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청소년 자살

Search Result 285, Processing Time 0.024 seconds

한국 청소년의 우울 및 자살생각 영향요인의 남녀차이 (Gender Differences in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 전경숙;박소연;조선희
    • 보건의료산업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95-308
    • /
    • 2012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gender differences in prevalence and correlates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data from the 2009 Korean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Logistic regression models and Wald chi-square statistics were used to identify the difference in the coefficients between the gender-specific models. Female students reported higher prevalence for depression(42.9%) than male students(31.4%), as well as higher level of suicidal ideation(girls:23.1%, boys:14.7%). Lower school achievement, worse self-rated health status, more conflict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level of depression and suicidal ideation. The impact of school achievement and conflicts with friends on mental health was greater among girls than boys. We suggest that the efficient strategies focusing on the gender differences should be established to improve mental health among Korean adolescents.

남녀 청소년의 신체활동과 자살 생각 (Physical Activity and Suicidal thoughts in Male and Female Adolescents)

  • 권민;이진화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25-335
    • /
    • 2017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on suicidal ideation according to gender in South Korean adolescents. Methods: This study is designed a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statistics from the 12th (2016)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hierarchic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study sample comprised 62,55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ged primarily 12 to 17. Results: The rate of engaging in physical activity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was 39.6% for boys and 28.8% for girls and the rate of suicide ideation was 9.35% for boys and 14.9% for girls. Male students were 1.42 times more likely to commit suicide when they did not engage in physical activity than when they do more than three times a week but it was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on female students. Conclusion: Physical activity should be encouraged in the physical education curriculum and the school health area to reduce suicidal ideation in adolescents. Differentiated interventions are required according to gender. It is suggested that intervention programs involving physical activity be implemented more actively for male students and intervention programs centering on obesity and smoking prevention be implemented for female students.

가족형태에 따른 청소년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by Family Type)

  • 김희걸;김희진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67-177
    • /
    • 2018
  •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ccording to their family type. Methods: The data of the 2017 Korea Youth Risk Behavior Web-based Survey was used in this study. Out of 62,276, a total of 60,077 adolescents (51,367 adolescents from two-parent families and 8,710 adolescents from single-parent familie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level of suicidal ideation of the adolescents in single-parent famili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 adolescents in two-parent families. The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mong the two-parent family adolescents were gender, grade, economic status, academic performance, smoking, drinking, physical activity,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body image, subjective happiness, stress, and depression. The factors that affect suicidal ideation among the single-parent family adolescents included gender, grade, smoking, subjective health status, subjective happiness, stress and depression. Conclusion: Single-parent family adolescents are likely to have a higher level of suicidal ideation along with higher levels of depression and stress and lower levels of subjective health and happiness, compared to single-parent family adolescents. For this higher-risk group of suicidal ideation, more thoughtful attentions and proactive policies are needed to manage their mental health and stress in school and family situations.

청소년들의 학업중단 경험 이후 5년 동안 자살시도 예측요인: 종단연구 (Predictors of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over 5 Years after Dropout Experience: A Longitudinal Study)

  • 박현주
    • 한국학교보건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51-160
    • /
    • 2021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predictors of suicidal attempts in adolescents over 5 years after school dropout. Methods: The data of the Panel Survey of School Dropouts (of 2013 to 2017) condu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were analyzed. The analysis used the 2013 survey data as the baseline and examined suicidal attempts from 2013 to 2017. A total of 776 adolescent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𝝌2 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were carried out using SAS 9.2. Results: About 11% (87 out of 776) of the adolescents with an experience of dropout attempted suicide between 2013 and 2017. The risk of suicidal attemp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female (AOR: 0.57, 95% CI: 0.87~0.93) than in male adolescents. The higher the self-esteem, the lower the risk of suicidal attempts (AOR: 0.87. 95% CI: 0.78~0.97). The higher the depression level (AOR: 1.10, 95% CI: 1.05~1.16) and the rate of parental abuse (AOR: 1.09, 95% CI: 1.02~1.18), the higher the risk of suicidal attempts.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ose who are male, depressed, have low self-esteem or have been abused by their parents are at high risk of suicidal attempts among the adolescents with dropout experiences. Therefore, early intervention is necessary for those at high risk.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비자살적 자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울의 매개 효과 (Does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ffect Non-Suicidal Self-Injury of Adolescents via Depression?)

  • 김사라;박주희
    • Human Ecology Research
    • /
    • 제60권4호
    • /
    • pp.535-547
    • /
    • 2022
  •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ts' non-suicidal self-injury and verify whether this effect is mediated by depression. In the first survey of 647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only those who had experiences of non-suicidal self-injury were selected (136 adolescents). For data analysis purposes, descriptive statistics for each measured variable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mong research variables were calculated. In addition, Process Macro - Model 4 by Hayes (2013) was used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model. Finally, the bootstrapping method was appli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depression directly affected the frequency of non-suicidal self-injury among adolescents. Second,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conclusion, the more parents controlled their children's psychological factor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among adolescents, and as a result, the higher the frequency of non-suicidal self-injury. These findings suggest that educational intervention on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is important to prevent and reduce non-suicidal self-injury; however, psychotherapy intervention that reduces the levels of depression should also be required.

머신러닝 기반 한국 청소년의 자살 생각 예측 모델 (Machine learning-based Predictive Model of Suicidal Thoughts among Korean Adolescents.)

  • YeaJu JIN;HyunKi KIM
    • Journal of Korea Artificial Intelligence Association
    • /
    • 제1권1호
    • /
    • pp.1-6
    • /
    • 2023
  • This study developed models using decision forest, support vector machine, and logistic regression methods to predict and prevent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51,407 individuals after removing missing data from the raw data of the 18th (2022) Youth Health Behavior Survey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MS Azure program with Two-Class Decision Forest, Two-Class Support Vector Machine, and Two-Class Logistic Regression.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decision forest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4.8% and an F1-score of 36.7%. The support vector machine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6.3% and an F1-score of 24.5%.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achieved an accuracy of 87.2% and an F1-score of 40.1%. Applying the logistic regression model with SMOTE to address data imbalance resulted in an accuracy of 81.7% and an F1-score of 57.7%. Although the accuracy slightly decreased, the recall, precision, and F1-score improved, demonstrating excellent performance. These finding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development of prediction models for suicidal ideation among Korean adolescents and can contribute to the prevention and improvement of youth suicide.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된 요인에 대한 메타분석 (A Meta-analysis of The Factors Related to Bullying Damage Experience of Adolescent)

  • 문동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1권1호
    • /
    • pp.685-697
    • /
    • 2020
  • 본 연구는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경험과 관련하여 지난 20여년 간 국내에서 연구된 석 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관련요인들의 효과크기를 메타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검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발요인의 전체효과크기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발요인군의 개인심리요인군과 학교생활요인군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발요인군 중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공격성, 불안, 스트레스, 우울, 자살생각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생활요인군인 학업스트레스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억제요인 전체효과크기와 억제요인군의 가정환경요인군, 개인심리요인군, 학교생활 요인군은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억제요인군인 중 가정환경요인군의 하부요인인 긍정적부모양육태도와 부모지지는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개인심리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자아존중감과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요인군의 하부요인인 친구지지와 학교생활적응은 역시 중간효과크기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의 선행된 연구들을 통합적으로 정리하여 객관적 결과를 살피기 위한 수량적 통합을 시도했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청소년의 집단따돌림 피해를 예방하고 낮추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수립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중학생의 성경험 영향요인 (Factors Associated with Sexual Debut amo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 유정옥;김현희;김정순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59-167
    • /
    • 2014
  • 목적 본 연구는 중학생의 인구사회학적, 건강행태 특성별 성경험률과 그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방법 제8차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중학생 37,297명을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다단계층화집락추출에 의한 자료이므로 청소년건강행태온라인조사에서 제시한 복합표본설계정보(층화, 집락, 가중치)를 반영하여 SPSS WIN 18.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남학생의 성경험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제상태가 중간인 경우보다 높을 때 1.54배(95% CI [1.20, 1.96]), 낮을 때 1.43배(95% CI [1.08, 1.89]) 증가하였고, 양쪽 부모님이 모두 안 계실 때 2.68배(95% CI [1.82, 3.96]),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1.98배(95% CI [1.43, 2.74])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음주, 흡연, 약물을 할 경우 각각 2.35배(95% CI [1.79, 3.08]), 2.35배(95% CI [1.76, 3.14]), 4.17배(95% CI [2.81, 6.19]) 성경험이 증가하고 우울할 때 1.32배(95% CI [1.01, 1.71]), 자살생각이 있을 때 1.43배(95% CI [1.09, 1.89]), 성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1.67배(95% CI [1.35, 2.08])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여학생인 경우는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경제상태가 중간인 경우보다 높을 때 1.87배(95% CI [1.30, 2.70]), 아르바이트 경험이 있는 경우 1.79배(95% CI [1.21, 2.67])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흡연을 할 경우 3.95배(95% CI [2.56, 6.10]), 약물을 사용할 경우 5.48배(95% CI [2.80, 10.74]) 성경험률이 증가하고 우울할 때 1.65배(95% CI [1.17, 2.31]), 스트레스가 조금인 경우보다 없을 때 2.30배(95% CI [1.18, 4.48]), 성교육을 받지 않았을 때 1.50배(95% CI [1.09, 2.07]) 성경험률이 증가하였다. 반면 부모학력이 중졸이하보다 고졸일 경우와 1학년보다 2학년의 경우 성경험률이 낮았다. 결론 남녀 중학생의 공통된 성경험 영향요인은 가정 경제수준, 아르바이트 경험, 현재 흡연, 약물사용, 우울, 성교육이었고, 남학생의 경우 양쪽 부모 동거 상태, 음주, 자살생각이 여학생과는 다른 관련 요인이었으며 여학생의 경우 부모학력, 스트레스, 학년이 남학생과는 다른 영향요인이었다. 성경험과 관련하여 남녀 학생별로 영향요인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남녀별로 차별화된 성건강 중재개발이 요구되며 성경험이 음주, 흡연, 약물 등의 문제행동과 함께 나타나므로 중학생의 성건강을 위해서는 단편적인 성교육 프로그램보다 정신건강 및 건강습관의 틀과 함께 접근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학교폭력의 실태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nt Situation of Violence in School and Improvement Program)

  • Park, Youngman;Jeong, Jeahwan;Kim, Eunjung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9-22
    • /
    • 2015
  • 학교란 청소년들이 가장 많은 시간을 보내고 친구들과 교우관계를 형성하고 지도를 받으면서 사회로 나가기 위하여 많은 것을 배우는 터전이다. 이런 배움의 터전에서 폭행, 금품갈취, 집단 따돌림 등의 일들이 벌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일들의 결과로 자살, 살인, 성매매등의 극단적인 범죄로 까지 이어지고 있어 심각한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교폭력의 개념과 현황에 대하여 살펴보고 학교폭력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여 보다 실제적인 학교폭력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개선방안은 첫째, 인성교육의 강화로 현재의 현 실정에 맞는 인성교육의 재조명 및 필요성 부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였고 둘째, 가정의 기능과 가장교육역할 확대로 학교교육뿐만이 아니라 가정에서의 부모들의 올바른 가정교육에 대해 제시하여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전문상담 인력의 확충과 사회적 환경개선으로 학교폭력 예방 및 해결에 있어 중요한 전문 상담인력 확충과 전문상담실 설치 운영에 대해 제시하였고, 넷째, 보안요원의 활용으로 전국적으로 학교 내에 학교보안요원 배치 후 적극 활용에 대한 부분 등을 학교폭력에 대한 대응방안으로 제시하였다.

정신건강사회복지 전문가의 비대면 정신건강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 개발 및 상담 경험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An autoethnography on the Development and counseling Experience of Non-face-to-face Mental Health Mobile Service Platform of Mental Health Social Welfare expert)

  • 이솔지
    • 사물인터넷융복합논문지
    • /
    • 제8권5호
    • /
    • pp.63-70
    • /
    • 2022
  • 본 연구는 연구자가 정신건강사회복지 전문가로서 신개념의 전문적인 정신건강 모바일 서비스 플랫폼을 개발하고 상용화시켜 새로운 도전을 하기까지의 전 과정에서의 실제경험을 질적연구방법인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국민들 중에는 정신건강 이슈에 직접 노출되어 전문적인 의료서비스를 받아야 하는 사람들도 있으나 치료적 개입 수준을 요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인 정신건강 서비스에 대한 욕구를 가진 대중들 또한 상당히 많다는 것이다. 둘째, 현대사회의 특성을 고려하고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감염병 팬더믹 상황에서 모바일을 활용한 다양한 정신건강 서비스 플랫폼을 선호하는 대중들이 많아 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전 세대에서 가족문제, 스트레스, 대인관계, 직업 등에서의 정신건강 관련 이슈들을 많이 호소하고 있고 이와 같은 문제들이 우울이나 불안, 중독 및 외상후스트레스장애 등의 정신병리와 연관되어 자해나 자살사고와 같은 또 다른 정신건강 문제들과 잣은 빈도로 언급되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청소년들이 다양한 정신건강관련 이슈들에 노출되어 있다는 것과 무엇보다 자해 및 자살사고와 같은 심각한 정신건강 문제들을 호소하고 있었다. 다섯째, 전문적인 정신건강 서비스를 전달하는데 있어 모바일 기기를 통한 온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과 오프라인에서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한 역량을 갖춘 정신건강전문가들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정신건강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정책 및 실천적 제언과 후속 연구에 대한 방향성을 제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