관한 연구)

  • Lee, Jung-Ki;Kim, Hung-Soo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9.05a
    • /
    • pp.98-102
    • /
    • 2009
  • 최근 증가하고 있는 집중호우로 인해 피해 규모가 대형화 되어가고 있는 추세로 수공구조물 설계 시 보다 정확한 수문분석을 요구 하고 있다. 강우의 시간분포는 정확한 수공구조물의 설계시 첨두홍수량 산정에 가장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전지역의 기상학적, 지형학적 특성에 맞는 적절한 강우분포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대전지지방기상청의 강우자료 중 강우가 집중되는 기간인 5월부터 10월사이의 강우자료를 바탕으로 강우분석을 실시하였고 갑천 유역에 적용하여 설계홍수량을 산정 하였다.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건설교통부, 2000)에 따르면 Huff 방법에 의한 강우분포의 형태는 초기에 호우가 집중되는 1분위로 나타났고, 본 연구에 의한 방법은 Huff방법의 3분위에 속하는 53%에서 호우가 집중되는 양상으로 나타났다. 이는 Huff 방법이 호우사상별로 분위를 결정 하는 반면 본 연구에서는 지속시간별 강우량을 누가하고 지속시간별 분포형태를 무차 원화하여 결정하였다. 또한 Huff방법과 본 연구 방법의 비교 시 무강우 상태와 누락된 타 분위 호우가 분포형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하였다. 유효우량 산정 시 초기의 강우량이 크면 손실우량도 커지고, 강우의 시간분포 형태에 따라 첨두홍수량도 차이를 보이게 되므로 강우의 시간분포 결정시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이다.

  • PDF

Estimation of Effective Rainfall Through Improving Initial Abstraction Method of NRCS-CN (NRCS-CN의 초기손실량 산정방법의 개선을 통한 유효우량 산정)

  • Park, Dong-Hyeok;Ajmal, Muhammad;Ahn, Jae-Hyun;Kim, Tae-Wo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5.05a
    • /
    • pp.98-98
    • /
    • 2015
  • 강우-유출 모형을 이용하여 직접유출량을 산정할 경우, 유역의 유효우량을 산정하기 위해 NRCS-CN(Natural Resources Conservation Service - curve number) 방법을 주로 사용한다. 그러나 NRCS-CN 방법은 초기손실량을 잠재보유수량의 20%로 가정하고 유효우량을 산정한다. 이는 초기손실량을 과대 추정하여 유효우량의 과소산정을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관측된 강우-유출사상을 바탕으로 초기손실량을 추정하는 방법을 보완하였다. 우리나라 홍수기 동안 강우-유출 자료를 확보한 15개의 유역에 대해 658개의 강우-유출사상에 대하여 NRCS-CN 방법을 기반으로, 초기손실량과 유효우량을 산정하고 이를 관측 직접유출량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효우량을 산정하는 방법으로는 NRCS-CN 방법(M1), NRCS-CN 방법에서 초기손실량계수를 감소시킨 방법(M2), 관측 강우-유출 관계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방법(M3)을 적용하였다. 또한 USDA에서 제시하는 CN값(CNT)과 유역의 경사도를 고려하여 조정한 CN값(CNC)을 각 방법들에 적용하였다. 모형의 성과는 Root Mean Square Error (RMSE), Nash-Sutcliffe Efficiency (NSE), 그리고 Percent Bias (PBIAS) 등을 이용하여 평가되었다. 그 결과 CNT를 M1, M2, M3에 적용한 경우 각 유역에서 평균적으로 [RMSE(0.24, 18.12, and 16.04), NSE(0.54, 0.73, and 0.79), PBIAS(36.54, 20.25, and 12.00)]로 나타났으며. 이와 비슷하게 CNC를 M1, M2, M3에 적용하였을 경우의 각 유역에서 평균적으로 [RMSE(17.17, 15.88, and 13.82), NSE(0.76, 0.80, and 0.85), PBIAS(3.06, 4.47, and 0.11)]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안된 M3방법을 사용하여 추정한 유효우량이 관측된 직접유출량과 통계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값으로 나타났다.

  • PDF

Review of CN and Initial Abstraction in the Hancheon basin of Jeju Island (제주도 한천 유역의 CN 및 초기손실에 대한 검토)

  • Kang, Minseok;Lee, Youngju;Song, sunguk;Yoo, Chulsa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9.05a
    • /
    • pp.211-211
    • /
    • 2019
  • 본 연구의 목표는 제주도를 대상으로 한 강우-유출 과정에서 적절한 CN값의 결정 및 초기손실의 규모를 판단하는 것이다. 제주도는 화산 활동으로 형성된 섬으로 투수성이 좋은 다공질 화산암류 및 화산회토로 이루어져 침투가 쉽게 발생한다. 이러한 토양 특성으로 인해 제주도 유역의 유출해석 수행 시 내륙지역과 동일한 방법을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다. 기존 제주도의 강우-유출연구를 살펴보면 초기손실의 고려방법이나 선행함수조건의 고려방법이 달라 상대적인 비교가 모호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고려방법에 따라 유출해석 결과가 서로 상충되기도 하여 유의한 결론을 제시하는데 무리가 따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 지역의 CN 및 초기손실에 대한 검토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대상유역은 한천 유역으로 선정하였으며, 호우사상은 2012년과 2014년에 발생한 태풍 '카눈', 태풍 '볼라벤', 태풍 '산바', 태풍 '나크리' 호우사상을 적용하였다. 한천 유역의 CN과 초기손실에 대한 검토를 위해 강우 자료는 대상 유역 인근 제주(184), 아라(329), 어리목(753), 진달래밭(870), 윗세오름(871) 지점의 강우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유출량 자료는 한천 하류에 위치한 제4한천교에 관측된 수위 및 유속 자료를 이용하였다. 먼저 각 호우사상별 총 유출량을 기저유출과 직접유출으로 분리하고 직접유출량에 대한 유호우량을 산정하였다. 다음으로 산정된 유효우량을 NRCS의 유효우량 산정방법에 적용되는 총 유량-유효우량 관계모형에 적용하여 유역의 최대잠재보유수량을 산정하였다. 이때 초기손실량은 유역의 최대잠재보유수량의 20%, 30%, 40%로 가정하였다. 마지막으로 산정된 최대잠재보유량을 최대잠재보유수량-CN 관계식에 적용하여 CN을 산정하고, 기존 연구에서 적용한 한천 유역의 CN과 비교하여 그 결과를 검토하였다.

  • PDF

Analysis of surface Fuel Moisture Contents Change after precipitation at Pine forests during the Autumn (가을철 소나무림에서의 강우 후 지표연료의 연료습도 변화분석)

  • Kwon, Chun-Geun;Lee, Si-Young;Lee, Myung-Woog;Lee, Hae-Pyeong
    • Proceedings of the Korea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Conference
    • /
    • 2010.04a
    • /
    • pp.433-437
    • /
    • 2010
  • 가을철 산불조심기간 중 영동지방(동해, 삼척) 침엽수림에 대하여 임분밀도별(소임분 800본/ha, 중임분 800-2000본/ha, 밀임분 2000본/ha 이상) 직경별 지표연료를 0.6cm 이하, 0.6~3.0cm, 3.0~6.0cm, 6.0cm 이상에 대하여 연료습도 변화를 실측한 결과 0.6cm 이하의 경우소임분은 3일차 되는 날 중, 밀입분은 4,5일차에 산불 초기 발화위험성이 나타났으며, 0.6~3.0cm의 경우 강우 익일 후 62-75%의 높은 연료습도를 보이고 있었으며, 소임분은 강우 후 5일차에 산불 초기발화 위험성이 시작되었다. 0.6~3.0cm의 경우 강우 익일에는 75-98%의 연료습도를 나타냈고, 소임분의 경우 6일차에 산불 초기발화 위험성이 시작되었다. 6.0cm 이상의 경우는 6일이 경과하여도 임분별 35-50%의 연료습도를 유지하고 있어서 산불 초기발화 위험성이 적은 것으로 조사 되었다.

  • PDF

Development of Integrated Management System of Stormwater Retention and Treatment in Waterside Land for Urban Stream Environment (도시 하천 환경 관리를 위한 제외지 초기 강우 처리 및 저류 시설 종합 관리 시스템 개발)

  • Yin, Zhenhao;Koo, Youngmin;Lee, Eunhyoung;Seo, Dongil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7 no.2
    • /
    • pp.126-135
    • /
    • 2015
  • Increase of delivery effect of pollutant loads and surface runoff due to urbanization of catchment area results in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in receiving urban streams. This study aims to develop integrated stormwater management system to assist efficient urban stream flow and water quality control using information from the Storm Water Management Model (SWMM), real time water level and quality monitoring system and remote or automatic treatment facility control system. Based on field observations in the study site, most of the pollutant loads are flushed within 4 hours of the rainfall event. SWMM simulation results indicates that the treatment system can store up to 6 mm of cumulative rainfall in the study catchment area, and this means any type of normal rainfall situation can be treated using the system. Relationship between rainfall amount and fill time were developed for various rainfall duration for operation of stormwater treatment system in this study. This study can further provide inputs of river water quality model and thus can effectively assist integrated water resources management in urban catchment and streams.

Runoff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in Small City Urban Area (국내 중소 도시지역 강우유출수의 유출특성)

  • Lee, Hong-Shin;Lee, Seung-Hwan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Engineers
    • /
    • v.31 no.3
    • /
    • pp.193-202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magnitude of first flush in small city urban area an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on the criteria of stormwater runoff management. Monitoring site was surrounded by residential area in Gumi city near to national industrial complex and the monitoring period was three months. Total watershed area was 24.9 ha, where 80% of the area is impervious (asphalt of pavement type). Periodic monitoring of conventional water quality parameters were conducted with six times of rainfall period. Event mean and site mean concentrations for all the parameters were calculated based on the analytical results. Particle size distribution was 9.82 ${\mu}m$ for $D_{0.1}$, 38.99 ${\mu}m$ for $D_{0.5}$ and 159.61 ${\mu}m$ for $D_{0.9}$ respectively. First flush phenomenon was detected highly in particulate solids than dissolved ones. The first flush criteria results by mass first flush contained between 44.4% to 58.5% pollutant mass during the first 30% of runoff volume. Mass first flush ratio and particle size distribution obtained in this study are expected to provide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sign and operation of non-point source treatment facility.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s in an Agricultural Area Watershed (농촌지역 비점오염물질의 유출 특성)

  • Ryu, Kwang-Hyun;Lee, Geon-Jik;Seong, Jin-Uk;Kim, Dong-Sup;Park, Jae-Chul
    • Korean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v.44 no.2
    • /
    • pp.178-186
    • /
    • 2011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runoff characteristics of non-point pollutant sources in an agricultural area watershed in Boeun area, Chungbuk Province. The monitoring site represented 1.56 $km^2$, about 44.4% of which was covered with paddy fields. The monitoring was conducted for six events in a period of 5 month. Event Mean Concentration (EMC) and Site Mean Concentration (SMC) of suspended solids (SS), biochemical oxygen demand (BOD), chemical oxygen demand (COD),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were calculated using the results of the water quality parameters. A comparison between arithmetic mean concentration and EMC revealed that nearly all EMCs were higher than the corresponding arithmetic mean concentrations. First-flushing effects were exhibited for SS, BOD, and T-P, with relatively high concentrations in early-stage storm events.

Characteristics of Non-point Source Runoff in Housing and Industrial Area during Rainfall (강우시 주택 및 공단지역의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 Kim, Kang Suk;Park, Jong Seok;Hong, Hyeon Seung;Rhee, Kyoung Hoon
    • Journal of Wetlands Research
    • /
    • v.14 no.4
    • /
    • pp.581-589
    • /
    • 2012
  • Non-point source pollutant is exerting a serious influence on the water quality, since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is varied by the land usage pattern of an area and a basin, and all sorts of pollutants on the earth in rainfall flow into the urban stream. This study estimated EMC of each pollutant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tormwater runoff by separating the urban area as the housing area and industrial are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irst flush effect occurred in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of housing area and industrial area, as the runoff concentration gradually reduces after it rapidly increases in the initial rainfall, and in case of the non-point source pollutant the control of first stage rain-water. It is considered to require the continuous follow-up study such as the scale of long-term rainfall event and water quality data, land usage pattern by GIS method, database of topography and geological features, and so forth.

연구여적 - 인공강우, 인공강우는 경제성 충분

  • Seo, Ae-Suk
    • The Science & Technology
    • /
    • v.34 no.10 s.389
    • /
    • pp.76-78
    • /
    • 2001
  • 인공강우 기술을 보유하고 있으면 가뭄 및 수자원 수요에 따라 필요할 때만 가동시킬 수 있어 다른 방법에 비해 초기 투자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으며, 가뭄 및 대체 수자원 확보방법으로 이용이 가능하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