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첨두수위

Search Result 128, Processing Time 0.033 seconds

A Monte Carlo Simulation and 1D Hydraulic Model-Based Approach for Estimating River Discharge at the Confluence using Artificial Multi-Segmented Rating Curves (K-RIVER와 Monte Carlo 방법을 이용한 홍수기 간접유량 추정 기법)

  • 강한솔;김연수;노준우;허영택;변지선;안현욱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3.05a
    • /
    • pp.483-483
    • /
    • 2023
  • 2020년 8월 섬진강 유역에서 100년 빈도 이상의 대홍수가 발생함에 따라 제방이 붕괴되거나 하천 범람이 발생하는 피해가 발생하였다. 8월 홍수를 대상으로 섬진강 본류 남원(신덕리) 수위국에서 기존의 수위-유량 관계 곡선식(이하 Rating curve)의 최대 적용 가능 수위는 2.53m 이지만, 해당 기간 첨두 수위는 10m 이상을 기록하였다. 이러한 대홍수의 경우 기왕의 관측데이터가 없을 뿐만 아니라 기존의 Rating curve를 외삽하여 활용하는 것에도 한계가 있어 간접적으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이 유량측정이 어려운 지점을 대상으로 주어진 유량에 대하여 수위를 재현할 수 있는 K-water에서 개발된 K-River모형(1차원 하천수리해석모형)과 Monte Carlo 시뮬레이션 기법을 활용하여 간접적으로 유량을 산정할 수 있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방법론은 고수위 구간에 대한 Rating curve의 불확실성으로 인하여 본류와 지류의 유입량 추정이 어려웠던 섬진강 요천 합류부에 적용하였다. 대상구간은 본류(섬진강) 26km 및 지류(요천) 15km로 구성되어 있으며, 본류와 지류의 상류인 수위국 남원(신덕리) 관측소와 남원(동림교) 관측소에는 각각 기존의 Rating curve가 존재한다. 불확실성이 높은 Rating curve의 고수위 구간에 대한 매개변수를 조정하여 다수의 Rating curve를 생성하고, 이를 기반으로 관측수위를 다수의 상류 시계열 유량자료(경계조건)로 환산하였다. 다음으로 이 유량자료를 기반으로 앙상블 모의를 수행 후 대상구간의 중간지점에 위치한 수위국(고달(고달교) 관측소, 송동(요천대교) 관측소, 곡성(금곡교) 관측소)에서 수위재현성(NSE, RSR등 활용)을 평가하여 최적 샘플 추출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샘플로부터 상류 경계지점의 적정 Rating curve 선정과 각 지점에서의 시계열 수위 및 유량을 역으로 추정하였다. 이를 통해 실제 유량측정결과 없이도 간접적으로 신뢰도 높은 유량 자료를 확보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수자원의 효율적 관리 및 홍수관리를 위하여 효율적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An Optimal Operation of Multi-Reservoirs for Flood Control by Incremental DP (Incremental DP에 의한 홍수시 댐군의 연계운영)

  • Lee, Jae-Hyeong;Lee, Gil-Seong;Jeong, Dong-Guk
    • Water for future
    • /
    • v.25 no.2
    • /
    • pp.47-60
    • /
    • 1992
  • An optimal operation model for flood control of multi-reservoirs, Hwacheon and Soyanggang, located in the north Han River basin is developed by using the Incremental DP. The objective function is to minimize the peak flow at the confluence point, of Euam dam, and the hydraulic and hydrologic constraints are established by considering the related laws as to the operation of dam in flood season, each reservoir and channel characteristics. In particular, the final elevations of each reservoir are induced to the conservation pool level in order to prepare for the secondary flood.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is model, simulation results and the single reservoir operation by DP are compared in terms of control and utility efficiencies, and also the peak flows at the confluence point for floods with various return periods are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 suing feedback control. as the results, the control and utility effciencies are more or less low in contrast with the results of simulation and the single reservoir operation by DP, and the peak flows at confluence point are high because of terminal condition of reservoir storage.

  • PDF

Distributed Rainfall-Runoff Analysis of Urban Basin with GIS Technique and Network Analysis (GIS 및 관망해석을 이용한 도시유역 분포형 유출해석)

  • Ryu, Hee-Sang;Kim, Mun-Mo;Kim, Young-Sub;An, Won-Sik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 /
    • v.10 no.5
    • /
    • pp.143-148
    • /
    • 2010
  • In this study, the mixed model of the surface rainfall-runoff analysis using grid data and Illudas model was applied to the urban watershed of Bulgang river. After the surface rainfall-runoff was estimated with GIS data, the runoff hydrograph was calculated using network analysis at Jeungsan bridge, which is the final output of watershed. Estimated runoff hydrograph in this study was compared to the observed runoff hydrograph which is converted from the water stage at Jeungsan bridge. The relative errors of total runoff volume and peak discharge showed the range values of 11.70%~16.30% and 1.10%~6.96%, and then the difference of peak times had the values of less than 1 hour for 4 storms. Therefore, the mixed model in this study could be considered to estimate the runoff hydrograph for the prevention of disasters in urban watershed.

Analysis of Storage and Flood Control Effects by Underflow Type of Multi-stage Movable Weir (하단배출형 가동보의 다단 배치에 의한 저류 및 홍수조절 효과 분석)

  • Lee, Ji Haeng;Han, Il Yeong;Choi, Heung Sik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v.3 no.4
    • /
    • pp.294-301
    • /
    • 2016
  •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s were arranged in a multi-stage way at a section of the Chiseong River, a tributary of Geum River, where flooding is observed frequently. The flood control and the movable weir management levels were compared with the occasions of installing the existing weir for analysis. The peak discharge decreased by a maximum of 97% for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 and the downstream flood elevation decreased by a maximum of 82%. The amount of storage also increased by a maximum of 463% by the distribution and storage functions of the multi-stage arrangement of the underflow type movable weirs. It is possible to suggest that the management level of each movable weir for the target storage of the reach and the flood reduction level through the relationship among this storage, downstream peak flood elevation, and peak flow.

Effects of 4 major river project on the flood management in Yeongsan-river basin (영산강유역 홍수관리에서 4대강 사업의 효과)

  • Song, Jin Keun;Jung, Jae Sung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21.06a
    • /
    • pp.301-301
    • /
    • 2021
  • 영산강 유역은 상류 급경사 지역에 있는 유역 내 댐들의 홍수조절용량과 평야지역에 있는 하굿둑의 홍수배제능력이 부족하여 나주시 등 하류부에 홍수피해가 빈번하였다. 영산강에서 4대강 사업의 주요내용은 하도내 퇴적토준설과 홍수조절지 건설, 농업용저수지 증고를 통한 홍수방어능력 증대, 다기능 보설치를 통한 용수확보, 하구지역 홍수배제능력 증대 등이었다. 동 사업에서 본류 하천의 홍수위 저감과 내수배제 개선을 위해 담양댐 하류부터 영암천 합류점까지 하도를 준설하고, 담양과 화순홍수조절지, 나주 강변저류지, 승촌보와 죽산보를 건설하고, 하굿둑 배수능력 증대와 농업용 댐 및 저수지들을 증고를 수행하였다. 4대강 사업이 준공된 2012년 이후로 2014년부터 5년간 가뭄이 지속되었고 큰 홍수가 없다가 2020년 8월에 장기간의 집중호우로 영산강 중상류인 광주시와 영산강 하류지역에서 큰 수해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시설물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의 기술적 검토를 수행하였다. 사업전·후 수문관측자료와 하천시설 운영 실적에 근거한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강우 발생 시 수위표 지점별로 계측된 첨두 수위 및 유량자료를 비교하여 홍수저감 효과를 분석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 강우를 선정하기 위해 발생된 강우 사상 중 호우특보 발령 기준이상의 강우 사상에 대하여 총 강우량 및 강우의 지속시간, 시간 분포를 비교하여 유사 규모의 호우를 선정하였다. 사업전·후 유사 규모의 호우 사상 발생 시 계측된 홍수위와 홍수량 비교 결과 영산강 중·상류부와 중·하류부 수위표 지점(극락교,승용교,나주대교)에서 사업 시행 후 사업 전보다 첨두 수위가 1.36~2.81m 감소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이는 여러 가지 사업들의 복합적인 결과로 영산강유역의 홍수관리여건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2020년 8월7일~8일 발생한 호우에 의해 영산강 본류의 중·상류부와 중·하류부의 주요 수위표 지점에서는 200년빈도 계획홍수위를 초과한 홍수가 발생하였다. 상시개방과 철거로 처리방안이 결정된 승촌보와 죽산보의 여건을 반영하여 2개보 유무에 따른 홍수위 검토를 실시하였다. 홍수위 비교 결과보가 없을 경우 영산강 중·상류부(극락교,승용교)와 중·하류부(나주대교,영산교) 수위표 지점에서 홍수위가 0.01~0.07m 감소되는 것으로 검토되어 홍수시 보의 영향은 비교적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홍수시 상류댐과 저수지, 홍수조절지, 하굿둑, 하천의 연계운영에 대해서는 추가연구가 필요하다.

  • PDF

Size of Bedload Materials and Bedload in Mountainous River (산지하천의 하상재료와 소류사의 크기)

  • Park, Sang-Deog;Kim, Gun-Tae;Kim, Ho-Seop;Lee, Seung-Kyu;Shin, Seung-Sook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556-560
    • /
    • 2010
  • 자갈하상 산지하천의 주요 관심사는 소류사 크기 분포와 연계하여 하상재료의 이송에 대한 광범위의 기초자료 확보하는 것이다. 자갈 하상재료가 주를 이루는 강원영동지역 양양남대천의 산지 하천을 대상으로 하상재료를 조사하였다. 산지하천의 소류사 크기를 고려한 소류사 채집기를 설치하고, 호우 발생 이후 측정기에 포획된 소류사의 크기를 파악하기 위해 입도분포를 분석하였다. 두 개의 소류사 측정기는 지남교 지점에 유속이 빠른 우안과 유속이 상대적으로 느린 좌안에 각각 설치하였다. 산지하천 시험구간의 하상재료 분포도는 그림 1과 같으며, 하상재료 평균입경은 184.65mm 이였다. 연구단에서 운영중인 법수치 우량관측소의 관측자료에 따르면, 2009년 11월 1~13일 185mm 강우가 발생하였으며, 11월 11일 7:00경에 최대수위에 따른 첨두유출량 107.23$m^3/s$가 발생하였다. 첨두유출 발생당시 이동한 우안 소류사의 평균입경은 102.88mm 이였고, 좌안 소류사의 평균입경은 66.53mm 이였다(그림 2). 하상재료의 평균입경에 대한 소류사 평균입경을 비교하였을 때, 소류사는 하상재료의 $45.87{\pm}13.92%$ 크기 범위에서 이동함을 확인하였다.

  • PDF

A Comparative Study on Dam Break Outflows using BREACH and DAMBRK Models (댐 붕괴시 BREACH와 DAMBRK 모형의 유출특성 비교 연구)

  • Won, Jin-Young;Rim, Chang-Soo;Yoon, Sei-Eui;Lee, Jong-Tae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0.05a
    • /
    • pp.669-673
    • /
    • 2010
  • 현재 EAP(Emergency Action Plan) 수립 시 가장 많이 사용되는 DAMBRK 모형은 붕괴유출수문곡선 유도 시 댐 재료 특성을 고려하지 않지만, BREACH 모형은 댐 축조재료 특성과 유사이송능력을 고려하여 붕괴유출수문곡선을 산정하기 때문에 물리적으로 BREACH 모형이 흙댐의 붕괴특성을 실제와 더욱 유사하게 추적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는 두 모형을 안동댐(흙댐)에 적용하여 첨두유출량, 첨두유출 발생시간, 붕괴 시작, 붕괴 완료 시간 등의 댐 붕괴시 유출특성을 비교하였다. 적용 결과 BREACH 모형은 붕괴가 매우 서서히 진행되다가 일정수위에 도달하게 되면 급격하게 붕괴유출량의 증가폭이 커지는 데 비하여 DAMBRK 모형은 붕괴 시작과 동시에 붕괴유출량이 급격하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최대총유출량은 BREACH 모형이 DAMBRK 모형에 비해 약 5% 작게 산정되었지만, 34시간까지의 유출 총량은 DAMBRK 모형에 비하여 BREACH 모형이 약 16% 크게 나타났다. 두 모형의 붕괴유출수문곡선 비교를 통하여 댐 제체의 재료특성이 유출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할 수 있었지만, 더 정확한 영향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속적인 비교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The Characteristics on the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Runoff in Moojechi Bog (무제치늪 지역의 지하수위 변동과 강우의 유출 특성)

  • 이헌호;김재훈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 /
    • v.16 no.3
    • /
    • pp.239-248
    • /
    • 2002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hydrological characteristics of groundwater level change and rainfall-runoff processes at the Moojechi Bog located in Mt. Jeungjok, Ulsan. The average runoff rate of bog was 0.58 which is similar to that of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 In the short term hydrograph, runoff was increased slowly and It took a long time to arrive peak flow. After that time, the decreasing pattern of runoff was slower than that of general mountainous watershed. In case of the long term water budget, the Moojechi Bog had a abundant base flow and runoff was continued in spite of non rainfall period. The groundwater level was arrived peak flow immediately after rain stop but was decreased very slowly until the next rain. The change pattern of long term groundwater level was very similar to that of the amount of rain and discharge. The higher rainfall intensity was, the lower slope of recession curve on the groundwater level was and the longer rainfall duration was, the longer peak flow was. Judging from these results, Moojechi bog could be evaluated to have a constant groundwater level.

Forecasting of Peak Flood Stage at Downstream Loc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y Hydraulic Flood Routing (수리학적 홍수추적에 의한 댐 방류시 하류수위 및 주요 하도구간별 홍수도달 시간의 예측)

  • 윤용남;박무종
    • Water for future
    • /
    • v.25 no.3
    • /
    • pp.115-124
    • /
    • 1992
  • The peak flood discharge at a downstream st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etween a pair of dams due to a specific flood release from the upper reservoir are computed using a hydraulic river channel routing method. The study covered the whole reservoir system in the Han River. The computed peak flood discharges and the travel times between dams were correlated with the duration and the magnitude of flood release rate at the upstream reservoir, and hence a multiple regression model is proposed for each river reach between a pair of dams. The peak flood discharge at a downstream location can be converted to the peak flood stage by rating curve. Hence, the proposed regression model could be used to forecast the peak flood stage at a downstream location and the flood travel time between dams using the information on the flood release rate and duration from the upper dam.

  • PDF

The Variation of Flow Characteristics by the Downstream Boundary Condition at Estuary (하천하구지역의 하류경계조건에 따른 흐름특성 영향)

  • Byeon, Seong-Joon;Choi, Gye-Woon;Park, Hyo-Seon
    • Proceedings of the Korea Water Resources Association Conference
    • /
    • 2011.05a
    • /
    • pp.65-65
    • /
    • 2011
  • 하천의 하구지역은 유역의 보전, 개발 논의가 매우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지역으로 개발계획들로 인한 환경변화로 유출 특성 및 유사이동 변화에 따른 정밀한 조사연구를 통한 대처방안을 수립이 필요한 지역이다. 본 논문은 2차원 수치해석이 가능하고 복잡한 해안구조를 포함한 하구지역의 흐름해석이 가능한 MIKE21 FM 프로그램을 통하여 홍수기시의 조위조건변화에 따른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자연하구역인 한강하구지역을 중심으로 수위 및 유사이동의 변화 특성을 분석하였다. 첨두유량 발생 시점과 하류경계조건의 변화에 따른 하구지역의 수위변화를 살펴보면, 대상 지역의 하천구간에 해당하는 전류수위표 지점에서 기수역 수로 지점에 비하여 변동폭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하류의 외해와 인접할수록 변동폭이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지역의 상류구간은 하천유량의 영향이 크기 때문에 상류구간일수록 창조시간에 비하여 낙조시간이 길게 분포되는 것으로 나타난다. 유사이동의 특성은 하천의 유속이 크게 감소하는 부분에 퇴적이 발생되며 강화북수로의 단면이 급격하게 변화하는 석모도와 교동도사이의 수로, 염하수로의 입구부분에서는 퇴적층이 발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한강하구와 같이 하구둑이 설치되지 않은 하천의 하구지역에 대해서는 상류와 하류 경계조건의 특성에 따라서 복잡한 수리학적 특성이 발생하기 때문에 개발이나 구조물 축조에 앞서 더욱 많은 현장조사와 특성분석을 통한 보다 정확한 경계조건의 구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