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체폭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4초

밤바구미 (Curculio sikkimensis)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 및 비교 (Measurement and Comparison of Morphology of Developmental Stages of Chestnut Weevil, Curculio sikkimensis(Coleoptera: Curculionidae))

  • 김영재;문상래;윤창만;김길하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11-16
    • /
    • 2010
  • 2003년부터 2006년까지 실내 및 실외에서 사육하여 얻어진 밤바구미의 발육단계별 형태측정을 하였다. 알의 크기는 0.8${\pm}$0.03 mm 이었다. 탈출유충은 평균 생체중이 98 mg, 체장은 10.65 mm, 체폭은 3.99 mm, 두폭은 1.70 mm이었다. 번데기의 크기는 암컷이 7.01 mm, 수컷이 6.53 mm으로 측정되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생체중, 체장, 체폭, 두폭,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를 조사하였다. 암컷의 생체중, 체장, 체폭과 두폭은 수컷보다 큰 것으로 유의성이 있으며, 암컷의 주둥이 길이와 더듬이 길이도 수컷보다 긴 것으로 유의성이 있었다. 암컷과 수컷 성충의 평균 생체중은 0.343과 0.268 g, 체장 7.76 과 7.14 mm, 체폭 3.38 과 3.01 mm, 두폭 1. 60과 1.37 mm, 주둥이 6.53과 3.56 mm, 더듬이 5.47과 4.63 mm로 각각 조사 되었다. 유충은 1~3 년까지 월동하면서 생체중, 체장, 체폭이 줄었다. 이러한 형태를 비교한 결과 주둥이 길이와 체장의 비율, 주둥이에 붙은 기절의 위치, 미부 생삭기의 모양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 있었다.

소백산 陸棲貧毛類의 分類學的 硏究 (Earthworms from Mt. Sopaik, Korea)

  • Song, Min-Ja;Paik, Kap-Y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5-12
    • /
    • 1973
  • 著者들은 1968, 1971 및 1972년의 3個年間 소백산에서 採集한 지렁이 총 1,850個體를 調査 整理한 결과 Pheretima agrestis, Ph. gucheonensis, Ph. hilgendorfi, Ph. jiriensis, Ph. koreana, Ph. soulensis 및 Ph. susakii patina 의 7기지종과 신종 Ph. planta 와 Ph. sopaikensis 등 총 1屬 9種을 얻었다. 신종 Ph. planta는 체장 105mm., 체폭 5.5mm., 체절수 101개이며, spermathecal pore 2雙으로서 vi체절과 vii 체절 腹面 setal line 바로 위에 位置한다. 또 male pore region의 양모에 있어서 뚜렷한 特徵을 나타내고 있다. 신종 Ph. sopaikensis 는 기지종인 Ph. koreana 다음으로 많은 수가 채집되었으며 체장 80mm., 체폭 4.5mm., 체절수 82개이며 spermathecal pore는 2雙으로서 5/6, 6/7에 位置한다. 특히 xviii 체절 male pore 사이에 雙을 이 불규칙적인 모양의 genital patches 는 본종의 특징이다.

  • PDF

智異山 陸棲貧毛類의 分類學的 硏究 (Earthworms from Mt. Jiri, Korea)

  • Song, Min-Ja;Paik, Kap-Yong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192-198
    • /
    • 1971
  • 著者들은 1969년 7월 智異山에서 採集된 지렁이 총 500 個體를 調査한 整理한 결과 Pheretima agrestis, Ph. hilgendorfi, Ph. koreana 및 Ph. soulensis의 4기지종과 미기록종 Ph. megascolidioides, 신종 Ph. jiriensis 등 도합 1屬 6種을 얻었다. 신종 Ph. jiriensis 는 체장 153mm., 체폭 8mm., 체절수 103개이며, spermathecal pore는 2雙으로 6/7. 7/8에 위치한다. 본종은 Ph. koreana Kobayashi와 비슷하나 체장이 훨씬길고 (150:100), 체폭도 굵으며, 항상 2雙의 spermathecal pore를 가지는 점 및 내부의 intestinal caecum의 모양과 typhlosole 이 잘 발달하지 않은점 등으로 뚜렷이 구분된다. 미기록종 Ph. megascolidioides 는 지금까지 일본에서만 알려진 종을 체장 200-235mm., 체폭 10-11mm., 체절수 117-121 개이며 spermathecal pore는 5雙으로 4/5-8/9에 있다. 한국산으로서 spermathecal pore를 5雙 가진 것은 처음이다. 본종은 우리나라의 남부지역에서 주로 채집된다.

  • PDF

잣나무를 식해한는 한국미기록종 넓적잎벌(막혈목, 고아요아목) 에 관한 연구 (I)-형태 및 분류학적 연구 (Studies on a Korean Unrecorded Phamphilid -sawfly (Hymenoptera, Symphyta) Feeding on Korean Pine. taxonomical and Morphological Studies)

  • 이덕상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6
    • /
    • 1961
  • 본 논문은 경기도광릉시험목에서 잣나무를 식해하는 한국미기록종 잣나무넓적잎벌(신칭)을 재료로 하여 1958-1961 년에 연구한 것을 기록한 것이다. (1) 본충은 막혈목 광요아목 편엽봉과의 Acantholyda nemoralis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이것의 학명으로는 R.B.Benson T의 설에 따라 Acantholyda posticalis posticalis MATSU.MURA를 채용하기로하였다. (2) 분포지로는 개지의 일본, 몽고, 시베리아 외에 한국을 추가한다. 구라파에서는 별개의 아종이 있다. 본종의 서식지로는 현재까지 경기도의 광fmd, 가평, 양주와 강원도의 충성군이 알려져있을 뿐이다. (3) 성충의 체색은 대체로 흑색이나, 두부와 훙부에 황색의 무늬가 많\ulcorner. 촉색은 황갈색 사상으로 유충은 웅충은 33절, 자충은 32절로 되었다. (4) 란은 QH트형으로 그 양단이 상외방으로 돌출, 산란직후의 색은 광택있는 담황갈색을 정하나 3일이 경과하면 담자황록색으로 변한다. 길이 약 3 mm , 폭 약 0.7mm이다. (5) 부화유충의 채색은 대적황색이나 , 머리와 흉곽은 흑색이다. 머리가 크고 몸통은 가늘다. 체장 약 3.5mm, 체폭 약 0.7mm. 성열유충의 체색은 담황갈색이나, 배선 및 기문상선은 선명한 적색이다. 3상의 흉곽과 한쌍의 미각이 있고, 망막은 없다. 두부는 키틴질화하였고, 갈색이며, 촉색은 7 절로되어 있고 대사가 발달하였다. 체장 약 27.4mm, 체폭 약 4.5mm , 전용은 적색의 배선 및 기문상선이 없고, 전신이 등황색이며, 촉색의 배측에 칠흑색의 커다란 복안을 가지고있는 점등이 성열유충과 다른 점이다. 암컷이 될 것은 크고 (체장 약 20-26mm), 수컷이 될 것은 작다(체장 약 3-17mm). (6) 용은 나용으로 용화직전의 것은 단지 복안과 단안만이 흑색을 정하고 , 타부분은 전부황색이지만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이 변한다. 체장 약 17mm, 체폭 약 5mm.

  • PDF

고군산열도의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v.DRASCHE) 이식에 관한 생태학적 연구 (ECOLOGICAL STUDY ON THE TRANSPLANTATION OF SEA SQUIRT, HALOCYNTHIA RORETZI (V.DRASCHE) TO GOGUNSAN ISLANDS)

  • 김영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57-64
    • /
    • 1980
  • 우렁쉥이, Halocynthia roretzi (V. DRASCHE)가 서식하지 않는 서해안 고군산열도의 선유도와 어청도 구성에 충무산 우렁쉥이 종묘를 이식하고, 1978년 4월부터 1979년 3월까지 333일에 걸쳐 이식후의 성장과 해양환경의 가능성에 대하여 검토 하였다. 1. 이식당시의 평균 체고 1.84mm, 체폭 1.42mm 체중 15.0mg이 이식후 만 333일만에 선유도구역은 평균 체고 10.77mm, 체폭 6.75mm, 체중 201mg의 아주 낮은 성장을 보였으나, 어청도구역은 체고 13.5mm, 체폭 11.51mm, 체중 880mg으로 성장되는 종묘 양성장으로 가능하다. 2. 연간 수온의 변동범위는 $6.8\~26.8^{\circ}C$로써 우렁쉥이 서식에는 제한되지 않았으나, $26.8^{\circ}C$인 7월은 성장이 아주 늦었다. 3. 염분은 $29.2\~32.0\%_{\circ}$로써 우렁쉥이 종묘의 서식에 영향이 없었다. 4. 1.0m이하의 낮은 투명도는 성장에 영향을 크게 주는 요인이었다. 5. 선유도구역은 주로 흰덩이멍게와 부이가 다량 착생되어 우렁쉥이 종묘의 표면을 덮으므로 체고는 신장되고 체중 및 체폭은 감소되어 폐사하는 개체가 많아 우렁쉥이 종묘 양식장으로는 부적당하다.

  • PDF

울릉도산 갈조식물 고리매과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 (Taxonomic Account on the Scytosiphonaceae (Phaeophyta) from Ullungdo Island, Korea)

  • 이욱재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35권2호
    • /
    • pp.125-134
    • /
    • 1992
  • 울릉도 갈조식물 고리매과(Scytosiphonaceae)의 5종에 대한 분류학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Colpomenia peregrina (불레기말사촌)은 한국 미기록 식물이며 외부 형태에서는 C. sinuosa와 매우 유사하지만 전자는 복자낭을 싸고 있는 cuticle을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후자와 구분되었다. Endarachne bingahmiae(미역쇠)는 북미산 식물들과 그 분류형질에서 잘 일치하지만 체장과 체폭이 계절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Hydroclathrus clathratus(그물바구니)는 1-2개의 색소가 침적된 피층세포와 크고 불규칙하게 배열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Petalonia fascia(개미역쇠)는 1-2개의 피층세포를 가지면 2-4개의 크고 불규칙한 내피층세포를 갖는 특징을 보였다. Scytosiphonia lomentaria(고리매)는 계절에 따라 체형에서 다양성을 보이며 특히 체장, 체폭에서 차이를 보였다.

  • PDF

한국 미기록 벼먼지응애, Steneotarsonemus spinki와 그 피해 (A New Record of Tarsonemid Mite, Stenotarsonemus spinki (Acari, Tarsonemidae) and Its Damage on Rice in Korea)

  • 조명래;김덕수;임대준;나승용;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38권2호
    • /
    • pp.157-164
    • /
    • 1999
  • 먼지응애류인 벼먼지응애(신칭, Steneotarsonemus spinki Smiely 1967)는 쌀생산국인 태국, 필리핀, 중국, 대만 등에서 쌀의 중요한 해충이다. S. spinki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환경조절온실에서 재배중인 쌀에서 발견되었다. 응애 피해를 입은 쌀은 이삭에서 기형을 나타내었으며 잎집내부 표면의 갈변증상, 쌀알의 표면 갈변증상 등을 나타내었다. S. spinki암컷의 체장은 263.0$\mu\textrm{m}$(246.5~$284.6\pm$12.2), 체폭은$ 92.4\mu\textrm{m}$(79.5~$104.9\pm$7.6)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난형으로 중앙부위가 가장 폭이 넓었다. 채색은 연한 황색이었다. 다리는 잘 발달되어 있었으며 암컷 제4각 끝은 채찍모양의 강모로 이루어진 전형적인 먼지응애류의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수컷 체장은 196.5$\mu\textrm{m}$(176.5~222.8$\pm$15.8), 체폭은 109.3$\mu\textrm{m}$ 98.6~$117.7\pm$6.4)였으며 전체적인 모양은 길쭉하고 전동체부 중앙부가 가장 체폭이 넓었다. 내돌기 III은 내돌기 IV보다 전방으로 신장되어 있었다. 제4각퇴절은 커다란 안쪽귀가 발달되어 있었으며 안쪽 및 바깥쪽 강모는 같은 길이로 짧게 잘 발달되어 있었다. 부절 발톱은 강하고 복부쪽으로 굽어 있었다.

  • PDF

솔수염하늘소(Monochamus alternatus) 성충의 형태 측정과 암수 구분 (Adult Morphological Measurements: An Indicator to Identify Sexes of Japanese Pine)

  • 이상명;정영진;김동수;최광식;김영걸;박정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85-89
    • /
    • 2004
  • 2001년부터 2002년까지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체인 솔수염하늘소 성충의 생체중과 체장, 체폭, 두폭, 더듬이의 길이 및 색깔 등을 조사하였다. 소나무재선충에 감염되어 고사된 소나무를 일정한 길이로 잘라 우화망실 안에 두고 우화하는 솔수염하늘소 성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분산분석결과 생체중, 체장, 체폭의 측정치는 암컷이 수컷보다 높았고, 두폭은 암수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촉각의 길이는 수컷이 더 길었다. 암컷(n=563)과 수컷(n=601)의 평균 생체중은 각각 0.305g과 0.277g, 체장은 20.97mm와 19.93mm 체폭은 6.52mm 와 6.18mm, 두폭은 3.78 mm와 3.70mm, 촉각의 길이는 31.19mm와 45.49mm이었다. 촉각의 길이나 체장과 촉각 길이의 비율은 암수간에 중복되는 범위가 많아서 이것을 기준으로 암수를 구분할 수는 없었다. 그러나 성충(n=4,033) 촉각의 털 색깔을 조사한 결과, 예외 없이 암컷 촉각의 모든 편절 마디의 기부쪽 절반 정도가 회백색의 미모로 덮여 있으나, 수컷 촉각의 편절 마디는 전체적으로 흑갈색의 미모로 덮여 있었기 때문에, 이 특징으로 암수를 쉽게 구분할 수 있었다.

공단지역 주변 소나무림의 솔잎혹파리 형태적 특성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codiplosis japonensis (Diptera: Cecidomyiidae) Larvae in Pine Forests Around Onsan Industrial Complex in Ulsan, Korea)

  • 이총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6권1호
    • /
    • pp.77-81
    • /
    • 2017
  • 환경오염원으로부터 지역별 솔잎혹파리 피해도의 차이를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한 결과, 솔잎혹파리 충영형성율은 석유화학공단에 의한 환경오염이 심각한 상황에 있는 공단지역은 충영형성률 47.94%이었고, 대조지역은 9.94%였다. 솔잎혹파리 피해엽은 공단지역 피해엽의 길이는 평균 4.5 cm 였으며, 대조지역은 평균 4.9 cm 이었다. 솔잎혹파리 피해엽의 충영내 유충의 수는 공단지역은 평균 3.4개체이었고, 대조지역은 2.4개체 이었다. 성숙유충의 크기는 공단지역이 유충체장은 2.40 mm, 체폭은 0.7 mm 이었으며, 대조지역의 유충체장은 2.45 mm, 체폭은 0.71 mm 이었다.

한국 미 기록종 Ditylenchus myceliophagus와 Ditylenchus acutus (Tylenchida : Anguinidae)의 기재 (An Unrecorded Species Ditylenchus myceliophagus and Descripton of Ditylenchus acutus (Nematoda : Anguinidae) from Korea)

  • 이중환;박상조;최성용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171-174
    • /
    • 2010
  • 한국에서 채집된 Ditylenchus acutus는 긴 체장 (L=0.65-0.71 mm vs. L=0.39-0.50 mm)과 가는 체폭을 제외하고는 Ditylenchus acutus (Khan, 1965) Fortuner & Maggenti, 1987 과 같다. Ditylenchus myceliophagus 는 우리나라 미 기록 종이다. 따라서 두 종을 기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