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첨체 반응

검색결과 63건 처리시간 0.028초

생쥐 정자의 부정소 통과 과정 중 첨체반응 능력 변화 (Alteration of Acrosome Reacting Ability of Mouse Spermatozoa during Epididymal Transit)

  • 계명찬;김성례;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1권1호
    • /
    • pp.57-65
    • /
    • 1997
  • 생쥐의 부정소에서 진행되는 정자 성숙과정 동안의 첨체반응 능력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자발적 첨체반응 및 난포액, 프로게스테론, 또는 A23187에 의해 유발되는 첨체반응은 모두 정자의 성숙에 의존저긍로 일어났다. 두부 부정소의 매우 적은 정자만이 난포액 및 프로게스테론에 반응하여 첨체반응을 일으켰으며 체부 및 미부 부정소간에 첨체반응율에 차이가 없었다. 반면 A23187 처리시 상당수의 두부 부정소 정자가 첨체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두부 부정소를 거쳐 체부 부정소에 도달한 생쥐 정자는 첨체반응 능력을 획득하여 이 과정에서 정자의 원형질막 표면에서는 첨체반응을 유발하는 물질과 상호작용에 필요한 변화가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반면 정자내로의 $Ca^{2+}$ 유입 후 진행되는 막융합과 첨체내용물의 분비에 필요한 능력은 두부 부정소 정자도 일부 갖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쥐 부정소 정자의 첨체반응 유도의 Calcium 비의존성 (Calcium-Independent Acrosome Reaetion by Methyl Beta Cyclodextrin in Mouse Epididymal Sperm In Vitro)

  • 최진국;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5권1호
    • /
    • pp.53-57
    • /
    • 2001
  • 정자의 수정능력획득과 첨체반응은 Ca$^{2+}$에 의존적으로 일어나며, 수정능력획득 과정에서는 원형질막으로부터 cholesterol이 방출되어 첨체반응이 일어나기 쉬운 상태로 전환된다. 최근 세포막으로부터 cholesterol 방출을 촉진하는 methyl beta cyclodextrin (MBCD)이 첨체반응을 유발함이 알려졌으나 정자 주변의 Ca$^{2+}$ 농도와 관계없이 cholesterol 방출만으로 첨체반응이 유발되는지의 여부는 확인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생쥐 정자에서 MBCD에 의한 첨체반응의 Ca$^{2+}$ 의존성을 조사하였다. 첨가된 Ca$^{2+}$이 없는 경우에도 MBCD는 농도 의존적으로 첨체반응을 증가시켰다. 저농도 (100 ${\mu}$M)의 Ca$^{2+}$의 존재시 MBCD에 의한 첨체반응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Ca$^{2+}$을 첨가하지 않은 배양액에 100 ${\mu}$M의 EGTA를 첨가한 경우 자발적 첨체반응을 유의하게 억제되었다. 같은 조건하에서 1 mM MBCD는 첨체반응을 유의하게 증가시켰으나 EGTA 비처리군보다 유의하게 낮아 MBCD에 의해 유발되는 첨체반응에 정자내부의 Ca$^{2+}$이 관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의 결과에서 외부의 Ca$^{2+}$이 존재하지 않더라도 MBCD를 이용하여 첨체반응을 유발할 수 있으며 정자 내부의 Ca$^{2+}$이 원형질막 cholesterol의 방출에 따른 첨체반응 조절에 관여함을 알 수 있다.

  • PDF

Streptozotocin으로 유도된 당뇨병성 Wistar rat 정자의 특성: Calcium Ionophore을 이용한 첨체반응 유도 및 정자수의 변화

  • 전용필
    • 한국발생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발생생물학회 1998년도 제4차 학술발표대회 및 정기총회
    • /
    • pp.45-47
    • /
    • 1998
  • STZ를 주사한 후 혈액내 인슐린 및 포도당 농도는 당뇨병 유발에 의해 반비레적인 관계를 보였다. 대조군의 부정소두와 체내 정자의 농도 그리고 부정소미내 정자의 수는 당뇨병 유발에 의한 혈당량의 변화에 민감하게 감소하였다. 자발적 첨체반응율은 대조군의 부정소미와 수정관내 두부위간 유의한 차이로 증가하였다. 3일군과 14일군의 부정소미내 정자의 자발적 첨체반응율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ARIC test 결과 대조군, 3일군, 그리고 14일군에서 약 12%의 차이를 보였다. 결과저긍로 당뇨병 유발에 의해 부정소미내 정자수의 감소와 자발적 첨체반응율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나 ARIC test의 결과에서 부정소미내 정자는 수정능력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당뇨병은 정자의 수적인 감소를 유발하며 부정소내 기능의 이상을 초래하여 정자성숙을 방해하여 자발적 첨체반응을 증가시킴으로서 개체의 수정율 감소를 초래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생쥐 정자의 첨체반응에 미치는 Dimethyl Amiloride의 영향 (Effect of Dimethyl Amiloride on the Acrosome Reaction in Mouse Epididymal Sperm in vitro)

  • 계명찬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3권1호
    • /
    • pp.87-93
    • /
    • 1999
  • 생쥐 정자의 수정능력획득과 첨체반응에 작용하는 $Na^{+}$/H$^{+}$ antiporter의 역할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Na^{+}$/H$^{+}$ antiporter를 특이적으로 억제하는 dimethyl amiloride는 정자의 자발적인 첨체반응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한 반면 난포액 및 calcium ionophore인 A23l87에 의해 유도된 첨체반응은 억제하지 못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정자내 $Na^{+}$/H$^{+}$ antiporter에 의한 1가이온의 출입과 이에 따른 세포질내 pH 조절이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과 자발적인 첨체반응에 조절요인으로 작용함을 암시한다. 수정능력을 획득한 정자에서 난포액 등의 agonist 또는 A23l87에 의해 유도되는 첨체반응은 $Na^{+}$/H$^{+}$ antiporter와는 무관하게 진행되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카페인과 헤파린 처리가 한우정자의 첨체반응과 단백질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ffeine and Heparine on Acrosome Reaction and Protein Pattern of Korean Native Cattle Sperm In Vitro)

  • 윤종택;한기영;정영채;김창근;전광주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317-321
    • /
    • 1996
  • 본 연구는 수정능획득유기물질로 알려진 카페인 헤파린을 병행처리하여 한우 정자의 첨체 반응율과 생존율을 알아보고 수정능획득과정 중에 단백질의 변화상을 전기영동방법으로 조사하였다. 동결융해후 정자의 생존율은 90%이상이었으나 전배양처리후 0.5시간에 70%로 감소하고 2시간 이후에는 35%로 감소하였다. 정자의 첨체반응율은 동결융해후 정상정자가 85.7%였으나 전배양시간에 따라 53.4%에서 14.3%로 감소하였다. 동결융해후 첨체가 소실된 생존정자는 9.4%였으나 전배양시간에 따라 17.2%에서 46.8%로 증가하였다. 원정액에서는 분자량 20,000정도에서 동결융해후 전자보다 특이적으로 많은 단백질량을 나타내었으나 동결융해 후 정자를 0.5에서 2.0시간으로 전배양하였을 때 전배양시간에 따른 단백질상의 변화는 대조구와 큰 차이가 없었다.

  • PDF

반응성 산소족이 사람 정자의 수정능력 획득과 첨체반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on Capacitation and Acrosome Reaction in Human Spermatozoa)

  • 강희규;김동훈;한성원;김묘경;권혁찬;이호준;윤용달;김문규
    • 한국발생생물학회지:발생과생식
    • /
    • 제4권2호
    • /
    • pp.203-213
    • /
    • 2000
  • 본 연구에서는 반응성 산소족이 수정능력획득, 칩체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반응성 산소족으로 superoxide anion은 xanthine (X) -xanthine oxidase (XO) system을, hydroperoxide는 $H_2O$$_2$를 농도별로 처 리하였으며, nitric oxide (NO)는 NO donor인 sodium nitroprusside (SNP)를 처리하였다 또한 남성불임요인의 하나로 알려진 leukocytospermia에 대한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lymphocyte를 농도별로 처리하였고, 일반적인 배양기내 산소농도인 20% $O_2$농도를 생체내 농도와 유사한 5% $O_2$ 농도로 낮추었을 때 의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수정능력 획득 정도와 첨체반응률을 알아보기 위해 chlortetracycline (CTC) 염색방법을 이용하였다. 지질과산화 정도는 정자내 malondialdehyde (MDA)의 생성량을 흡광기를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H_2O$$_2$, X-XO, SNP와 lymphocyte 처리군은 1시간 배양시에 수정능력획득률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저산소처리군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저 농도의 $H_2O$$_2$를 처리한 경우에는 지질과산화 정도가 감소하였으나, 고 농도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고 농도의 Iymphocyte를 처리한 경우에는 1시간 처리시에 지질과산화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처리된 산소농도에 따른 지질과산화의 차이는 없었다. 첨체반응률의 경우, 처리한 모든 반응성 산소족에서 대조군에 비해 높은 첨체반응률을 확인하였다. X(100 $\mu$M)-XO(100mIU)의 경우가 가장 높은 첨체반응률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반응성 산소족이 수정능력획득, 지질과산화 그리고 첨체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여 주었다. 또한 반응성 산소족이 생성된 경우에 수정능력획득이 보다 빠르게 진행되어지는 것은 반응성 산소족이 정자의 과운동성과 수정능력획득의 중요한 조절자임을 시사한다고 사료된다.

  • PDF

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가 동결 보존 사람정자의 첨체 상태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 on the Acrosome Status of Cryopreserved Human Sperm)

  • 박세필;신현아;김은영;이원돈;임진호
    • Clinical and Experimental Reproductive Medicine
    • /
    • 제32권2호
    • /
    • pp.149-154
    • /
    • 2005
  • 연구목적: 정자의 첨체상태는 수정능과 상관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사람 정자의 동결보존 시 Fertilization promoting peptide (FPP) 처리가 첨체 유지에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재료 및 방법: 사람 정자는 정액검사를 의뢰한 시료를 사용하였으며, 적정농도를 조사하기 위하여 25, 50, 100 nM FPP를 신선정자에 처리한 뒤 시간별로 첨체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적정화된 50 nM FPP를 정자의 동결-융해 시에 처리한 뒤 첨체 변화를 조사하였다. 첨체 변화는 FITC - pisum sativum lectin (PSA) 염색방법을 이용하여 조사하였다. 결 과: FPP 농도 변화와 처리시간에 따른 사람 정자의 첨체 변화를 조사하였던 바, 50 nM FPP 처리군에서 대조군보다 높은 온전한 첨체비율을 얻을 수 있었다. 정자의 동결-융해 시, 동결액과 융해액에 50 nM FPP 첨가가 온전한 첨체를 유지하는 비율을 조사하였던 바, 신선 정자의 결과보다는 유의하게 낮지만 무 처리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온전한 첨체를 얻을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동결액에만 또는 융해액에만 50 nM FPP 처리를 하더라도 무 처리군보다 유의하게 높은 온전한 첨체 비율을 획득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p<0.001). 결 론: 사람 정자의 동결보존 시 50 nM FPP 첨가는 자발적으로 발생하는 첨체반응을 억제하고, 온전한 첨체를 유지할 수 있어 수정능 보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햄스터자궁에서 전배양한 산양정자의 미세구조적 관찰 (Ultrasturctural Observations of the Acrosome Reacton of Goat Spermatozoa Preincubated in the Hamster Uterus)

  • 송해범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6-32
    • /
    • 1987
  • 본 시험은 산양정자의 전배양환경으로서 적출햄스터자궁의 이용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적출햄스터자궁에서 6시간 전배양한 산양정자의 미세구조적 변화를 투과형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산양정자를 채취 직후 고정하였을 때는 정자두부의 미세구조에 변화가 없었으나, 적출햄스터자궁에서 6시간 전배양한 후 고정하였을 때는 53%의 정자에서 첨체에 소포형성이 관찰되었으며, 32%는 첨체가 소실되었다. 따라서 정자두모의 소포형성은 첨체반응에 의한 것이고, 정자의 두모가 소실된 것은 죽은 정자에서 관찰되었을 가능성을 시준했다.

  • PDF

돼지동결정액의 체외수정능력에 있어서 Ascorbic Acid 와 Ferrous Sulfate 의 영향 (Effects of Ascorbic Acid and Ferrous Sulfate on In-Vitro Fertility of Frozen-Thawed Spermatozoa in Porcine)

  • 남희선;박춘근;정희태;이상찬;김종흥;양부근;김정익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229-237
    • /
    • 1999
  • 본 연구는 돼지 동결-융해 정자의 전배양시 aseorbie acid (Ase)와 ferrous sulfate (Fe$^{2+}$)가 정자의 수정능력획득, 첨체반응 및 난자내 침입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정자의 전배양시 0~1.0 mM의 Fe$^{2+}$의 첨가는 비전배양에 비해 높은 첨체반응 (P<0.05) 및 정자침입율을 얻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0~0.5mM의 Ase 첨가 시 첨체반응율에서는 같은 결과를 나타냈지만 정자침입율은 오히려 정자의 전배양 보다는 비전배양시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한편, Fe$^{2+}$가 함유 되어있는 배양액내에서 2시간동안 정자의 전배양시 0.1 mM Asc의 첨가는 0.5 mM Ase의 첨가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첨체반응율을 나타냈으나 (P<0.05), Ase의 농도사이에서 정자침입율에는 차이가 없었다. 또한, Ase가 함유된 배양액내에서 정자의 전배양시 0.1 mM Fe$^{2+}$를 첨가했을 때 첨체반응율은 Fe$^{2+}$ 무첨가시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P<0.05), 오히려 가장 낮은 정자침입율을 나타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체외에서 돼지정자의 처리시 Fe$^{2+}$ 또는 Ase의 첨가와 정자의 전배양에 의해 첨체반응과 정자침입에 효과적인 작용을 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PDF

Urechis unicinctus 수정막과 첨체반응에 대한 미세구조적 관찰 (Fine Structural Investigations of Fertilization Envelopes and Acrosomal Reaction in Urechis unicinctus)

  • 권혁제;신길상;김완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30권1호
    • /
    • pp.61-72
    • /
    • 2000
  • U. unicinctus 난자를 대상으로 인공수정 후 수정막 형성에 따른 물질적 기원과 첨체반응 등에 관련된 구조변화에 대하여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관찰결과에 의하면 1차 수정막의 물질은 과잉의 정자에 대한 효과적 방어 기능을 보유한 난외막 표층 기원의 물질이었으며, 2차 수정막은 피질과립의 분비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3차 수정막은 광학현미경하에서 특이한 구조의 관찰은 없었으나 전자현미경에 의한 관찰시 많은 입자상 물질들로 구성되었으며, 수정 후 60분에는 이들 입자물질의 응집에 의해서 수정막은 경과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1차 수정막과 난외막 표층의 유사성 그리고 1차 수정막의 형성과 미세융모의 퇴화가 동시적인 사건이라는 것은 미세융모가 U. unicinctus에서 정자의 수용체로 작용할 수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첨체소관에 의한 난세포막 침투시 침체 단부에서 과립상의 물질이 표층(surface coat)에 확산되었다. 첨체소관은 첨체의 기부에서 시작되고, 첨체간격을 통하여 신장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