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초고용량

검색결과 104건 처리시간 0.024초

배터리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내부 저항 비를 고려한 HEV의 충.방전 전략개발 (Performance Analysis Charging/Discharging Strategy for HEV Adopting ESR-Ratio of Batteries and Ultra-Capacitors)

  • 김원겸;장재훈;유지윤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7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66-368
    • /
    • 2007
  • 하이브리드 차량은 기존의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엔진과 배터리, 초고용량 커패시터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는 전동기를 직 병렬 구조로 연결하여 연비를 개선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이를 위하여 가속 시 배터리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방전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고, 감속 시 회생제동을 통해 다시 충전을 반복한다. 최근 배터리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용량 및 출력의 장단점을 상호 보완하고자 이중 보조 동력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내부 저항을 고려하여 병렬 사용하는 이중 보조 동력원 시스템에 대하여 각각의 충전용량(SOC)에 따른 운전전략을 개발하고자 한다.

  • PDF

MLCC 제품 개발 동향

  • 위성권
    • 세라미스트
    • /
    • 제14권1호
    • /
    • pp.41-45
    • /
    • 2011
  • 지금까지 간단하게나마 MLCC 제품군별로 제품개발 요구사항과 기술개발현황을 살펴 보았다. 2008년 세계금융위기 이후 IT 분야를 중심으로 급증하고 있는 전자부품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MLCC 업계는 시장선점을 위한 제품개발과 증설을 서두르고 있으며, 초고용량MLCC로 대표되는 고부가시장의 개척과 생산성향상을 통한 원가경쟁력 확보가 화두가 되고 있다. 세라믹후막기술의 구현 정도에 따라 초고용량 MLCC 개발에 필수적인 소형화 박층화기술의 발전방향이 판가름 날 것으로 보이며, 특히 기초소재가 되는 유전체재료와 나노파우더 합성기술, 그리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제반 공정기술 및 설비 개발 등의 종합적인 전개를 통해 MLCC 시장이 지속적으로 확대 발전될 것으로 믿는다.

  • PDF

해외의 초고압송전선의 현상

  • 대한전기협회
    • 전기저널
    • /
    • 1호통권3호
    • /
    • pp.60-64
    • /
    • 1966
  • 송전거리와 송전전력의 증대에 따라 송전전압은 점차로 높아져 왔고 앞으로도 계속 높아질 것으로 보인다. 우리의 한국전력계통의 현재 최고 송전전압은 154Kv이지만 제 2차대전전에는 휴전선 이북의 220Kv 송전선을 운전했었고 앞으로 부하의 증가에 따라 계통용량은 점차로 커져서 단위기 용량의 큰 대용량 발전소가 계속 건설되어 송전전력이 증대할 것이므로 불원한 장래에 초고압송전선의 필요하게 될 것이다. 아래에서 해외 각국의 초고압송전선의 현황을 소개함은 우리 나라에서도 장차에 대비하여 이에 대한 더욱 활발한 조사연구활동이 있어야 될 것으로 믿고 이 자료가 많은 참고가 되리라고 기대하기 때문이다.

  • PDF

페놀계 활성탄소섬유 전극과 유기성 전해질을 사용하는 전기이중층 캐패시터의 비축전용량 특성 (Specific Capacitance Characteristics of Electric Double Layer Capacitors with Phenol Based Activated Carbon Fiber Electrodes and Organic Electrolytes)

  • 안계혁;김종휘;신경희;노근애;김태환
    • 공업화학
    • /
    • 제10권6호
    • /
    • pp.822-827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밀도가 큰 초고용량 캐패시터를 제작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활성탄소섬유의 물성과 유기 전해질의 특성이 초고용량 캐패시터의 전기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유기성 전해질의 경우는 이온의 크기가 수용성 전해질 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탄소전극의 세공크기에 많은 영향을 받으며, 용량을 발현할 수 있는 유효세공의 크기가 커야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혼합용매를 이용한 전해액의 조성은 큰 비축전용량과 빠른 충전속도, 그리고 낮은 ESR 및 방전전류의 세기에 대한 높은 비축전용량 유지성 등의 우수한 충방전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전해질의 높은 이온전도도가 용량발현 및 자가방전 특성에 큰기여를 하고 있으며, 전해질 이온의 크기는 충전속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PDF

나노탄소섬유/MnO2 복합전극의 초고용량 캐폐시터 특성 (Supercapacitive Properties of Carbon-Nano Fiber/MnO2 Composite Electrode)

  • 이병준;윤여일;고장면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1호
    • /
    • pp.94-98
    • /
    • 2008
  • 비정형 $MnO_2$의 초고용량 캐폐시턴스 특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망간산화물을 높은 전기전도를 갖는 나노탄소섬유(vapour-grown carbon nanofibers, VGCF)와 복합화하여 나노탄소섬유/망간 산화물(VGCF(40 wt%)/$MnO_2$) 복합 전극을 제조하여 cyclic voltammetry(CV), impedance spectroscopy 및 chronopotentiometric charge/discharge 기법을 사용하여 1.0M $Na_2SO_4$ 전해질에서 초고용량 캐폐시터 특성을 조사하였다. 40 wt% VGCF를 포함한 복합전극에서 $0.8mg/cm^2$ 망간산화물을 로딩한 $VGCF/MnO_2$ 복합전극은 주사속도 20 mV/s에서는 380 F/g, 500 mV/s에서는 230 F/g의 비용량 값을 나타냈다. 또한, $2.0mA/cm^2$의 일정전류로 충방전 실험을 수행한 결과 3,000회에서 97%의 초기용량을 유지하였다.

배터리와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충.방전 시 역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ging/Discharging Power Factor of Battery and Supercapacitor)

  • 김현정;장재훈;유지윤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09년도 정기총회 및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14-116
    • /
    • 2009
  • 최근 계속되는 유가 상승과 화석에너지의 고갈 문제, 그리고 환경에 대한 관심 증가로 인해 자동차의 연비 개선 및 배기가스 저감을 위한 친환경 저연비 자동차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들 중 하이브리드 차량은 화학적 에너지 저장 장치에 차량 감속 시 회생 제동을 통해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고 가속 시 이 에너지를 다시 사용함으로써 연비 개선과 배기가스 저감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회생 제동 시에 발생하는 에너지를 저장하기 위해 배터리 또는 초고용량 커패시터가 사용 된다. 본 논문에서는 두 에너지 저장 장치의 특성을 전기적인 등가회로 모델로 표현하고 주파수 응답을 통해 온도와 SOC에 따른 각각의 회로 정수를 산출할 뿐 아니라 이 때 주파수 변화에 따른 전압과 전류의 위상차와 역률에 관하여 알아보고자한다.

  • PDF

초고용량 커패시터 전극활성물질용 고밀도 활성탄 제조 및 특성 연구 (Study on High Density Activated Carbons for Electrode Materials of Supercapacitor)

  • 노광철;박진배;이철태;박철완
    • 공업화학
    • /
    • 제18권4호
    • /
    • pp.381-385
    • /
    • 2007
  • 본 논문은 코크스를 출발물질로 사용하여 KOH로 활성화시킴으로써 초고용량 커패시터의 전극활성물질인 고밀도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활성화 시에 약품량을 줄이고 합성 조건을 제어함으로써 활성탄의 비표면적을 줄였다. 활성탄 비표면적은 $500{\sim}1260m^2/g$을 나타내었고, 전극밀도는 $0.68{\sim}0.83g/cm^3$로 측정되었다. 풀셀을 구성하여 용량 측정을 한 결과, 최고 20F/cc의 체적 당 용량 값(하프 셀 기준 95 F/cc 정도)을 보여 페놀레진 기반의 상용 활성탄에 비하여 상대적인 우위를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