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력관리 수업

검색결과 5건 처리시간 0.021초

체력관리 수업이 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 혈압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Fitness Management Class on Body Composition, Blood Pressure and Health-related Fitness in College Women)

  • 김명수;김성희;이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12호
    • /
    • pp.607-614
    • /
    • 2016
  • 본 연구는 체력관리 수업이 비만도가 각기 다른 여자 대학생들의 신체구성, 혈압 및 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이 다른지에 대해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본교 2012~2016년 9학기 동안 체력관리 수업을 수강한 여학생 31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룹 구분은 체질량지수와 체지방률(%) 기준으로 저체중, 마른 비만, 정상, 정상 비만 그리고 비만 그룹으로 구분하였다. 체력관리 수업은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복합운동으로 일일 75분, 주 2회로 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본교의 체력관리 수업은 비만 그룹을 제외한 네 그룹의 체중, 체질량지수, 체지방율, 근육량 그리고 허리둘레를 긍정적으로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혈압(SBP, DBP)과 건강관련 체력에서는 다섯 그룹 모두에서 대부분 긍정적으로 개선되는 효과가 있었다. 따라서 체력관리 수업은 비만 여자 대학생의 신체구성의 개선을 제외하고 여자 대학생들의 신체구성과 혈압의 개선 및 건강관련 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교양체육 수업의 효과 - 체력, 비만 및 대사증후군 지표 중심으로- (Effects of Fitness Management Class for Wellness Convergence - Based on Fitness, Obese Indices, Metabolic Syndrome Factors -)

  • 이지영;김명수;이신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329-336
    • /
    • 2015
  • 본 연구는 저항성 운동과 유산소 운동의 복합 운동 프로그램으로 구성된 체력관리 수업과 일반 교양체육 수업 간에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의 개선 및 체력 향상 정도에 차이가 있는지를 밝혀내어 융복합적인 웰니스를 위한 체력관리 수업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피험자는 본교 체력관리 수강 남학생 113명, 본교 교양체육 실기과목 수강 남학생 67명, 타 대학의 운동과 다이어트 및 건강관리 수업 수강 남학생 40명 총 22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비만지표,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건강 기술관련 체력 변인들은 세 집단 간 수업 전후의 상호작용을 검정하기 위해 이원변량분석(Repeated two-way 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체력관리 수업이 본교 교양체육 수업과 타 대학 교양체육 수업보다 개인의 비만도와 대사증후군 위험인자를 개선시키고 체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체력관리 교양수업은 기존의 스포츠 실기 및 이론 교양수업에 비해 학생들의 건강과 체력을 효율적으로 증진시킬 수 있는 교과목인 것으로 사료된다.

스포츠건강체력 수업 참여에 따른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변화 (Wellness Health Awareness Change of University Students Following Participation in Sports Physical Fitness Class)

  • 송영은;김창환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9권4호
    • /
    • pp.351-356
    • /
    • 2018
  • 본 연구는 교양체육인 스포츠건강체력 수업에 참여하는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D시 소재 대학교에 재학중인 168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스포츠건강체력 수업은 대학생의 집중적인 건강체력관리를 위해 1학기동안 진행되었다. 웰니스 건강인식은 한국인의 웰니스설문지(KWLS)를 이용하여 조사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연구목적에 따라 기술통계분석, 신뢰도분석,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은 성별과 시행(수업실시 전 후)간의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는 나타나지 않았으나(p>.05) 성별, 시행 각 요인간의 차이는 일부 하위영역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p<.05).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일부 요인이 스포츠건강체력 수업 전과 후에 변화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대학생의 웰니스 건강인식의 긍정적인 변화를 위한 해결책으로 각 대학에서 실시하는 다양한 교양체육 외에도 집중적인 건강체력관리를 목적으로 하는 수업을 대학생들에게 제공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초등학생용 PAPS 콘텐츠 개발 (PAPS Contents Development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 신승환;이병근;우재홍;박익렬;김효중;전태원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96-105
    • /
    • 2011
  • 건강에 대한 관심 증가는 학생체력검사제도를 운동관련 체력변인 위주에서 건강관련 체력변인 위주로 측정하고 분석하며 웹상에서 관리까지 할 수 있는 제도로 개선하도록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제도의 실질적 효용성을 제고하고자 웹 기반 교육용 콘텐츠를 개발하는 것으로, 웹 접근성의 향상을 건강과 체력 증진의 실질적 계기로 연결하려는 실용적인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전문가회의를 통해 7차 교육과정과 기존 운영 중인 국내외 11개 사이트를 분석하여 건강 6개 영역 34개, 운동 13개 영역 71개 등 총 105개의 콘텐츠를 설계하고, 제작을 통해 개발, 구현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물은 성인 위주 콘텐츠에서 탈피한 최초의 콘텐츠로써 웹에 탑재되어 수업 시 활용이 가능할 뿐 아니라 학생 스스로 어디서든 동기가 부여되어 실행이 가능하고, 특히, 비만이나 체력수준이 낮은 학생도 타인에 대한 의식 없이 시행해 볼 수 있는 계기를 제공하며, 개발된 내용은 언제든지 추가적인 보완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웹 기반 운동처방에 국한되었던 서비스에서 탈피하여, 초등학생 때부터 스스로 건강과 운동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교육적 내용을 IT 환경 기반 콘텐츠로 개발하여 전달하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시도가 상급학교와 군대까지 연계된다면 한국남성의 건강관리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추후에는 일선학교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활용연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IPA 분석을 통한 중·고등학교의 아침운동 개선방안 (Improvement Direction of Middle & High School Exercise in the Morning by IPA)

  • 이근모;임수원;이혁기;김인형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5권2호
    • /
    • pp.35-46
    • /
    • 2016
  • 이 연구는 IPA분석을 통해 중·고등학교 아침운동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고 아침운동의 개선 및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편의표본방법을 이용하여 430명의 설문조사 자료를 분석하였고, 대응표본 t-test, IPA매트릭스를 도식화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아침운동 참여 IPA 분석은 I사분면 : '스트레스 해소', '학교생활의 즐거움', '운동 기능향상', '친구들과의 관계개선', '체육수업에 도움', '건강 및 체력증진', '운동시설 및 용구의 양과 질', '규율이나 규칙', '지도교사의 리더십', '열정적인 지도', '공정한 지도', '운동 능력향상', '체육수업 이해에 도움', II사분면 : '소질 및 특기개발', '시작시간', '시설 및 용구의 안전관리', '새로운 스포츠로 구성', '요구와 흥미를 고려', '수준고려', '성별고려', III사분면 : '성격의 변화', '다양한 종목의 실기능력', '사고력증진', IV사분면 : '참여시간의 양', '학생들과의 의사소통', '수업내용을 쉽게 설명'의 속성이 포함되어 있었다. 둘째, 개선방안은 1) 안전교육 연계 프로그램, 2) 지적, 정서적 기여 프로그램, 3) 성별, 수준별 프로그램이 제시 되어야 할 것이며 4) 앞서 전술한 프로그램의 질적향상을 위한 전문인력 확충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