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정지역

Search Result 259, Processing Time 0.027 seconds

Diversity of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Communities on Plant Leaves in the Industrial Area and the Natural Forest Area Based on 16S rDNA (16S rDNA 염기서열에 의한 청정지역 및 공단지역 내 식물잎권의 내산성세균 군집의 다양성)

  • 정필문;신광수;임종순;이인수;박성주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7 no.4
    • /
    • pp.265-272
    • /
    • 2001
  • The diversity of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communities on deciduous oak tree (Quercus dentate Thunb.) leaves was examined both in the natural forest area with a clean air and in the industrial estate to assess effects of acidic depositions to the phyllosphere using 16S rDNA sequence data. A total of 444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clones were obtained, resulting in 17 phylotypes by performing a analysis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for PCR-amplified 16S rDNA products. A very low diversity of dominating acid tolerant bacterial communities in both areas was found, just 2 subphyla groups, $\gamma$-Proteobacteria and low-G+C gram-positive bacteria. As tree leaves grow older, diversities of acid-tolerant bacteria on them significantly increased. The community structure of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 consisted of Pseudomonas and Enterobacteriaceae groups in the $\gamma$-Proteobacteria subphylum, and Streptococcaceae and Staphylococcus groups in the low-G+C gram-positive bacteria subphylum. The direct influence of acidic depositions on bacterial phylogenetic composition could not be detected especially when higher taxonomic levels such as subphylum, but at narrower or finer levels it could be observed by a detection of Xanthomonadales group belonged to the $\gamma$-Proteobacteria only in the industrial area and of Acetobacteraceae group belonged to the $\alpha$-Proteobacteria. There remains that these specific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groups could be used as indicators for assessing effects of acidic depositions on the phyllosphere.

  • PDF

Distribution of Epiphytic Bacteria and Acid-Tolerant Bacteria on the Phyllosphere in the Industrial and Clean Areas (공단지역 및 청정지역 식물 잎권의 잎표면세균 및 내산성세균의 분포)

  • Ahn, Jong-Hoon;Bang, Sook-Jin;Han, Nam-Jung;Song, Wang-Young;Hwang, Soyoung;Lee, In-Soo;Park, Seong Joo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 /
    • v.33 no.4
    • /
    • pp.262-266
    • /
    • 1997
  • Total, direct viable count, and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population sizes were quantified on leaves of chestnut tree (Castanea crenata S. et Z.) near Taejon Industrial Estate affected by acid precipitation and deposition as well as in the clean natural forest area, Mt. Kyejok, in Taejon city from August 1996 to August 1997. Geometric mean numbers of total, direct viable count, and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 were $9.9{\times}10^5cell/cm^2$, $1.6{\times}10^6cell/cm^2$, and $7.1{\times}10^3cfu/cm^2$ respectively, being 1.5, 2, and 2.6 times those in the clean area. Acid-tolerant epiphytic bacterial numbers at pH 5.6 by MPN method were $3.3{\times}10^4$ in the industrial area, about the same as the number, $3.4{\times}10^4MPN/cm^2$, of the clean area. Acid-tolerant bacterial number at pH 4.0 was $1.9{\times}10^{-1}MPN/cm^2$ in the industrial area, whereas none was detected in the clean area. Acid-tolerant bacteria at pH 3.0 were not detected at all in the industrial area as well as in the clean area. Epiphytic bacterial population sizes were generally the greatest in May when leaves are emerged and grew hut the lowest in November when defoliation occurs. These results showed that air pollutant deposition on leaves did not cause a decrease of epiphytic bacteria at least and acid deposition on leaves did cause an increase of acid-tolerant bacteria.

  • PDF

Propertie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in Taean (태안지역에서의 에어로솔의 입경분포 특성)

  • 안준영;한진석;김종호;선우영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2.11a
    • /
    • pp.143-144
    • /
    • 2002
  • 동아시아지역의 산업발달로 인하여 증가한 대기중의 에어로솔들은 도시지역 시정장애의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며 강우의 산도를 증가시켜 토양의 산성화를 야기하고 또한 장거리 이동하여 청정지역의 대기오염농도에 주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동아시아지역의 대표적인 오염물질 장거리 이동현상인 황사는 중국에서 발생한 dust storm이 주변 산업지역의 오염된 공기와 이동, 인접국가의 대기오염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는 현상으로 발생빈도는 년간 3-5회 정도 발생한다. (중략)

  • PDF

Characteristics of Concentration Ratio of Sulfur and Nitrogen at Background Areas in Korea (우리 나라 청정지역에서의 황과 질소 농도 비의 특성)

  • 이종훈;김용표;문길주;김희강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139-140
    • /
    • 1999
  • 우리 나라, 일본, 중국, 대만, 홍콩 등을 포함하는 동북아시아지역은 전세계 인구의 1/3 이상이 살고있으며, 급속한 경제성장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른 주민의 생활수준 향상과 생산활동의 증가에 따라 오염물질의 배출량도 급격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어, 이 지역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동북아시아지역의 대기오염과 관련하여 주목할 것은 이 지역에서 $SO_2$$NO_x$ 같은 인위적인 산성오염 물질의 배출량이 급증하고 있는 것이다.(중략)

  • PDF

Aerosol composition at Cheju 1100 station (제주 1100고지 에어로졸 성분 분석)

  • 양소희;김순태;홍민선;강창희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1999.10a
    • /
    • pp.391-392
    • /
    • 1999
  • 한반도를 포함한 동아시아 지역은 북미, 유럽과 더불어 세계 3대 산성우 다발지역으로 꼽히고 있고 최근 들어 산업화와 인구증가, 에너지소비의 증가로 인한 대기오염물질의 배출량이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배출원 오염물질의 국가간 장거리 이동에 많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북아시아의 대표적인 청정지역 제주도 1100고지 PM$_{10}$ 에어로졸의 농도를 분석하고, 각 데이터와 기상관측자료와의 비교를 통하여 배경지역에서의 에어로졸 특성을 조사하였다.(중략)

  • PDF

The Characteristics of the Ozone Concentrations at Taeha between 1997 and 2000 (1997년~2002년 태하의 오존 농도 경향)

  • 김정화;김용표;박일수
    • Proceedings of the Korea Air Pollution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 /
    • 2003.11a
    • /
    • pp.295-296
    • /
    • 2003
  • 1990년대 이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국내 $O_3$ 연구는 대부분 서울 지역에 국한되어 있다. 그러나 대도시의 $O_3$ 농도가 대도시 내에서의 생성 및 소멸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대기 운동과 관련된 수평 및 연직 수송에 의한 영향도 중요한 요소임이 많은 연구에서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청정 대기 상태에서 $O_3$의 배경 농도 특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서명석 등, 1995). 울릉도 태하는 우리나라의 배경 농도 지역으로 청정 대기 상태에서의 $O_3$ 농도 특성을 연구하기 좋은 지역이다. (중략)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