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체내흡수

검색결과 355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남자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방사성옥소($^{131}I$)의 갑상선 및 각 장기별 잔류율과 소변 일일배설률 측정 (Measurement of Uptake Rates of Internal Organs Including Thyroid Gland and Daily Urinary Excretion Rates for Adult Korean Males)

  • 김정훈;김희근;황주호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2권2호
    • /
    • pp.45-50
    • /
    • 2007
  • 본 연구는 한국인 특성에 대해 보다 신뢰할 수 있는 방사성핵종의 체내 흡수선량 평가를 위한 일환으로 $^{131}I$을 선정하여 체내 각 장기별 잔류율 및 소변 일일배설률을 측정하였다. 실험방법은 성인남성 28명을 대상으로 $^{131}I$을 경구 투여한 후, 시간대별(2, 4, 6, 24시간) 갑상선, 간, 위, 소장, 신장, 소변의 방사능을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각 장기별 잔류율 및 소변 일일배설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131}I$ 투여 24시간 후 갑상선이 평균 19.70%의 잔류율과 71.12%의 소변 일일배설률을 나타냈으며, 갑상선을 제외한 각 장기는 투여 2시간 후 최고 잔류율 및 최고 소변 일일배설률을 보이나, 이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잔류율이 높은 장기 순서는 갑상선을 제외하고 위, 왼쪽 신장, 간, 소장, 오른쪽 신장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산출된 방사성옥소의 섭취 24시간 후 갑상선 잔류율 변화는 기존 30%로 보고된 ICRP-54/67 및 25% 잔류율로 보고된 ICRP-78의 자료와 차이를 나타냈다. 한국인의 특성에 맞는 체내 흡수선량 평가의 올바른 접근과 그에 따른 기초 자료의 확보는 향후 원자력 발전소의 작업 종사자 내부피폭 및 임상에서 발생 가능한 체내 피폭의 정량적 평가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작업환경을 위한 TLV의 근거 - PHENOL(1)

  • 김치년
    • 월간산업보건
    • /
    • 통권292호
    • /
    • pp.11-15
    • /
    • 2012
  • 페놀의 작업 노출에 대한 TLV-TWA는 5ppm ($19mg/m^3$)으로 눈과 호흡기계의 자극과 함께 심장, 간, 신경 독성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설정되었다. 페놀은 증기상과 액상 또는 고체상 형태로 피부에 접촉되면 흡수되어 심각한 계통 영향을 유발하여 최종적으로 사망에 이르게 한다. 피부를 통한 흡수율은 흡입에 의한 체내 흡수율과 거의 동일한 수준이다. 따라서 현재 Skin notation(피부흡수 경고) 물질로 지정되어 있다. 발암성 여부를 결정하기 위한 동물 실험 결과에서는 음성 또는 발암성을 판정하기에는 데이터가 부족한 관계로 A4로 지정되어 있다. 또한 SEN과 TLV-STEL도 유용한 자료의 부족으로 아직 설정되지 않고 있다. 페놀은 BEIs로 활용될 수 있는 기질 중 하나이다.

  • PDF

넙치, 조피볼락, 잉어 및 뱀장어에 투여된 pefloxacine의 어체내 약물동태학

  • 김진우;정승희;지보영;김이청;이주석;조미라
    • 한국어업기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어업기술학회 2000년도 춘계수산관련학회 공동학술대회발표요지집
    • /
    • pp.457-458
    • /
    • 2000
  • Pefloxacine(PFX)은 기존 quinolone계 항균제의 단점을 보완한 fluoroquinolone계열의 합성 항균제로서 그람양성균과 그람음성균에 대해서도 살균효과가 뛰어날 뿐 아니라 내성균 출현 가능성이 비교적 낮은 장점이 있는 항균제로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약리학적 특성 때문에 우리 나라에서도 양식어류 세균성 질병 치료제로 최근 사용량이 증가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도 어류를 대상으로 한 체내잔류 PFX의 정량분석방범과 PFX의 흡수, 분포, 해설 등 실제 약제 사용방법 설정에 필수적인 임상동태에 관해서는 연구가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양식어류에 대한 PFX의 효과적인 사용방법을 확립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라피(HPLC)를 사용하여 실험조건의 특이성 등을 검토하여 어체내 잔류 PFX의 최적 분석조건을 설정하였다. 그리고 주요 양식어류를 대상으로 PFX를 경구 투여한 후 시간경과에 따라 혈액을 채취하여 혈종에서의 약물동태학적 Parameter를 조사하였다. (중략)

  • PDF

식이섬유의 철분결합력에 관한 in vitro 연구 (Binding of Iron by Vegetable Fiber)

  • 계수경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472-477
    • /
    • 1997
  • 한국인 상용채소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는 철분과 결합하였으며 결합량은 채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37.83∼85.51%로서 대부분은 50%이상 결합하였다. 식이섬유의 철분결합력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pH 7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에 결합된 철분의 양은 철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농도에 따른 증가폭은 채소종류에 따라 다양했다. 본 실험결과 한국인 상용 채소의 식이섬유가 철분과 상당량 결합하였으므로 특히 철분자의 결합력이 높은 채소들을 다량 섭취할 경우 철분의 흡수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채소의 종류에 따라 철분결합력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았는데 한국에서 모든 부식의 양념재료로 쓰이는 마늘과 파는 철분결합력이 다른 채소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이섬유의 철분자의 결합력은 철분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계속 증가하였는데 본 실험에 사용된 식이섬유와 철분의 농도 비율 범위는 한국인의 섭취량에 기준을 두고 설정된 것으로, 본 실험결과 철분의 농도를 증가시켜도 철분 흡수를 저해하는 식이섬유의 작용이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그러므로 체내에서의 철분 이용률을 고려해 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식이섬유와 철분의 농도비율 범위에서는 철분의 급원이 되는 식품을 한번에 다량 섭취하는 것보다는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나 체내에서의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철의 경우 그 항상성은 배설능력의 제한성에 의해 소장의 흡수정도로써 조절되므로 철 흡수이용의 장해인자인 섬유소의 작용은 중요하며 전세계적으로 20% 이상의 인구가 Fe 결핍성 빈혈상태이고 특히 서구 선진국들의 섬유소 섭취량의 3∼4배 이상 섭취하는 한국인들의 Fe섭취 형태가 90% 이상 식물성 식품에서 얻는다는 보고를 볼 때 채소식이섬유의 철분결합은 빈혈질환의 원인분석의 일환으로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험은 in vitro실험으로서 이상의 결과를 인체에 직접적으로 적용시키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되므로 앞으로 in vivo 실험이 병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규소 처리에 의한 오이잎의 규소분포 및 흰가루병균 생장억제 (Ditribution of silicon and growth inhibition of powdery mildew fungus in cucumber leaves in silicon-present hydroponic culture)

  • 이중섭
    • 농약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44-49
    • /
    • 2000
  • 본 시험은 오이 양액재배시 배양액내 규산칼륨($K_{2}SiO_{3}$) 처리에 의한 생육단계별 규소의 흡수특성, 체내분표 병원균의 침입억제 효과를 검토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잎에서의 규소 분포는 TEM, SEM 및 EDX-ray를 사용하여 4개(SEM, Ca, Si, K)의 구성원소를 각각 측정하였다. 흡수된 규소는 잎으로 이동하여 모용(毛茸, trichome, hair)을 둘러싸고 있는 기부 세포에 축적되었다. 모용에서의 규소는 고농도의 칼슘 및 칼륨과 혼재하여 분포하였고, 저농도 처리시에는 모용기부를 제외한 표피세포에서는 감지 할 수 없는 수준으로 분포하였다. 잎에서의 규소 축적은 처리 후 24시간에서 48시간 사이에 세포벽 주위에 가장 많이 축적되었고, 그 이후에도 다소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처리된 규소는 발아하고 있는 흰가루병 분생포자의 인접 조직의 세포벽과 병원균 흡기 주변에 다량 축적되어 물리적인 장벽으로 작용하였다. 고농도의 규산 처리된 잎 병반상의 발아관 길이는 낮은 농도의 처리구와 비교하여 현저히 짧았으며, 규산 처리농도와 부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배양액내 처리된 규산 농도는 오이가 생장함에 따라 감소하여 뿌리를 통하여 작물체내로 흡수되었으며, 저농도 처리구(0.85 mM이하)에서는 흡수되는 양이 현저히 적었다.

  • PDF

한국인 상용야채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의 철분 결합력에 관한 연구 (Binding of Iron by Vegetable Fiber)

  • 계수경
    • 한국관광식음료학회지:관광식음료경영연구
    • /
    • 제17권2호
    • /
    • pp.95-106
    • /
    • 2006
  • 한국인 상용채소로부터 추출한 식이섬유는 철분과 결합하였으며 결합량은 채소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37.83 - 85.51%로서 대부분은 50%이상 결합하였다. 식이섬유의 철분결합력은 pH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pH 7에서 최대 값을 나타내었다. 식이섬유에 결합된 철분의 양은 철분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했으며 농도에 따른 증가폭은 채소종류에 따라 다양했다. 본 실험결과 한국인 상용 채소의 식이섬유가 철분과 상당량 결합하였으므로 특히 철분과의 결합력이 높은 채소들을 다량 섭취할 경우 철분의 흡수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된다. 또한 채소의 종류에 따라 철분결합력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는 것을 알았는데 한국에서 모든 부식의 양념 재료로 쓰이는 마늘과 파는 철분결합력이 다른 채소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식이섬유의 철분과의 결합력은 철분의 농도를 증가시킬수록 계속 증가하였는데 본 실험에 사용된 식이섬유와 철분의 농도 비율범위는 한국인의 섭취량에 기준을 두고 설정된 것으로, 본 실험결과 철분의 농도를 증가시켜도 철분 흡수를 저해하는 식이섬유의 작용이 감소되지 않고 오히려 증가했다. 그러므로 체내에서의 철분 이용률을 고려해 볼 때 본 실험에 사용된 식이섬유와 철분의 농도비율 범위에서는 철분의 급원이 되는 식품을 한 번에 다량 섭취하는 것보다는 소량씩 자주 섭취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생각되나 체내에서의 연구가 뒷받침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철의 경우 그 항상성은 배설능력의 제한성에 의해 소장의 흡수정도로써 조절되므로 철 흡수이용의 장해인자인 섬유소의 작용은 중요하며 전세계적으로 20% 이상의 인구가 Fe결핍성 빈혈상태이고 특히 서구 선진국들의 섬유소 섭취량의 3-4배 이상 섭취하는 한국인들의 Fe섭취 형태가 90%이상 식물성 식품에서 얻는다는 보고 을 볼 때 채소식이섬유의 철분결합은 빈혈질환의 원인분석의 일환으로 중요하리라 생각된다. 그러나 본 실험은 in vitro 실험으로서 이상의 결과를 인체에 직접적으로 적용시키는 데는 무리가 있다고 생각되므로 앞으로 in vivo실험이 병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답토양(畓土壤)에서의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연구(硏究) -I. 수도(水稻)에 있어서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한국(韓國)과 비율빈 답토양(畓土壤)에 대(對)한 비교연구 (Studies on Zinc deficiency in paddy soil -I. Zinc deficiency of the rice plant in Korea and Philippine soils)

  • 안종성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41-47
    • /
    • 1972
  • 우리나라 보은(報恩), 필리핀의 Batangas 토양(土壤)을 공시(供試)로 하여 수도생육(水稻生育)에 있어서 아연결핍(亞鉛缺乏)에 관(關)한 시험(試驗)을 국제미작연구소(國際米作硏究所)(IRRI)에 연구(硏究)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국(韓國)의 보은토양(報恩土壤)은 산성(酸性)이며 유기물(有機物) 함량(含量)이 적고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아연함량(亞鉛含量)도 33ppm인 정상적(正常的)인 토양(土壤)이고 비율빈(比律賓)의 Batangas 토양(土壤)은 Alkali며 토양유기물(土壤有機物)이 많고 Ca함량(含量)이 많은 Ca Calareous 토양(土壤)이고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아연함량(亞鉛含量)도 16ppm으로 심한 아연결피증(亞鉛缺乏症)을 보였다. 2. 수도체내(水稻體內)의 아연분포(亞鉛分布)는 생육(生育)이 왕성(旺盛)한 상위엽(上位葉)에 많이 축적(蓄積)된다. 수도체내아연함량(水稻體內亞鉛含量)이 18ppm 이하(以下)이면 아연결핍(亞鉛缺乏)을 나타낼 우려가 있다. 3. 아연결핍(亞鉛缺乏) 토양(土壤)에는 요소질비료(窒素質肥料)로써 생리적산성비료(生理的酸性肥料)인 유안(硫安)이 좋고 요소(尿素)는 적합(適合)치 않았다. 4. 수도체내(水稻體內)의 Zn 다량흡수(多量吸收)는 Mn 흡수(吸收)를 조해(阻害)하며 수도체내(水稻體內)의 Mn/Zn 비(比)가 클수록 아연결핍(亞鉛缺乏)을 촉진(促進)한다. 5. 아연결핍토양(亞鉛缺乏土壤)인 Batangas 토양(土壤)에 $ZnCl_2$와 F.T.E의 시용효과(施用效果)가 컸으며 수확량(收穫量)은 대비구(對比區)에 비(比)해 유의성(有意性)있게 증수(增收) 되었다.

  • PDF

최신 의학정보 - 변비에는 식이섬유? NO! 효소가 말하는 진실

  • 박승규
    • 건강소식
    • /
    • 제37권1호
    • /
    • pp.44-45
    • /
    • 2013
  • 효소는 우리 몸의 신진대사 기능이 원활해지도록 돕는 핵심물질. 발효식품인 효소는 질병을 완전히 막거나 치료하는 만병통치약은 아니지만 음식물의 소화, 흡수를 돕고 몸 속 노폐물과 독소를 배출해 신진대사를 촉진시키는 유익한 물질이다. 이러한 효소가 부족해서 생기는 대표적인 질병으로는 변비가 있는데, 변비의 경우 식이섬유만 다량 섭취한다고 해서 개선되지는 않으므로 체내 효소량을 충분히 보충해줘야 한다.

  • PDF

인삼 사포닌의 체내 대사에 관한 연구(I) 동위원소 표지 사포닌의 흡수, 체내 분포 및 배설에 관하여 (Metabolisrrt of Dammarane Triterpene Glycosides of Korean Ginseng(I))

  • 한병훈;장일무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2권1호
    • /
    • pp.17-33
    • /
    • 1977
  • 1. 인삼증에 함유된 danlmarane계 glycoside 성분들 중의 한 성분인 panax saponin A(ginsenoside Rgl)(약자 : PSA)에 $^{14}C$ 또는 $^{3}H$를 도입한 방사능 표지 사포닌을 합성하였다. 2. $^{3}H$-PSA의 방사능을 생체내 에서 추적한 결과 PSA는 위장관내에서 쉽게 흡수되어 생체 내 전장기에 골고루 분포된다. 3. 각 장기에 분포된 PSA는 세포 내에 섭취되며 세포 내에 섭취 되는 양은 일정한 포화점이 있다. 4. 포화점을 초과하여 섭취된 PSA는 즉시 뇨를 통하여 배설되며 섭취된 PSA는 세포 내에 장기간 잔유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